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계획서 2018-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center><font size="+2">『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 및 명칭 용례 설명서』</font></center>
 
<center><font size="+2">『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 및 명칭 용례 설명서』</font></center>
 
+
<br/><br/>
 
==사업 목적==
 
==사업 목적==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이하 ‘기준 규칙’)』을 활용한 문화재 영문 명칭 제정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기준 규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문화재 관련 기관 및 지자체 담당자들과 번역자들이 새로운 문화재의 영문 명칭을 정하는 데 쉽게 참조할 수 있는 지침서를 제작하여 제공.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이하 ‘기준 규칙’)』을 활용한 문화재 영문 명칭 제정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기준 규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문화재 관련 기관 및 지자체 담당자들과 번역자들이 새로운 문화재의 영문 명칭을 정하는 데 쉽게 참조할 수 있는 지침서를 제작하여 제공.
  
==사업 수행 기간:6개월==
+
==사업 수행 기간==
 +
 
 +
* 6개월
  
 
==과업 내용==
 
==과업 내용==
14번째 줄: 16번째 줄:
  
 
※ 문화재 유형 예시<br/>
 
※ 문화재 유형 예시<br/>
서원·향교 – 유적지 대표 명칭, 강학 공간, 제향 공간, 문적 및 회화 작품<br/>
+
* 서원·향교 – 유적지 대표 명칭, 강학 공간, 제향 공간, 문적 및 회화 작품<br/>
사찰 – 유적지 대표 명칭, 전각/시설, 석조각, 불탑, 탑비, 사리장엄구/동종, 불화<br/>
+
* 사찰 – 유적지 대표 명칭, 전각/시설, 석조각, 불탑, 탑비, 사리장엄구/동종, 불화<br/>
기독교 유적 – 성당/교회<br/>
+
* 기독교 유적 – 성당/교회<br/>
생활유적 – 가옥/재실, 문적, 유물<br/>
+
* 생활유적 – 가옥/재실, 문적, 유물<br/>
성곽·산성<br/>
+
* 성곽·산성<br/>
명승지 – 정원, ~대(臺)<br/>
+
* 명승지 – 정원, ~대(臺)<br/>
근현대 유적<br/>
+
* 근현대 유적<br/>
  
 
※ 문화재 명칭 조어(造語) 유형 예시<br/>
 
※ 문화재 명칭 조어(造語) 유형 예시<br/>
건조물, 유적 및 명승 – 고유한 이름 로마자 표기 + 후부요소 의미역<br/>
+
* 건조물, 유적 및 명승 – 고유한 이름 로마자 표기 + 후부요소 의미역<br/>
무형문화재 – 고유한 이름 로마자 표기 + (전체의 의미역)<br/>
+
* 무형문화재 – 고유한 이름 로마자 표기 + (전체의 의미역)<br/>
동물 및 식물 – 의미역 + (학명)<br/>
+
* 동물 및 식물 – 의미역 + (학명)<br/>
도자기 – 종류, 용도, 형태, 기법, 무늬 등의 명명 요소 의미역 조합<br/>
+
* 도자기 – 종류, 용도, 형태, 기법, 무늬 등의 명명 요소 의미역 조합<br/>
석조, 목조, 금속 공예 – 재질, 용도, 형태, 기법, 무늬 등의 명명 요소 의미역 조합<br/>
+
* 석조, 목조, 금속 공예 – 재질, 용도, 형태, 기법, 무늬 등의 명명 요소 의미역 조합<br/>
불상 – 재질, 자세, 존명 등의 명명 요소 의미역 조합<br/>
+
* 불상 – 재질, 자세, 존명 등의 명명 요소 의미역 조합<br/>
서적, 지도 – 고유한 이름 로마자 표기 + (전체의 의미역)<br/>
+
* 서적, 지도 – 고유한 이름 로마자 표기 + (전체의 의미역)<br/>
불경 * 산스크리트어 제목 + (통용되는 영어 제목이 있는 경우 병기)<br/>
+
* 불경 * 산스크리트어 제목 + (통용되는 영어 제목이 있는 경우 병기)<br/>
회화 * 고유한 이름 로마자 표기 + (전체의 의미역)<br/>
+
* 회화 * 고유한 이름 로마자 표기 + (전체의 의미역)<br/>
불교 회화 – 소재지 중심의 명칭 + (畫題)<br/>
+
* 불교 회화 – 소재지 중심의 명칭 + (畫題)<br/>
명문이 포함된 문화재명 * 유물 이름 + with Inscription of "~"<br/>
+
* 명문이 포함된 문화재명 * 유물 이름 + with Inscription of "~"<br/>
지명이 포함된 문화재명 * 시, 군, 구 등의 행정지명: 문화재 이름 + [,] + 지명  동, 리 등의 행정지명, 자연지명, 유적지명:  문화재 이름 + [전치사] + 지명<br/>
+
* 지명이 포함된 문화재명 * 시, 군, 구 등의 행정지명: 문화재 이름 + [,] + 지명  동, 리 등의 행정지명, 자연지명, 유적지명:  문화재 이름 + [전치사] + 지명<br/>
인명이 포함된 문화재명 * 문화재 이름 + [전치사] + 인명<br/>
+
* 인명이 포함된 문화재명 * 문화재 이름 + [전치사] + 인명<br/>
  
