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김씨 운암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자료)
(영문)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700500000 의성김씨 운암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700500000 의성김씨 운암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의성김씨 운암종택
 
|대표명칭=의성김씨 운암종택
|영문명칭=
+
|영문명칭=Unam Head House of the Uiseong Kim Clan
 
|한자=義城金氏 雲岩宗宅
 
|한자=義城金氏 雲岩宗宅
|주소=경북 안동시 임하면 범바위길 12 (신덕리)
+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범바위길 12 (신덕리)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50호
 
|지정번호=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50호
29번째 줄: 29번째 줄:
  
 
===영문===
 
===영문===
 +
'''Unam Head House of the Uiseong Kim Clan'''
 +
 +
This is the head house of the family of Kim Myeong-il (1534-1570, pen name: Unam), a scholar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A head house is a residence passed down among the male successors of a family lineage.
 +
 +
Kim passed the classics licentiate examination in 1564. In 1569, he went to the capital Hanyang (today’s Seoul area) to take the state examination to become a civil official but suddenly died on his return home due to the exacerbation of an ongoing disease. In 1709, Sabinseowon Confucian Academy was founded in Cheonjeon-ri Village to honor his father Kim Jin (1500-1580), Kim Myeong-il himself, and his four brothers.
 +
 +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when the house was first built, but it is presumed that it was reconstructed in 1754. Although the men’s and women’s quarters in the houses of the Gyeongsang-do area usually form a square layout with a common courtyard in the middle, the women’s quarters of this house was designed as an independent structure with its own courtyard, while the men’s quarters was built separately next to it. The women’s quarters features a wooden-floored hall with a main underfloor-heated room and kitchen to the left and an auxiliary underfloor-heated room to the right. The men’s quarters consists of a wooden-floored hall with a main underfloor-heated room and a study on either side. Although the whole house was built facing east to accommodate the terrain, each separate room is facing south, which provides natural lighting and warmth.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조선 중기의 학자 운암 김명일(金明一, 1534~1570)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
이 집은 조선시대의 학자 김명일(1534-1570, 호: 운암)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이란 집안의 종가가 대대로 사는 집이다.
  
김명일은 학봉 김성일(鶴峯 金誠一, 1538~1593)의 형으로 형제가 모두 이황(李滉, 1502~1570)의 제자였다. 1564년 생원시에 급제하고 1569년 문과 1차 시험인 향시에 급제하였으나, 이듬해 2차 시험인 회시를 위해 서울로 올라갔다가 병이 심해져서 귀향 중 37세로 세상을 떠났다. 1709년운암종택 인근 사빈서원(泗濱書院)에 아버지 및 형제들과 함께 모셔졌다.  
+
김명일은 1564년 생원시에 급제하고 1569년 문과에 응시하기 위해 한양으로 올라갔으나, 이듬해 병이 심해져서 고향으로 돌아오던 중에 세상을 떠났다. 1709년 의성김씨 집성촌인 천전리에 김명일의 아버지 김진(1500-1580)과 김명일을 포함한 다섯 형제를 기리는 사빈서원이 설립되었다.  
  
운암종택은 1754년에 중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ㅁ자형의 안채와 안채 오른쪽에 별도로 지어진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안방과 부엌을 두었고 오른쪽에는 안사랑방을 두었다. 사랑채는 가운데에 마루방을 두고 양옆에 각각 사랑방과 책방을 두었다.  
+
운암종택은 언제 처음 지어졌는지는 알 수 없고, 1754년에 중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경상도 지역의 집들 중에는 안채와 사랑채가 마당을 가운데 두고 ㅁ자형을 이루는 경우가 많은데, 이 집은 안채가 마당을 갖추고 독립된 ㅁ자형을 이루고 있고 사랑채는 안채 오른쪽에 따로 지어졌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안방과 부엌을 두었고 오른쪽에는 건넌방을 두었다. 사랑채는 가운데에 마루방을 두고 양옆에 각각 사랑방과 책방을 두었다. 집이 위치한 곳의 지형에 맞추어 집은 동향으로 지었지만, 모든 방은 남향으로 배치해서 밝고 따뜻하게 하였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41번째 줄: 48번째 줄: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 김명일, 김성일, 김복일 사마시 급제 관련) 2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a_1564_005067&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 김명일, 김성일, 김복일 사마시 급제 관련) 2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a_1564_005067&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 김명일, 김성일, 김복일 사마시 급제 관련) 3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a_1564_005121&curSetPos=3&curSPos=1&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 김명일, 김성일, 김복일 사마시 급제 관련) 3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a_1564_005121&curSetPos=3&curSPos=1&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
*의성김씨 윤암종택, 유교넷 http://www.ugyo.net/tu/rin/ruins.jsp?sSiteCode=anih014&sMenuType=0
+
*의성김씨 운암종택, 유교넷 http://www.ugyo.net/tu/rin/ruins.jsp?sSiteCode=anih014&sMenuType=0
 
*의성김씨운암종택,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2&searchCondition=%ec%9d%98%ec%84%b1%ea%b9%80%ec%94%a8%ec%9a%b4%ec%95%94%ec%a2%85%ed%83%9d&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24&ccbaAsno=00500000&ccbaCtcd=37&ccbaCpno=244370050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5_1_1_0
 
