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용인 이주국장군 고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초고)
(참고자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4번째 줄: 34번째 줄:
  
 
====1차 수정====
 
====1차 수정====
 +
이 집은 조선 후기의 무신인 이주국(李柱國, 1721~1798)이 살던 집이다.
  
 +
이주국은 1740년 무과에 급제하였고 여러 지방의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으며, 수도 방위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주국이 죽은 후 정조는 “내가 항상 의지하며 돌보던 사람이 별세했다는 비보를 들으니 매우 애통하다”라 하면서 그의 손자를 관직에 등용하도록 했다.
 +
 +
이 가옥은 1753년에 지어졌으며, 사랑채, 안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ㄱ자형의 안채에는 가운데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안방과 왼쪽에 건넌방을 두었고, 안방 앞에는 부엌과 광을 두었다. 사랑채는 안채에 비해 규모가 작지만, 방, 마루, 다락, 아궁이 등을 갖추었다. 행랑채는 대문, 방, 헛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
 +
====자문의견====
 +
#건축, 근대 위원 1
 +
#*“ㄱ자형의 안채에는” -> “안채에는”--> (사유) ㄱ자형이 아님
 +
#건축, 근대 위원 2
 +
#*문화재 명칭이 맞고, 사실관계가 객관적임.
 +
#*배치 및 평면 형태의 표현 방식 통일 예) ㄱ자형 → ‘ㄱ’자형
 +
#*이 집은... / 이 가옥은... → 이 고택은...등으로 통일할 필요가 있음.
 +
#*독창성이나 문화재의 건축적 특징이 부각될 필요가 있음.
 +
 +
====2차 수정====
 +
이 고택은 조선 후기의 무신인 이주국(李柱國, 1721~1798)이 살던 집이다.
 +
 +
이주국은 1740년 무과에 '''급제한 후''' 여러 지방의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으며, 수도 방위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주국이 죽은 후 정조는 “내가 항상 의지하며 돌보던 사람이 별세했다는 비보를 들으니 매우 애통하다”라 하면서 그의 손자를 관직에 등용하도록 했다.
 +
 +
이 가옥은 1753년에 지어졌으며, 사랑채, 안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에는 가운데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안방과 왼쪽에 건넌방을 두었고, 안방 앞에는 부엌과 광을 두었다. 사랑채는 안채에 비해 규모가 작지만, 방, 마루, 다락, 아궁이 등을 갖추었다. 행랑채는 대문, 방, 헛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60번째 줄: 80번째 줄:
 
* 용인시, 『쉽고 흥미로운 용인의 문화유산』, 휴먼컬처아리랑, 2015.
 
* 용인시, 『쉽고 흥미로운 용인의 문화유산』, 휴먼컬처아리랑, 2015.
 
* 경기도, 『경기도문화재총람 도지정편 2』, 경기문화재연구원, 2017.
 
* 경기도, 『경기도문화재총람 도지정편 2』, 경기문화재연구원, 2017.
 +
** 현재는 대문 안으로 들어서면 사랑마당과 안마당이 연속되어 있으나 건축 당시의 모습은 사랑마당과 안마당을 구획하는 담장과 중문채가 있어서 각각의 공간이 명확하게 분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이러한 점을 전제로 하면 사랑채의 전면과 측면의 구성에 대한 성격과 기능이 뚜렷해지고, 행랑채의 대문과 방의 위치, 안마당의 크기와 시선 방향 등이 적절한 구성을 갖게 된다.
 +
* 『정조실록』 48권, 정조 22년 3월 24일 무자 2번째기사. "전 판서 이주국의 죽음으로 인해, 그의 손자 이응오를 서용하도록 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kva_12203024_002
 
* 용인 이주국장군 고택(龍仁李柱國將軍古宅),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1_1_0&ccbaCpno=3413100960000
 
* 용인 이주국장군 고택(龍仁李柱國將軍古宅),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1_1_0&ccbaCpno=3413100960000
 
* 이주국(李柱國),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4%EC%A3%BC%EA%B5%AD%EC%9E%A5%EA%B5%B0&ridx=0&tot=1308
 
* 이주국(李柱國),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4%EC%A3%BC%EA%B5%AD%EC%9E%A5%EA%B5%B0&ridx=0&tot=1308
 
* 용인 이주국장군 고택,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 용인 이주국장군 고택,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 이주국(李柱國),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40_005283&curSetPos=1&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
 
* 이주국(李柱國),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40_005283&curSetPos=1&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
 +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20년 4월 7일 (화) 16:51 판


