진행중

"이항로 선생 생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이항로선생생가.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101050000 이항로 선생 생...)
 
56번째 줄: 56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heights=400px>
 
<gallery mode=packed heights=400px>
파일:이항로선생생가배치도.jpg | 배치도<ref>“[http://ggc.ggcf.kr/p/5b8409ce9f52984232e43646 이항로선생 생가]”, 경기도문화재 육구삼+ Series.</ref>
+
파일:이항로선생생가배치도.jpeg | 배치도<ref>“[http://ggc.ggcf.kr/p/5b8409ce9f52984232e43646 이항로선생 생가]”, 경기도문화재 육구삼+ Series.</ref>
 
</gallery>
 
</gallery>
  

2020년 8월 8일 (토) 05:46 판


이항로 선생 생가
이항로 선생 생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이항로 선생 생가
한자 李恒老 先生 生家
주소 경기 양평군 서종면 화서1로 239 (노문리)
지정번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5호
지정일 1980년 6월 2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탄생지
수량/면적 2동59㎡
웹사이트 이항로 선생 생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조선 말기 성리학자*인 화서 이항로(1792~1868)가 살던 집으로 이항로의 아버지가 지었다. 이항로 생가가 있는 벽계 마을은 벽진 이씨가 모여 살던 마을 동성촌이다.

이항로 선생 생가는 집주인이 거주하는 안채와 손님을 접대하던 사랑채, 하인들이 거처하는 행랑채 등이 있다. ㄱ자형 안채와 ㄷ자형의 사랑채가 가운데 담을 두고 가로로 긴 ㅁ자 형태를 취하고 있다. 안채는 넓은 마루를 중심으로 좌우에 안방과 건넌방을 배치한 다음, 안방 앞쪽으로 부엌을 둔 전형적인 경기도 주택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항로는 19세기 서양이 침략하고 서구의 문화가 들어올 때, 우리의 옛것을 지키고 서양의 것을 함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위정척사). 이항로의 사상은 제자 최익현 등으로 이어져 조선말 항일 의병*으로 발전하였다. 이항로 선생 생가는 항일 의병 운동을 이끈 최익현, 양헌수, 유중교, 김평묵 등이 이항로의 가르침을 받았던 곳이어서 의미가 더 깊다.

이항로 선생 생가는 한국전쟁 등을 겪으면서 망가진 것을 옛 모습으로 고쳐 세웠다. 이항로 선생 생가의 오른편에 있는 건물인 벽계 강당은 이항로가 그린 강당* 설계도대로 2000년에 세운 것으로 마을 이름을 따서 ‘벽계 강당’이라 부른다.


  • 성리학자 : 인간이 가져야 할 도리 등을 밝히는 학문을 연구한 사람
  • 항일 의병 : 조선말 일본의 침략을 반대하며 일으킨 무장 투쟁
  • 강당 : 강연이나 강의, 의식 등을 할 때 쓰는 건물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조선 말기 성리학자 이항로(1792~1868)가 살던 곳이다.

이항로는 19세기 말 옛 것을 지키고 서양의 문화를 함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위정척사론의 사상적 기초를 형성한 유학자이다. 그는 벼슬을 포기하고 후학 양성에 힘을 쏟았다. 항일 의병 운동을 이끌었던 최익현(1833-1907), 김평묵(1819~1891) 등이 그의 제자이다.

이 집은 이항로의 아버지가 지었다고 하며, 정확한 건립 시기는 알 수 없다. 경사지형에 집을 짓기 위해 축대를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세웠다.

지금의 집은 한국 전쟁 등으로 훼손되었던 것을 복원한 것으로, 안채와 사랑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와 안채는 담장으로 공간을 구분해 중문으로 드나들게 되어 있고, 사랑채와 행랑채는 연결되어 있다. 안채 뒤편에는 초가지붕을 올린 광채가 있다.

안채는 현판이 걸려있는 마루방을 기준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두었으며, 안방 옆으로 부엌이 있다. 방에 딸린 툇마루와 쪽마루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생가 오른편에는 이항로가 그렸던 강당 설계도에 따라 2000년에 세운 ‘벽계 강당’이 있고, 왼편에는 2002년에 세운 화서기념관이 있다.

  • 사랑채는 1994년에 새로 지었다.


갤러리

참고 자료

  • 이항로선생 생가”, 경기도문화재 육구삼+ S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