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완주 안심사 금강계단

HeritageWiki
Evgenia92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0월 24일 (토) 14:22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완주 안심사 금강계단
Ordination Platform of Ansimsa Temple, Wanju
완주 안심사 금강계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완주 안심사 금강계단
영문명칭 Ordination Platform of Ansimsa Temple, Wanju
한자 完州 安心寺 金剛戒壇
주소 전북 완주군 운주면 안심길 372
지정번호 보물 제1434호
지정일 2005년 6월 13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기타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전
웹사이트 완주 안심사 금강계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금강계단은 출가자가 부처님이 정한 계율에 따를 것을 서약하는 수계(受戒) 의식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중앙에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종 모양의 부도가 있는데, 이는 부처님이 늘 이곳에 계신다는 것을 상징한다.

안심사 금강계단은 영조 35년(1759) 이전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축대를 쌓고 그 위에 연꽃무늬와 격자 문양 등으로 장식한 사각 기단을 조성하였으며, 기단 중앙에 팔각형의 받침돌을 두고 그 위에 종 모양의 부도를 설치하였다. 부도 안에는 석가모니 부처의 치아사리(齒牙舍利) 1과와 의습(衣襲) 10점을 봉안하였다.

기단의 네 모서리에는 계단을 지키는 신장상이 있는데, 갑옷 차림에 투구를 쓰고 칼로 무장한 장군 형상을 하고 있다. 종 모양의 부도 북쪽에는 크기가 작은 부도가 1기 더 있으며, 북동쪽 신장상 가까이 부처님께 절을 올리는 배례석으로 추정되는 크고 네모난 돌이 놓여 있다.

안심사 금강계단은 광해군 5년(1613년)에 세워진 대구 용연사 석조계단(보물 제539호)과 제작 시기가 가깝고, 신장상의 인물 형태와 세부 조각 수법이 비슷하여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계단의 특징과 조성 방법 등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영문

Ordination Platform of Ansimsa Temple, Wanju

An ordination platform is a place where an ordination ceremony is held in which a lay follower of Buddhism formally vows to uphold the precepts given by the Buddha. In the center of the platform, there is a bell-shaped stupa where the remains of the Buddha are enshrined. It symbolizes the eternal presence of the Buddha in this place.

Ordination Platform of Ansimsa Temple is known to have been built before 1759.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this ordination platform consists of a stone elevation, a rectangular foundation with lotus design and lattice pattern, and an octagonal base in the center of the foundation that supports the bell-shaped stupa. Inside the stupa there are enshrined remains of Sakyamuni Buddha, consisting of one tooth and ten pieces of his robe.

At the corners of the foundation there are four guardian deities that protect the stairs. The guardian deities are wearing armor and helmet portraying fully armored generals. On the north side, next to the bell-shaped stupa there is another smaller stupa, and on the north-east side, next to the guardian deities there is large square stone that is presumed to be a rock of worshipping.

Stone Ordination Platform of Yong-Yeonsa Temple from Daegu was erected in 1613 and Ordination Platform of Ansimsa Temple was made around the same time. The shape of the guarding deities and the creation method of other detailed decorations are similar thus it is a valuable resource for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the stairs and the creation methods used in the late Joseon period (1392-1910).

영문 해설 내용

금강계단은 출가자가 부처님이 정한 계율을 따를 것을 서약하는 수계(受戒) 의식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중앙에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종 모양의 부도가 있는데, 이는 부처님이 늘 이곳에 계신다는 것을 상징한다.

안심사 금강계단은 1759년 이전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축대를 쌓고 그 위에 연화문과 격자 문양 등으로 장식한 사각 기단을 조성하였으며, 기단 중앙에 팔각형의 받침돌을 두고 그 위에 종 모양의 부도를 설치하였다. 부도 안에는 석가모니 부처의 치아사리 1과와 의습 10점을 봉안하였다.

기단의 네 모서리에는 계단을 지키는 신장상이 있는데, 갑옷 차림에 투구를 쓰고 칼로 무장한 장군 형상을 하고 있다. 종 모양의 부도 북쪽에는 크기가 작은 부도가 1기 더 있으며, 북동쪽 신장상 근처에는 배례석으로 추정되는 크고 네모난 돌이 놓여 있다.

안심사 금강계단은 1613년에 세워진 대구 용연사 석조계단(보물 제539호)과 제작 시기가 가깝고, 신장상의 인물 형태와 세부 조각 수법이 비슷하여,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계단의 특징과 조성 방법 등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자료

  • 전통사찰총서 8 - 전북의 전통사찰1, 사찰문화연구원, 2008. → 안심사 기본 정보
  • 디지털완주문화대전 http://wanju.grandculture.net/wanju/toc/GC07000407
  • 2010-2012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문화재 수리보고서 - 5. 전라북도, 문화재청, 2017. → 금강계단 기본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