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연서 학림사 신중도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8월 20일 (목) 15:59 판 (해설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서 학림사 신중도
연서 학림사 신중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연서 학림사 신중도
한자 燕西 鶴林寺 神衆圖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룡로 353 학림사
지정번호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 제23호
지정일 2019년 10월 21일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기타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폭
웹사이트 연서 학림사 신중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학림사 신중도는 고종 28년(1891)에 석골사 함화암에서 우송 상수를 비롯한 7명의 승려 화가가 함께 그려서 석남사 정토암에 봉안하였다가 학림사로 옮겨온 것이다. 신중도는 부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신들의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신중은 신묘한 능력으로 재앙을 쫓고 복을 주는 존재로 알려져 있다.

화면 중앙에는 깃털 장식이 달린 투구를 쓰고 겨드랑이에 삼지창을 비스듬히 꽂은 채 두 손을 모아 합장하고 있는 위태천*이 그려져 있다. 위태천 좌우에는 상투관을 쓰고 청룡언월도*를 든 인물과 원유관*에 붉은색 도포를 입고 두 손으로 홀*을 든 인물이 각각 서 있다. 신중들 뒤로는 산수화가 그려진 병풍이 있으며, 바닥에는 구름 문양이 간단하게 그려져 있다.


  • 위태천(韋太天): 부처님을 지키는 수호신.
  • 청룡언월도(靑龍偃月刀): 반달모양의 날을 가진 용무늬가 있는 칼.
  • 원유관(遠遊冠): 임금과 왕세자가 쓰던 관.
  • 홀(笏): 벼슬아치가 관복을 갖춰 입을 때 손에 쥐는 패.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신중도는 부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여러 신인 신중(神衆)을 그린 그림이다. 신중은 부처나 보살처럼 깨달음을 얻은 존재는 아니지만, 신묘한 능력으로 재앙을 쫓아주며 복을 주는 존재로 여겨진다.

학림사 신중도는 1891년 석골사 함화암에서 우송 상수(友松 爽洙)를 비롯한 7명의 승려 화가가 함께 그려서 석남사 정토암에 봉안하였다. 학림사로 옮겨온 연유와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화면 중앙에는 깃털 장식이 달린 투구를 쓰고 겨드랑이에 삼지창을 비스듬히 꽂은 채 두 손을 모아 합장하고 있는 위태천(韋太天)이 그려져 있다. 위태천은 힌두교 신화에 나오는 군신(軍神) 스칸다(Skanda)에서 유래하였으며,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님을 지키는 수호신이 되었다.

위태천의 오른쪽에는 붉은색 도포를 입고 왕족이 쓰던 관을 쓴 사람이 두 손으로 홀(笏, 벼슬아치가 관복을 갖춰 입을 때 손에 쥐는 판)을 들고 서 있고, 왼쪽에는 상투관을 쓰고 용무늬로 장식된 반달모양 칼을 든 사람이 서있다.

바닥에는 구름문양이 간단하게 그려져 있고, 신중들 뒤에 가로로 펼쳐진 병풍에는 산수화가 그려져 있다. 그림의 전체 크기는 가로 68.8㎝, 세로 69.4㎝이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