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완주 화암사 극락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완주화암사극락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3503160000 완주 화암사...)
 
29번째 줄: 29번째 줄:
 
극락전은 죽은 이를 서방 극락세계로 인도하여 그의 영혼을 구제하는 아미타불을 모시는 곳이다.  
 
극락전은 죽은 이를 서방 극락세계로 인도하여 그의 영혼을 구제하는 아미타불을 모시는 곳이다.  
  
이 건물은 처음 지어진 시기는 확실하지 않고, 1597년 정유재란 때 불탄 것을 1605년에 중수했다는 기록이 확인되었다. 이후 크고 작은 보수가 진행되었으며 2004년 건물의 해체 보수가 완료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이 건물은 1297년에서 1307년 사이 처음 지어졌고, 1425년에서 1440년 사이 중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1597년 정유재란 때 화재로 소실된 건물을 1605년에 재건하였고, 1714년에 다시 보수했다는 기록이 확인되었다. 이후에도 크고 작은 보수가 진행되었으며 2004년 건물의 해체 보수가 완료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화암사 극락전은 우리나라에 단 하나뿐인 하앙식(下昻式) 구조이다. 하앙은 기둥과 지붕 사이에 끼운 긴 목재를 처마와 나란히 경사지게 놓아 지붕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반 구조보다 처마를 훨씬 길게 내밀 수 있게 하는 건축방식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많이 볼 수 있는 구조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것으로 목조건축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화암사 극락전은 우리나라에 단 하나뿐인 하앙식(下昻式) 구조이다. 하앙은 기둥과 지붕 사이에 끼운 긴 목재를 처마와 나란히 경사지게 놓아 지붕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반 구조보다 처마를 훨씬 길게 내밀 수 있게 하는 건축방식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많이 볼 수 있는 구조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것으로 목조건축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39번째 줄: 39번째 줄:
 
내부에는 아미타삼존불상과 탱화 3점 등이 모셔져 있다.
 
내부에는 아미타삼존불상과 탱화 3점 등이 모셔져 있다.
  
 
+
*건물 건립 및 중수 년도 관련 -> 전라북도 관광 홈페이지 및 수리보고서 토대로 작성(확인 필요)
 
*1981년 해체 수리 때 발견된 기록에 따르면 정유재란 당시 피해를 당한 이후 1605년 중건됐다.  
 
*1981년 해체 수리 때 발견된 기록에 따르면 정유재란 당시 피해를 당한 이후 1605년 중건됐다.  
 
*1858년 그려진 후불탱화, 1858년에 그려진 신중탱화, 1871년에 그려진 현왕탱화가 있다.  
 
*1858년 그려진 후불탱화, 1858년에 그려진 신중탱화, 1871년에 그려진 현왕탱화가 있다.  
54번째 줄: 54번째 줄:
 
*디지털완주문화대전 http://wanju.grandculture.net/wanju/toc/GC07000398
 
*디지털완주문화대전 http://wanju.grandculture.net/wanju/toc/GC07000398
 
*화암사 극락전 실측 및 수리보고서, 문화재청-완주군, 2004.
 
*화암사 극락전 실측 및 수리보고서, 문화재청-완주군, 2004.
 +
→건물 관련 기본 정보 확인
 +
*전라북도 관광 https://tour.jb.go.kr/board/view.do?skinId=SKIN_0000003&boardId=BBS_0000005&menuCd=DOM_000000102004008000&startPage=1&dataSid=43052
 +
→극락전이 지어진 때는 고려 후기인 1297년에서 1307년 사이, 그 후 중창된 것은 1425년에서 1440년으로 추정되었다. 또 정유재란 때 극락전이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1605년에 재건되고, 1714년에 다시 보수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봄꽃이 지면 산허리엔 수십 가지 녹색들이 피어난다, 오마이뉴스, 20.5.22. 기사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_w.aspx?CNTN_CD=A0002641818
 
*봄꽃이 지면 산허리엔 수십 가지 녹색들이 피어난다, 오마이뉴스, 20.5.22. 기사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_w.aspx?CNTN_CD=A0002641818
→건물 기본 정보 및 '하앙 구조' 사진으로 확인 가능  
+
→건물 현황 및 '하앙 구조' 사진으로 확인 가능  
 
*이야기가 있는 옛 懸板을 찾아서-완주 화암사 ‘극락전’, 영남일보, 2012. 12.26. 기사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21226.010200734580001
 
*이야기가 있는 옛 懸板을 찾아서-완주 화암사 ‘극락전’, 영남일보, 2012. 12.26. 기사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21226.010200734580001
 
→현판이 다른 곳과 달리 한 글자씩 나누어져 달려있음. 기사 참조하여 현판 형태에 대한 설명 덧붙임.
 
→현판이 다른 곳과 달리 한 글자씩 나누어져 달려있음. 기사 참조하여 현판 형태에 대한 설명 덧붙임.
 