 
===2)기준 규칙 및 명명 요소 데이터의 활용 안내===
 
===2)기준 규칙 및 명명 요소 데이터의 활용 안내===
46번째 줄: 48번째 줄:
  
 
* 시도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의 국문 명칭을 분석하여, ‘기준 규칙’에 추가해야 할 명명 요소 목록 제시.
 
* 시도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의 국문 명칭을 분석하여, ‘기준 규칙’에 추가해야 할 명명 요소 목록 제시.
 
  
 
===4)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구축===
 
===4)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구축===
54번째 줄: 55번째 줄:
 
==기대 효과==
 
==기대 효과==
  
‘기준 규칙’ 및 ‘용례집’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설명서를 제작·보급함으로써 이용자의 이해를 제고할 수 있고, 누구나 새로운 문화재명칭을 영문으로 표기할 때 가장 적절한 선례를 쉽게 찾아 참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 ‘기준 규칙’ 및 ‘용례집’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설명서를 제작·보급함으로써 이용자의 이해를 제고할 수 있고, 누구나 새로운 문화재명칭을 영문으로 표기할 때 가장 적절한 선례를 쉽게 찾아 참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 공공용어 외국어 표기 표준화와 같은 유사 사업에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기관별 표기 기준 간의 일관성을 도모한다.  
공공용어 외국어 표기 표준화와 같은 유사 사업에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기관별 표기 기준 간의 일관성을 도모한다.  
+
*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을 통하여, 이용자가 보다 능동적으로 ‘기준 규칙’ 및 ‘용례집’을 활용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
* 문화재 관련 기관 및 지자체에 분산되어 있는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관련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정부 3.0 취지에 부합하는 유관 데이터 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향후 디지털 문화재 안내 등의 수요에 부응할 2차 콘텐츠 생산의 기반을 확보한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을 통하여, 이용자가 보다 능동적으로 ‘기준 규칙’ 및 ‘용례집’을 활용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문화재 관련 기관 및 지자체에 분산되어 있는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관련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정부 3.0 취지에 부합하는 유관 데이터 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향후 디지털 문화재 안내 등의 수요에 부응할 2차 콘텐츠 생산의 기반을 확보한다.
 

2018년 2월 6일 (화) 06:32 기준 최신판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 및 명칭 용례 설명서』



사업 목적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이하 ‘기준 규칙’)』을 활용한 문화재 영문 명칭 제정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기준 규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문화재 관련 기관 및 지자체 담당자들과 번역자들이 새로운 문화재의 영문 명칭을 정하는 데 쉽게 참조할 수 있는 지침서를 제작하여 제공.