용인이주국장군고택
용인 이주국장군 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용인이주국장군고택
한자 龍仁李柱國將軍古宅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문촌로 252 (문촌리)
지정번호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96호
지정일 2000년 3월 24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곽
웹사이트 용인 이주국장군 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조선 영조·정조대의 무신으로서 많은 공적을 남긴 이주국(李柱國, 1721~1798) 장군의 생가이다. 이곳에는 묘소, 신도비, 생가, 정자터 등 그와 관련된 유적이 남아있다. 안채 기와에 '건륭18년계유일조작(乾隆十八年酉日造作)' 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 가옥이 영조 29년(1753)에 건축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안채는 경기도 지역에 널리 분포해 있는 ㄱ자형 가옥을 기본형으로 하고 있으며 안방 뒤와 건넌방 앞으로 각각 한칸, 반칸을 덧달아 지붕은 '공(工)' 자의 한쪽 날개가 생략된 형태이다. 사랑채는 4칸으로 구성되었는데 왼쪽에 청방을 두고 가운데 2칸에 방과 마루, 오른쪽에 다락방과 아궁이를 설치하였다. 현재는 대문 안으로 들어서면 사랑마당과 안마당이 연속되어 있으나 원래는 사랑마당과 안마당을 구획하는 담장과 중문채가 있어서 각각의 공간이 분리되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가옥의 입지와 채구성, 공간분할, 조경수법 등에서 조선시대 살림집의 고전적인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수정 국문

초고

이 건물은 조선 후기 무신인 이주국(李柱國, 1721~1798) 장군의 생가로 1753년에 지어졌다.

그는 1740년 무과에 급제하였고 여러 지방의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으며, 수도 방위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가옥의 구조는 사랑채, 안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20세기 초까지 이주국 장군의 후손들이 거주했으나, 이후에 정씨 소유로 바뀌면서 1989년 전통건조물로 지정될 당시 소유자의 이름을 따서 “정영대 가옥”으로 알려지기도 하였다. 현재 이곳에 그와 관련된 유적으로 묘소, 신도비, 정자터 등이 남아 있다.

1차 수정

이 집은 조선 후기의 무신인 이주국(李柱國, 1721~1798)이 살던 집이다.

이주국은 1740년 무과에 급제하였고 여러 지방의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으며, 수도 방위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주국이 죽은 후 정조는 “내가 항상 의지하며 돌보던 사람이 별세했다는 비보를 들으니 매우 애통하다”라 하면서 그의 손자를 관직에 등용하도록 했다.

이 가옥은 1753년에 지어졌으며, 사랑채, 안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ㄱ자형의 안채에는 가운데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안방과 왼쪽에 건넌방을 두었고, 안방 앞에는 부엌과 광을 두었다. 사랑채는 안채에 비해 규모가 작지만, 방, 마루, 다락, 아궁이 등을 갖추었다. 행랑채는 대문, 방, 헛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문의견

  1. 건축, 근대 위원 1
    • “ㄱ자형의 안채에는” -> “안채에는”--> (사유) ㄱ자형이 아님
  2. 건축, 근대 위원 2
    • 문화재 명칭이 맞고, 사실관계가 객관적임.
    • 배치 및 평면 형태의 표현 방식 통일 예) ㄱ자형 → ‘ㄱ’자형
    • 이 집은... / 이 가옥은... → 이 고택은...등으로 통일할 필요가 있음.
    • 독창성이나 문화재의 건축적 특징이 부각될 필요가 있음.

2차 수정

이 고택은 조선 후기의 무신인 이주국(李柱國, 1721~1798)이 살던 집이다.

이주국은 1740년 무과에 급제한 후 여러 지방의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으며, 수도 방위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주국이 죽은 후 정조는 “내가 항상 의지하며 돌보던 사람이 별세했다는 비보를 들으니 매우 애통하다”라 하면서 그의 손자를 관직에 등용하도록 했다.

이 가옥은 1753년에 지어졌으며, 사랑채, 안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에는 가운데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안방과 왼쪽에 건넌방을 두었고, 안방 앞에는 부엌과 광을 두었다. 사랑채는 안채에 비해 규모가 작지만, 방, 마루, 다락, 아궁이 등을 갖추었다. 행랑채는 대문, 방, 헛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용인 이주국장군 고택(龍仁李柱國將軍古宅) 문화유산 용인 이주국장군 고택(龍仁李柱國將軍古宅)
이주국(李柱國) 인물 이주국(李柱國) 1721~1798
정영대 가옥 개념 정영대 가옥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용인 이주국장군 고택(龍仁李柱國將軍古宅) 이주국 ~의 집이다.
용인 이주국장군 고택(龍仁李柱國將軍古宅) 정영대 가옥 ~와 관계가 있다.

참고자료

  • 용인시, 『쉽고 흥미로운 용인의 문화유산』, 휴먼컬처아리랑, 2015.
  • 경기도, 『경기도문화재총람 도지정편 2』, 경기문화재연구원, 2017.
    • 현재는 대문 안으로 들어서면 사랑마당과 안마당이 연속되어 있으나 건축 당시의 모습은 사랑마당과 안마당을 구획하는 담장과 중문채가 있어서 각각의 공간이 명확하게 분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점을 전제로 하면 사랑채의 전면과 측면의 구성에 대한 성격과 기능이 뚜렷해지고, 행랑채의 대문과 방의 위치, 안마당의 크기와 시선 방향 등이 적절한 구성을 갖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