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용인 미평리 약사여래입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Nodes)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2번째 줄: 2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이 불상은 화강암으로 만든 여래입상으로 병의 치유를 기원하면 약을 주는 '의왕불(醫王佛)'로 불린다. 또 미륵부처가 서 있는 마을이라 하여 이 마을을 ‘미륵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석불 앞에는 자연석으로 된 불단이 있고 불상의 주변에 돌기둥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본래는 불당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불상의 높이는 4.3m이다. 석불은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는데, 머리 위에는 자연석의 보개(寶蓋)가 다른 돌로 만들어져 놓여 있다. 얼굴은 신체에 비해서 큼직한 편으 로 민머리[素髮]에는 지혜를 상징하는 상투 모양의 육계(肉髻)가 있고, 이마의 중앙에는 백호(白毫)가 표현되었으며, 눈꼬리가 길게 표현된 초승달형의 눈, 오뚝한 코, 입 등이 묘사되어 있다. 두 귀는 짧게 표현되었는데, 목에는 번뇌·업(業) 고통을 상징하는 삼도(三道)가 돌려져 있다. 옷(法衣)은 양쪽 어깨를 덮은 통견(通肩)으로 U자형의 옷 주름이 흩러내리고 있다. 두 손은 가슴 앞에 두었으며, 왼손에는 깨끗한 물이 감로수를 담는 정병을 들고 있다. 민머리 위에 넓적한 보개(寶蓋)를 얹는 불상 양식은 고려 시대 이래의 지방 석불 양식으로 긴 눈, 주먹코, 길게 다문 입, 달라붙은 큼직한 귀, 체격에 비해 빈약하게 처리된 팔과 손 등의 표현에서 지방의 토속적인 특징이 잘 나타난다. 보병(寶甁)을 잡은 손은 안성 대농리 석불입상과 더불어 이 지방 약사 석불상의 한 특징을 보여준다.
+
약사여래불은 모든 중생의 질병을 고쳐 주고 재앙을 막아 주는 존재로 알려져 있어 사람들로부터 신앙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러한 약사여래불이 서 있는 모습으로 만든 불상이 약사여래입상이다. 미평리 약사여래입상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수정 국문===
+
화강암으로 만든 이 불상은 높이가 4.3m이다. 신체에 비해 얼굴이 큼직한 편으로 용인 지역 불상 중 가장 크다. 머리에는 다듬지 않은 둥글고 넓적한 돌을 올렸다. 양손은 가슴에 놓았으며 왼손에는 작은 병을 들고 있다. 불상 앞에는 넓은 자연석을 두어 불단(佛壇: 부처를 모셔 놓은 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불상 주변에 돌기둥이 있는 점으로 보아, 과거에는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초고====
 
이 불상은 중생의 질병을 고쳐준다고 여겨지는 약사여래불이 서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제작 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화강암으로 제작되었으며 병의 치유를 기원하면 약을 주는 ‘의왕불(醫王佛)’로 불린다. 또 미륵부처가 서 있는 마을이라 하여 이 마을을 ‘미륵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불상의 높이는 4.3m로 용인 지역의 불상 중 가장 큰 규모이며, 얼굴이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체는 짧아서 3등신 정도로 보인다.  
+
불상의 가장 큰 특징은 관음보살의 지물(持物: 부처나 보살, 천왕 등이 그들의 권능이나 자비를 상징하면서 손에 지니고 있는 물건을 가리키는 불교 용어)로 알려진 병을 부처가 들고 있다는 점이다. 정병(淨甁: 목이 형태의 물병을 이르는 말)은 관음보살이 지니고 있는 지물로 알려져 있지만 불상이 정병을 지니고 있는 예도 간혹 확인된다. 이러한 모습은 이 불상을 약사여래로 부르는 중요한 근거이다.
  
돌기둥 같은 신체에 머리에는 다듬지 않은 원형에 가까운 갓을 쓰고 있다. 발목 이하는 땅에 묻혀 있으나 발등은 노출되어 있다. 불상 앞에는 넓은 자연석을 두어 불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
미평리 약사여래입상은 얼굴이 유난히 큰 신체 비례를 보이는데, 인근 안성 매산리 석조보살입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얼굴 표현이나 옷 주름 처리 등에서 이보다는 토속성이 강하게 느껴져 지방화된 양식을 보여 준다.
  
이 불상의 가장 큰 특징은 왼손에 작은 정병(淨甁)을 들고 있다는 것이다. 관음보살의 물건으로 알려진 정병을 부처가 들고 있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데, 관에서 주도한 것이 아니라 민간이 주도하여 만드는 과정에서 이러한 생소한 불상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영문===
 +
Stone Standing Buddha of Mipyeong-ri, Yongin
  
====1차 수정====
+
This Buddha is presumed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It is a statue of Bhaisajyaguru, the Medicine Buddha, who is believed to possess the power to heal illness and physical defects.
  