사업 수행 기간

  • 6개월

과업 내용

1) 문화재 영문 명칭 명명 요소의 선정과 적용 사례

  •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용례집』(2014)에 수록된 국가지정문화재 및 등록문화재(4,358개)의 국문 및 영문 명칭을 문화재 유형, 조어(造語) 상의 특징, 명명 요소에 따라 정리하고, ‘기준 규칙’의 적용 방법과 사례를 제시.

※ 문화재 유형 예시

  • 서원·향교 – 유적지 대표 명칭, 강학 공간, 제향 공간, 문적 및 회화 작품
  • 사찰 – 유적지 대표 명칭, 전각/시설, 석조각, 불탑, 탑비, 사리장엄구/동종, 불화
  • 기독교 유적 – 성당/교회
  • 생활유적 – 가옥/재실, 문적, 유물
  • 성곽·산성
  • 명승지 – 정원, ~대(臺)
  • 근현대 유적

※ 문화재 명칭 조어(造語) 유형 예시

  • 건조물, 유적 및 명승 – 고유한 이름 로마자 표기 + 후부요소 의미역
  • 무형문화재 – 고유한 이름 로마자 표기 + (전체의 의미역)
  • 동물 및 식물 – 의미역 + (학명)
  • 도자기 – 종류, 용도, 형태, 기법, 무늬 등의 명명 요소 의미역 조합
  • 석조, 목조, 금속 공예 – 재질, 용도, 형태, 기법, 무늬 등의 명명 요소 의미역 조합
  • 불상 – 재질, 자세, 존명 등의 명명 요소 의미역 조합
  • 서적, 지도 – 고유한 이름 로마자 표기 + (전체의 의미역)
  • 불경 * 산스크리트어 제목 + (통용되는 영어 제목이 있는 경우 병기)
  • 회화 * 고유한 이름 로마자 표기 + (전체의 의미역)
  • 불교 회화 – 소재지 중심의 명칭 + (畫題)
  • 명문이 포함된 문화재명 * 유물 이름 + with Inscription of "~"
  • 지명이 포함된 문화재명 * 시, 군, 구 등의 행정지명: 문화재 이름 + [,] + 지명 동, 리 등의 행정지명, 자연지명, 유적지명: 문화재 이름 + [전치사] + 지명
  • 인명이 포함된 문화재명 * 문화재 이름 + [전치사] + 인명

2)기준 규칙 및 명명 요소 데이터의 활용 안내

  • 시도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등의 문화재 명칭을 영문으로 표기할 때 ‘기준 규칙’을 활용하는 방안을 사례별로 제시.

3) 기준 규칙 및 명명 요소 데이터의 확대 및 품질 개선 방안

  • 현재의 ‘기준 규칙’을 시도지정문화재 등 더 넓은 범위에 적용하는 데 필요한 보완 및 개선 과제 도출.
  • 시도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의 국문 명칭을 분석하여, ‘기준 규칙’에 추가해야 할 명명 요소 목록 제시.

4)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구축

  • ‘기준 규칙’의 내용 및 적용 사례를 보다 용이하게 검색·조회할 수 있도록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구축.

기대 효과

  • ‘기준 규칙’ 및 ‘용례집’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설명서를 제작·보급함으로써 이용자의 이해를 제고할 수 있고, 누구나 새로운 문화재명칭을 영문으로 표기할 때 가장 적절한 선례를 쉽게 찾아 참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공공용어 외국어 표기 표준화와 같은 유사 사업에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기관별 표기 기준 간의 일관성을 도모한다.
  •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을 통하여, 이용자가 보다 능동적으로 ‘기준 규칙’ 및 ‘용례집’을 활용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 문화재 관련 기관 및 지자체에 분산되어 있는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관련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정부 3.0 취지에 부합하는 유관 데이터 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향후 디지털 문화재 안내 등의 수요에 부응할 2차 콘텐츠 생산의 기반을 확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