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영월 정양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국문)
41번째 줄: 41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정양산(해발 430~565m)에 위치한 정양산성은 삼국시대에 처음 쌓아 조선 전기까지 계속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남한강에 돌출된 산의 자연 지형을 활용하여 돌로 쌓았으며, 전체 평면 모습은 서북쪽을 향하는 넓은 사다리꼴 모양이다.
 +
 +
성벽은 자연석을 적당히 다듬어 매우 정교하게 쌓았고, 크게 내성과 외성으로 구분된다. 내성의 둘레는 1,060m, 외성의 둘레는 570m로 성벽 전체 길이는 1,630m에 이르며,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최고 높이는 11.5m에 이른다. 이는 한국의 고대 산성 중에서도 매우 큰 규모에 속한다. 북서쪽에 있는 정양리에서 계곡을 따라 오르는 곳에 5개, 외성 내에 2∼3개의 차단벽이 있고, 남서쪽 일대에는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인 여장(女墻)이 남아 있다.
 +
 +
이 산성에서는 세 군데의 문터가 확인되었다. 성문은 문 입구를 높여 사다리 등을 타고 오르내리는 현문 형식이다. 성벽이 꺾이는 세 군데에는 적을 감시하고 공격하려 성벽 바깥으로 돌출하여 만든 치성 또는 곡성의 흔적이 남아 있다. 성 내부 남쪽의 낮은 지대에는 비교적 넓은 평지가 있으며, 이곳에 여러 건물이 있었으리라 추정한다.
 +
 +
정양산성은 삼국이 한강 유역을 놓고 다투던 시기에 한강 상류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산성이었을 뿐만 아니라, 성벽, 문터, 곡성, 치성 그리고 후대의 외성과 차단벽을 갖춘 국내 유일한 산성으로 보존 상태도 양호하여 역사상·학술상 가치가 있다.
  
  

2024년 4월 12일 (금) 13:15 판


영월 정양산성
Jeongyangsanseong Fortress, Yeongwol
대표명칭 영월 정양산성
영문명칭 Jeongyangsanseong Fortress, Yeongwol
한자 寧越 正陽山城
주소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정양리 산1-1번지 외 8필
지정번호 사적 제446호
지정일 2003년 6월 2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시대 삼국시대
수량/면적 173,814㎡
웹사이트 영월 정양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영월 정양산성은 남한강에 돌출된 정양산(해발 430~565m)의 자연 지형을 잘 이용하여 돌로 쌓은 산성이다.

이 성은 문헌 기록상 축조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삼국이 한강 유역을 놓고 다투던 삼국 시대에 처음 쌓았을 것으로 추정하며, 『세종실록지리지』에 ‘둘레 798보, 성안에 샘이 하나 있고, 창고 5칸이 있다’는 기록이 있어 조선 전기까지 계속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성의 전체 평면 모습은 서북쪽을 향하는 넓은 사다리꼴 모양이다. 이 성은 크게 내성과 외성으로 구분되는데, 내성의 둘레는 1,060m, 외성의 둘레는 570m로 성벽 전체 길이는 1,630m에 이른다. 그리고 북서쪽에 있는 정양리에서 계곡을 따라 오르는 곳에 5개, 외성 내에 2∼3개의 차단벽이 있다.

성벽은 자연석을 적당히 다듬어 매우 정교하게 쌓았는데, 현재 남아 있는 성벽만 해도 높이가 최고 11.5m에 이른다. 이는 우리나라 고대 산성 중에서 성벽 규모만으로 볼 때 최대로 꼽히는 충북 보은의 삼년산성과 견줄 만하다. 한편 남서쪽 일대에는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인 여장(女墻)이 남아 있다.

남쪽의 낮은 지대에는 비교적 넓은 평지가 있는데, 여러 건물이 있었으리라 추정한다. 세 군데에 문터가 있는데, 성문은 문 입구를 높여 사다리 등을 타고 오르내리는 현문(懸門) 형식이다. 성벽이 꺾이는 세 군데에는 적을 감시하고 공격하려 성벽 바깥으로 돌출하여 만든 치성(雉城) 또는 곡성(曲城)의 흔적이 남아 있다.

영월 정양산성은 한강 상류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산성일 뿐만 아니라 성벽과 문터, 곡성과 치성 그리고 후대의 외성과 차단벽을 갖춘 유일한 산성으로 보존 상태도 양호하여 역사상·학술상 가치가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정양산(해발 430~565m)에 위치한 정양산성은 삼국시대에 처음 쌓아 조선 전기까지 계속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남한강에 돌출된 산의 자연 지형을 활용하여 돌로 쌓았으며, 전체 평면 모습은 서북쪽을 향하는 넓은 사다리꼴 모양이다.

성벽은 자연석을 적당히 다듬어 매우 정교하게 쌓았고, 크게 내성과 외성으로 구분된다. 내성의 둘레는 1,060m, 외성의 둘레는 570m로 성벽 전체 길이는 1,630m에 이르며,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최고 높이는 11.5m에 이른다. 이는 한국의 고대 산성 중에서도 매우 큰 규모에 속한다. 북서쪽에 있는 정양리에서 계곡을 따라 오르는 곳에 5개, 외성 내에 2∼3개의 차단벽이 있고, 남서쪽 일대에는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인 여장(女墻)이 남아 있다.

이 산성에서는 세 군데의 문터가 확인되었다. 성문은 문 입구를 높여 사다리 등을 타고 오르내리는 현문 형식이다. 성벽이 꺾이는 세 군데에는 적을 감시하고 공격하려 성벽 바깥으로 돌출하여 만든 치성 또는 곡성의 흔적이 남아 있다. 성 내부 남쪽의 낮은 지대에는 비교적 넓은 평지가 있으며, 이곳에 여러 건물이 있었으리라 추정한다.

정양산성은 삼국이 한강 유역을 놓고 다투던 시기에 한강 상류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산성이었을 뿐만 아니라, 성벽, 문터, 곡성, 치성 그리고 후대의 외성과 차단벽을 갖춘 국내 유일한 산성으로 보존 상태도 양호하여 역사상·학술상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