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의성 관덕동 석조보살좌상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월 19일 (일) 05:52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의성관덕동석조보살좌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1360000 의성 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의성 관덕동 석조보살좌상
Stone Seated Bodhisattva in Gwandeok-ri, Uiseong
의성 관덕동 석조보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의성 관덕동 석조보살좌상
영문명칭 Stone Seated Bodhisattva in Gwandeok-ri, Uiseong
한자 義城 觀德洞 石造菩薩坐像
주소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 산85번지
지정번호 시도유형문화재 제136호
지정일 1979년 1월 25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의성 관덕동 석조보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보살은 부처를 도와 중생을 구제하고 불도의 깨달음을 얻은 자로서,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등 수많은 보살들이 있다.

관덕동 석조 보살 좌상은 닳아서 없어진 부분이 많아서 보살의 이름은 알 수 없다. 가슴 앞에 있는 목걸이와 유(U)자형 장식, 팔찌를 통해 보살상임을 알 수 있다. 보살상의 머리카락은 작은 소라 모양을 붙여 놓은 듯한 나발(螺髮)이고, 정수리에는 작지만 육계(肉髻)*가 분명하게 표현되어 있다. 한때 부서져 넘어졌던 머리를 다시 붙여 두었으나, 목에는 세 개의 주름이 뚜렷하게 남아 있다. 가슴 한가운데는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가 길게 드리워져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짧게 만든 장신구들이 여러 개 있다. 얼굴이 많이 깨져 전체적인 인상을 확인하기 어려우나, 이마는 좁고 얼굴형은 갸름하다.

전체적으로 결가부좌***한 신체에 나타난 안정감, 얇은 옷 속으로 비치는 부드러운 굴곡, 갸름한 얼굴 등에서 8세기 통일 신라 불상의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다. 많이 닳아서 없어졌지만 가슴 가운데 영락(瓔珞)이라고 하는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식 등 섬세한 조각 솜씨가 뛰어난 작품으로, 신라 시대 불상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 육계: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 인간이나 천상에서 볼 수 없는 일이므로 이렇게 이른다.
  • 결가부좌: 앉는 법의 한가지로 오른쪽 발을 우선 왼쪽 허벅지 위에 얹고 다음에 왼쪽발을 오른쪽 위에 얹어 앉고 발을 좌우의 허벅지의 위에 얹어 앉는 법을 말한다.

영문

Stone Seated Bodhisattva in Gwandeok-ri, Uiseong


영문 해설 내용

이 상은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마을에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일대에 사찰이 있었다고 한다. 사찰이 폐사된 후 이 상은 오랫동안 야외에 방치되었다가, 현재는 보호각 내애 모셔져 있다.

전체적으로 마모된 부분이 많아서 이 상이 어떤 대상을 나타낸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가슴과 팔에 구슬을 꿰어 만든 화려한 장신구가 있는 것으로 보아 보살상으로 추정된다.

머리는 부러졌던 것을 다시 붙여두었다. 머리는 꼬불꼬불한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으로 덮여 있다. 눈은 패여 있고 코도 파손되는 등 훼손이 심해서 전체적인 인상을 확인하기 어렵다. 목에 새겨진 삼도는 번뇌, 업, 고통을 상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