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서씨,김익겸 정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연산서씨김익겸정려.jpg
 
|사진=연산서씨김익겸정려.jpg
34번째 줄: 33번째 줄:
 
These plaques commemorate the loyalty of Kim Ik-gyeom (1614-1636) to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e maternal devotion of his mother Lady Seo, and the matrimonial devotion of his grandson's wife Lady Jeong. The pavilion on the left houses the plaque dedicated to Kim Ik-gyeom, and the one on the right houses the plaques of Lady Seo and Lady Jeong.
 
These plaques commemorate the loyalty of Kim Ik-gyeom (1614-1636) to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e maternal devotion of his mother Lady Seo, and the matrimonial devotion of his grandson's wife Lady Jeong. The pavilion on the left houses the plaque dedicated to Kim Ik-gyeom, and the one on the right houses the plaques of Lady Seo and Lady Jeong.
  
Kim Ik-gyeom was the grandson of Kim Jang-saeng (1548-1631), an eminent philosopher and politician. Shortly after the Manchu invasion begun in 1637, the crown prince and the court retreated to Ganghwado Island, and Kim Ik-gyeom and his mother, Lady Seo, followed. However, in less than a month, Ganghwado fell to the enemy. Kim Ik-gyeom desperately fought back until the very end before ultimately taking his own life. Upon hearing the news of her son’s death, Lady Seo also committed suicide. Lady Seo's maternal devotion and Kim Ik-gyeom's loyalty to the country were commemorated with plaques in 1759 and 1816, respectively.  
+
Kim Ik-gyeom was the grandson of Kim Jang-saeng (1548-1631), an eminent philosopher and politician. Shortly after the Manchu invasion begun in 1637, the crown prince and the royal relatives retreated to Ganghwado Island, and Kim Ik-gyeom and his mother, Lady Seo, followed. However, in less than a month, Ganghwado fell to the enemy. Kim Ik-gyeom desperately fought back until the very end before ultimately taking his own life. Upon hearing the news of her son’s death, Lady Seo also committed suicide. Lady Seo’s maternal devotion and Kim Ik-gyeom’s loyalty to the country were commemorated with plaques bestowed by the king in 1759 and 1816, respectively.  
  
Lady Jeong was the wife of Kim Ik-gyeom’s grandson, Kim Jin-gyu (1658-1716). After her husband’s death, Lady Jeong resolved to end her own life, refusing to drink even rice gruel, and died the following year at the age of 27. In 1752, her matrimonial devotion was commemorated with a plaque bestowed by the king.
+
Lady Jeong was the wife of Kim Ik-gyeom’s grandson, Kim Jin-gyu (1658-1716). After her husband’s death, Lady Jeong resolved to end her own life, refusing to drink even rice gruel, and died the following year at the age of 27. In 1752, her matrimonial devotion was commemorated with a plaque.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조선시대의 충신 김익겸(1614-1636)과 김익겸의 어머니인 연산서씨, 김익겸의 손자며느리인 연일정씨에게 내려진 정려이다. 오른쪽 정려각에는 김익겸의 정려가 모셔져 있고, 왼쪽 정려각에 연산서씨와 연일정씨의 정려를 함께 모셨다.  
+
조선시대의 충신 김익겸(1614-1637)과 김익겸의 어머니인 연산서씨, 김익겸의 손자며느리인 연일정씨에게 내려진 정려이다. 오른쪽 정려각에는 김익겸의 정려가 모셔져 있고, 왼쪽 정려각에 연산서씨와 연일정씨의 정려를 함께 모셨다.  
  
 
김익겸은 저명한 사상가이자 정치가인 김장생(1548-1631)의 손자이다. 1637년 병자호란이 일어난 직후, 왕자와 종친들이 강화도로 피난하였는데, 이때 어머니인 연산서씨와 함께 강화도로 갔다. 적이 침입한 지 불과 한 달 만에 강화도가 함락되었고, 김익겸은 끝까지 항전하다가 자결하였으며 아들의 소식을 들은 연산서씨도 자결하였다. 연산서씨와 김익겸의 정려는 각각 1759년과 1816년에 내려졌다.
 
김익겸은 저명한 사상가이자 정치가인 김장생(1548-1631)의 손자이다. 1637년 병자호란이 일어난 직후, 왕자와 종친들이 강화도로 피난하였는데, 이때 어머니인 연산서씨와 함께 강화도로 갔다. 적이 침입한 지 불과 한 달 만에 강화도가 함락되었고, 김익겸은 끝까지 항전하다가 자결하였으며 아들의 소식을 들은 연산서씨도 자결하였다. 연산서씨와 김익겸의 정려는 각각 1759년과 1816년에 내려졌다.