*알쓸신잡(개인블로그) https://ch-dindong.tistory.com/35?utm_source=dable
 
*알쓸신잡(개인블로그) https://ch-dindong.tistory.com/35?utm_source=dable
 
→‘하앙구조’ 쉬운 설명
 
→‘하앙구조’ 쉬운 설명
 +
*문화콘텐츠닷컴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501&index_id=cp05010077&content_id=cp050100770001&search_left_menu=3
 +
→ 동종 관련 정보
 +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20년 5월 25일 (월) 15:24 판


완주 화암사 극락전
Geungnakjeon Hall of Hwaamsa Temple, Wanju
완주 화암사 극락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완주 화암사 극락전
영문명칭 Geungnakjeon Hall of Hwaamsa Temple, Wanju
한자 完州 花巖寺 極樂殿
주소 전라북도 완주군 화암사길 271 (경천면, 화암사)
지정번호 국보 제316호
지정일 2011년 11월 28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완주 화암사 극락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이 건물은 우리나라에 하나밖에 없는 하앙식 구조물로, 조선 선조 38년(1605)에 지은 것이다. 하앙은 기둥과 지붕 사이에 끼운 긴 목재인데, 처마와 나란히 경사지게 놓여 있다. 이것은 처마와 지붕의 무게를 고르게 받친다. 극락전 앞쪽 하앙에는 용머리를 조각하였으나 건물 뒤쪽 하앙은 꾸밈없이 뾰족하게 다듬었다. 건물 안에는 아미타삼존불상이 있다. 하앙식 구조는 중국과 일본에서는 많이 볼 수 있지만 한국에는 이 건물뿐이므로 목조 건축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수정 국문

초고

극락전은 죽은 이를 서방 극락세계로 인도하여 그의 영혼을 구제하는 아미타불을 모시는 곳이다.

이 건물은 1297년에서 1307년 사이 처음 지어졌고, 1425년에서 1440년 사이 중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1597년 정유재란 때 화재로 소실된 건물을 1605년에 재건하였고, 1714년에 다시 보수했다는 기록이 확인되었다. 이후에도 크고 작은 보수가 진행되었으며 2004년 건물의 해체 보수가 완료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화암사 극락전은 우리나라에 단 하나뿐인 하앙식(下昻式) 구조이다. 하앙은 기둥과 지붕 사이에 끼운 긴 목재를 처마와 나란히 경사지게 놓아 지붕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반 구조보다 처마를 훨씬 길게 내밀 수 있게 하는 건축방식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많이 볼 수 있는 구조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것으로 목조건축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극락전 앞면의 공포와 하앙은 각각 연꽃 모양과 용머리로 장식하였고, 뒷면은 별다른 장식 없이 끝을 날카롭게 다듬기만 하였다. 뒷면의 것이 초기의 형태에 더 가까운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의 편액은 한 글자씩 나누어 만들어졌다. 하앙 부재 때문에 공간이 부족해서 이렇게 만들었다고 하며, 편액 위에 그려진 불화를 살리기 위해서라는 이야기도 있다.

내부에는 아미타삼존불상과 탱화 3점 등이 모셔져 있다.

  • 건물 건립 및 중수 년도 관련 -> 전라북도 관광 홈페이지 및 수리보고서 토대로 작성(확인 필요)
  • 1981년 해체 수리 때 발견된 기록에 따르면 정유재란 당시 피해를 당한 이후 1605년 중건됐다.
  • 1858년 그려진 후불탱화, 1858년에 그려진 신중탱화, 1871년에 그려진 현왕탱화가 있다.
  • 원래 완주 화암사 극락전에는 경판 200여 장의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을 비롯한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등이 있었고, 이것들은 현재 전북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하앙식 구조는 신라보다는 백제에서 성행한 건축 양식으로 추정한다. 완주 화암사 극락전 건물에 사용된 하앙 하부의 포작짜임이 비록 조선시대 수법이라 할지라도 주심포작 상부에서 대량에 홈을 파고 경사지게 하앙부재를 결구시킨 수법은 매우 독특한 수법이라 할 수 있다.
  • 화암사는 불명산 시루봉 남쪽에 있는 절로 본사인 금산사에 딸린 절이다. 절을 지을 당시의 자세한 기록은 없으나 원효와 의상이 지었다고 전한다.


1차 수정

참고 자료

→건물 관련 기본 정보 확인

→극락전이 지어진 때는 고려 후기인 1297년에서 1307년 사이, 그 후 중창된 것은 1425년에서 1440년으로 추정되었다. 또 정유재란 때 극락전이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1605년에 재건되고, 1714년에 다시 보수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건물 현황 및 '하앙 구조' 사진으로 확인 가능

→현판이 다른 곳과 달리 한 글자씩 나누어져 달려있음. 기사 참조하여 현판 형태에 대한 설명 덧붙임.

→‘하앙구조’ 쉬운 설명

→ 동종 관련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