*의성김씨운암종택,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2&searchCondition=%ec%9d%98%ec%84%b1%ea%b9%80%ec%94%a8%ec%9a%b4%ec%95%94%ec%a2%85%ed%83%9d&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24&ccbaAsno=00500000&ccbaCtcd=37&ccbaCpno=244370050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5_1_1_0
 
*의성 김씨 운암종택,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 https://portal.nrich.go.kr/kor/overviewUsrView.do?menuIdx=572&mcidx=24341
 
*의성 김씨 운암종택,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 https://portal.nrich.go.kr/kor/overviewUsrView.do?menuIdx=572&mcidx=24341
53번째 줄: 60번째 줄:
 
[[분류:종택]]
 
[[분류:종택]]
 
[[분류:2020 국문집필]]
 
[[분류:2020 국문집필]]
 +
[[분류:2020 영문집필]]

2020년 9월 28일 (월) 13:46 기준 최신판

의성김씨 운암종택
Unam Head House of the Uiseong Kim Clan
의성김씨 운암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의성김씨 운암종택
영문명칭 Unam Head House of the Uiseong Kim Clan
한자 義城金氏 雲岩宗宅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범바위길 12 (신덕리)
지정번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50호
지정일 1984년 12월 29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일곽
웹사이트 의성김씨 운암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운암 종택은 조선 중기의 학자 운암 김명일(雲岩 金明一, 1534~1570)의 종갓집이다. 김명일은 학봉 김성일(鶴峯 金誠一, 1538~1593)의 형으로 형제가 모두 이황(李滉, 1502~1570)의 제자였다. 1564년 생원시에 급제하고 1569년 문과 1차 시험인 향시에 급제하였으나, 이듬해 2차 시험인 회시를 위해 서울로 올라갔다가 병이 심해져서 귀향 중 37세로 세상을 떠났다. 1709년 운암종택 인근 사빈서원(泗濱書院)에 아버지 및 형제들과 함께 모셨다.

운암 종택은 1754년에 손보고 고쳤다고 추정한다. ‘ㅁ’자형의 안채와 안채 오른쪽에 별도로 지어진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안방과 부엌을 두었고, 오른쪽에는 안사랑방을 두었다. 사랑채는 가운데에 마루방을 두고 양옆에 각각 사랑방과 책방을 두었다.

땅의 생긴 모양이나 형세에 맞추어 동향으로 지었지만, 모든 온돌방을 남향으로 배치하여 밝고 따뜻한 생활 공간이 되도록 한 지혜가 돋보이는 집이다.

영문

Unam Head House of the Uiseong Kim Clan

This is the head house of the family of Kim Myeong-il (1534-1570, pen name: Unam), a scholar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A head house is a residence passed down among the male successors of a family lineage.

Kim passed the classics licentiate examination in 1564. In 1569, he went to the capital Hanyang (today’s Seoul area) to take the state examination to become a civil official but suddenly died on his return home due to the exacerbation of an ongoing disease. In 1709, Sabinseowon Confucian Academy was founded in Cheonjeon-ri Village to honor his father Kim Jin (1500-1580), Kim Myeong-il himself, and his four brothers.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when the house was first built, but it is presumed that it was reconstructed in 1754. Although the men’s and women’s quarters in the houses of the Gyeongsang-do area usually form a square layout with a common courtyard in the middle, the women’s quarters of this house was designed as an independent structure with its own courtyard, while the men’s quarters was built separately next to it. The women’s quarters features a wooden-floored hall with a main underfloor-heated room and kitchen to the left and an auxiliary underfloor-heated room to the right. The men’s quarters consists of a wooden-floored hall with a main underfloor-heated room and a study on either side. Although the whole house was built facing east to accommodate the terrain, each separate room is facing south, which provides natural lighting and warmth.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조선시대의 학자 김명일(1534-1570, 호: 운암)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이란 한 집안의 종가가 대대로 사는 집이다.

김명일은 1564년 생원시에 급제하고 1569년 문과에 응시하기 위해 한양으로 올라갔으나, 이듬해 병이 심해져서 고향으로 돌아오던 중에 세상을 떠났다. 1709년 의성김씨 집성촌인 천전리에 김명일의 아버지 김진(1500-1580)과 김명일을 포함한 다섯 형제를 기리는 사빈서원이 설립되었다.

운암종택은 언제 처음 지어졌는지는 알 수 없고, 1754년에 중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경상도 지역의 집들 중에는 안채와 사랑채가 마당을 가운데 두고 ㅁ자형을 이루는 경우가 많은데, 이 집은 안채가 마당을 갖추고 독립된 ㅁ자형을 이루고 있고 사랑채는 안채 오른쪽에 따로 지어졌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안방과 부엌을 두었고 오른쪽에는 건넌방을 두었다. 사랑채는 가운데에 마루방을 두고 양옆에 각각 사랑방과 책방을 두었다. 집이 위치한 곳의 지형에 맞추어 집은 동향으로 지었지만, 모든 방은 남향으로 배치해서 밝고 따뜻하게 하였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