2020년 5월 21일 (목) 14:13 기준 최신판

연산서씨,김익겸정려
Commemorative Plaques of Kim Ik-gyeom, Lady Seo, and Lady Jeong
연산서씨,김익겸 정려,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연산서씨,김익겸정려
영문명칭 Commemorative Plaques of Kim Ik-gyeom, Lady Seo, and Lady Jeong
한자 連山徐氏,金益兼旌閭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1665번길 8-13 (전민동)
지정번호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2호
지정일 2008년 8월 22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사우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정려3기, 정려각 2동
웹사이트 연산서씨,김익겸 정려,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곳에는 충신 김익겸(金益兼), 열녀 연산 서씨(連山徐氏), 열녀 연일 정씨(延日鄭氏) 등 세 사람의 명정(命旌) 현판을 2개의 정려각에 나누어 봉안하고 있다. 김익겸은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의 손자이자 김반(金槃)의 아들로, 1635년 생원시에 1등, 진사시에 3등으로 합격하였다. 그는 병자호란 때 강화도로 들어가 항전을 하다가 수호할 수 없게 되자 화약을 터뜨려 스스로 삶을 마감하였다. 열녀 연산 서씨는 김익겸의 어머니로, 아들이 강화도에서 싸우다가 죽자 스스로 목을 매어 자살했다. 열녀 연일 정씨는 김장생의 현손인 죽천 김진규(竹泉 金鎭圭)에게 출가하였는데, 남편이 죽은 이듬해 27세의 나이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후 연일 정씨에게는 1752년, 연산 서씨에게는 1759년에 표장(表章)하였다.

2개의 정려각 중 동편에 김익겸의 정려를 봉안하였고, 서편에는 연산 서씨와 연일 정씨의 정려를 함께 봉안하였다. 두 정려각은 앞면 1칸, 옆면 1칸 규모의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구조가 거의 유사하다. 정려각 뒤편 언덕에 김익겸과 그의 부친 김반의 묘소가 있다.


  • 표장: 어떤 일에 좋은 성과를 내었거나 훌륭한 행실을 한 데 대하여 세상에 널리 알려 칭찬함. 또는 그것에 대하여 명예로운 증서나 메달 따위를 줌.

영문

Commemorative Plaques of Kim Ik-gyeom, Lady Seo, and Lady Jeong

These plaques commemorate the loyalty of Kim Ik-gyeom (1614-1636) to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e maternal devotion of his mother Lady Seo, and the matrimonial devotion of his grandson's wife Lady Jeong. The pavilion on the left houses the plaque dedicated to Kim Ik-gyeom, and the one on the right houses the plaques of Lady Seo and Lady Jeong.

Kim Ik-gyeom was the grandson of Kim Jang-saeng (1548-1631), an eminent philosopher and politician. Shortly after the Manchu invasion begun in 1637, the crown prince and the royal relatives retreated to Ganghwado Island, and Kim Ik-gyeom and his mother, Lady Seo, followed. However, in less than a month, Ganghwado fell to the enemy. Kim Ik-gyeom desperately fought back until the very end before ultimately taking his own life. Upon hearing the news of her son’s death, Lady Seo also committed suicide. Lady Seo’s maternal devotion and Kim Ik-gyeom’s loyalty to the country were commemorated with plaques bestowed by the king in 1759 and 1816, respectively.

Lady Jeong was the wife of Kim Ik-gyeom’s grandson, Kim Jin-gyu (1658-1716). After her husband’s death, Lady Jeong resolved to end her own life, refusing to drink even rice gruel, and died the following year at the age of 27. In 1752, her matrimonial devotion was commemorated with a plaque.

영문 해설 내용

조선시대의 충신 김익겸(1614-1637)과 김익겸의 어머니인 연산서씨, 김익겸의 손자며느리인 연일정씨에게 내려진 정려이다. 오른쪽 정려각에는 김익겸의 정려가 모셔져 있고, 왼쪽 정려각에 연산서씨와 연일정씨의 정려를 함께 모셨다.

김익겸은 저명한 사상가이자 정치가인 김장생(1548-1631)의 손자이다. 1637년 병자호란이 일어난 직후, 왕자와 종친들이 강화도로 피난하였는데, 이때 어머니인 연산서씨와 함께 강화도로 갔다. 적이 침입한 지 불과 한 달 만에 강화도가 함락되었고, 김익겸은 끝까지 항전하다가 자결하였으며 아들의 소식을 들은 연산서씨도 자결하였다. 연산서씨와 김익겸의 정려는 각각 1759년과 1816년에 내려졌다.

연일정씨는 김익겸의 손자인 김진규(1658-1716)의 아내이다. 남편이 죽자 스스로 목숨을 끊기로 다짐하고 미음도 마시지 않았다고 하며, 이듬해에 27세의 나이로 죽었다. 연일정씨의 정려는 1752년에 내려졌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