 +
This statue is made of granite and measures 4.3 m in height, which is the tallest in the Yongin area. The head is comparatively larger than the body, and upon it is a round stone slab. Both hands are placed at the chest, and the left hand is holding a medicine bowl. The stone table before the statue is used as an altar for prayer. The stone pillars around the statue suggest that there used to be a building to house this statue.
 +
 +
===영문 해설 내용===
 +
이 불상은 약사불을 나타낸 것으로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약사불은 모든 중생의 질병을 고치고 수명을 연장해주어 사람들로부터 신앙의 대상이 되어왔다.
 +
 +
화강암으로 만든 이 불상은 높이가 4.3m로, 용인 지역 불상 중 가장 크다. 신체에 비해 얼굴이 큼직한 편이고, 머리에는 둥글고 넓적한 돌을 올렸다. 양손은 가슴에 놓았으며 왼손에는 작은 병을 들고 있다. 불상 앞에는 돌판을 두어 기도를 올리는 제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불상 주변에 돌기둥이 있는 점으로 보아, 과거에는 불상을 모셨던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2020년 6월 6일 (토) 23:40 판


용인미평리약사여래입상
용인 미평리 약사여래입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용인미평리약사여래입상
한자 龍仁彌坪里藥師如來立像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미평로81번길 58-16
지정번호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4호
지정일 1983년 9월 19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용인 미평리 약사여래입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약사여래불은 모든 중생의 질병을 고쳐 주고 재앙을 막아 주는 존재로 알려져 있어 사람들로부터 신앙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러한 약사여래불이 서 있는 모습으로 만든 불상이 약사여래입상이다. 미평리 약사여래입상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화강암으로 만든 이 불상은 높이가 4.3m이다. 신체에 비해 얼굴이 큼직한 편으로 용인 지역 불상 중 가장 크다. 머리에는 다듬지 않은 둥글고 넓적한 돌을 올렸다. 양손은 가슴에 놓았으며 왼손에는 작은 병을 들고 있다. 불상 앞에는 넓은 자연석을 두어 불단(佛壇: 부처를 모셔 놓은 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불상 주변에 돌기둥이 있는 점으로 보아, 과거에는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불상의 가장 큰 특징은 관음보살의 지물(持物: 부처나 보살, 천왕 등이 그들의 권능이나 자비를 상징하면서 손에 지니고 있는 물건을 가리키는 불교 용어)로 알려진 병을 부처가 들고 있다는 점이다. 정병(淨甁: 목이 긴 형태의 물병을 이르는 말)은 관음보살이 지니고 있는 지물로 알려져 있지만 불상이 정병을 지니고 있는 예도 간혹 확인된다. 이러한 모습은 이 불상을 약사여래로 부르는 중요한 근거이다.

미평리 약사여래입상은 얼굴이 유난히 큰 신체 비례를 보이는데, 인근 안성 매산리 석조보살입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얼굴 표현이나 옷 주름 처리 등에서 이보다는 토속성이 강하게 느껴져 지방화된 양식을 보여 준다.

영문

Stone Standing Buddha of Mipyeong-ri, Yongin

This Buddha is presumed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It is a statue of Bhaisajyaguru, the Medicine Buddha, who is believed to possess the power to heal illness and physical defects.

This statue is made of granite and measures 4.3 m in height, which is the tallest in the Yongin area. The head is comparatively larger than the body, and upon it is a round stone slab. Both hands are placed at the chest, and the left hand is holding a medicine bowl. The stone table before the statue is used as an altar for prayer. The stone pillars around the statue suggest that there used to be a building to house this statue.

영문 해설 내용

이 불상은 약사불을 나타낸 것으로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약사불은 모든 중생의 질병을 고치고 수명을 연장해주어 사람들로부터 신앙의 대상이 되어왔다.

화강암으로 만든 이 불상은 높이가 4.3m로, 용인 지역 불상 중 가장 크다. 신체에 비해 얼굴이 큼직한 편이고, 머리에는 둥글고 넓적한 돌을 올렸다. 양손은 가슴에 놓았으며 왼손에는 작은 병을 들고 있다. 불상 앞에는 돌판을 두어 기도를 올리는 제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불상 주변에 돌기둥이 있는 점으로 보아, 과거에는 불상을 모셨던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용인 미평리 약사여래입상(龍仁彌坪里藥師如來立像) 문화유산 용인 미평리 약사여래입상(龍仁彌坪里藥師如來立像)
약사여래불 개념 약사여래불
의왕불(醫王佛) 개념 의왕불(醫王佛)
정병(淨甁) 개념 정병(淨甁)
관음보살 개념 관음보살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용인 미평리 약사여래입상 약사여래불 ~와 관계가 있다.
용인 미평리 약사여래입상 의왕불 ~와 관계가 있다.
정병(淨甁) 관음보살 ~와 관계가 있다.

참고자료

  • 임석규, 「용인지역 불상의 현상과 양식적 특징」, 『용인의 불교유적』, 용인문화원, 2001.
  • 향토문화연구소, 『용인시 문화재 총람』, 용인문화원, 2007.
  • 용인시, 『쉽고 흥미로운 용인의 문화유산』, 휴먼컬처아리랑, 2015.
  • 경기도, 『경기도문화재총람 도지정편 2』, 경기문화재연구원, 2017.
  • 용인 미평리 약사여래입상(龍仁彌坪里藥師如來立像),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1_1_0&ccbaCpno=3413100440000
  • 용인 미평리 약사여래입상,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