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 및 사리장엄구 일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양양낙산사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및사리장엄구일괄.jpg
 
|사진=양양낙산사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및사리장엄구일괄.jpg
59번째 줄: 58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사리탑====
 
====사리탑====
이 탑은 1683년 낙산사 홍련암에서 발견된 진신사리를 모시기 위해 1692년에 세웠다고 전해진다. 홍련암 입구에 서 있는 비석에 새겨진 기록에 따르면, 홍련암에 봉안된 관음상을 개금하던 중 주변에 상서로운 기운이 일어나더니 닫집에서 진신사리 1과가 떨어졌다고 한다.  
+
이 탑은 1683년 홍련암에서 발견된 진신사리를 모시기 위해 1692년에 세웠다고 전해진다.  
  
2005년 큰 화재로 피해를 입은 뒤 탑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청동합, 보자기, 은제합, 금제합, 자주색 유리호, 진신사리 등 총 37점의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다. 진신사리를 모신 탑, 그 안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 탑의 제작 시기, 배경, 과정 등을 기록한 비석은 모두 조선시대 불교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11년 보물 제1723호로 일괄 지정되었다.
+
홍련암 입구에 서 있는 비석에 새겨진 기록에 따르면, 홍련암에 봉안된 관음상을 개금하던 중 주변에 상서로운 기운이 일어나더니 닫집에서 진신사리 1과가 떨어졌다고 한다. 이후 이 탑을 세워 사리를 봉안하였다. 2005년 큰 화재로 피해를 입은 뒤 탑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청동합, 보자기, 은제합, 금제합, 자주색 유리호, 진신사리 등 총 37점의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다.  
  
이 탑은 팔각형의 기단, 둥근 몸돌, 팔각형의 지붕돌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적으로 태극, 연꽃, 구슬띠, 범자, 기하학적 문양 등 화려한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
이 탑은 팔각형의 기단, 둥근 몸돌, 팔각형의 지붕돌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적으로 태극, 연꽃, 구슬띠, 범자, 기하학적 문양 등 화려한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
 
 +
탑, 사리장엄구, 탑비는 모두 조선시대 불교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11년 보물 제1723호로 일괄 지정되었다.
  
 
====사리탑비====
 
====사리탑비====
 
이 비석은 낙산사의 내력을 기록하여 1694년에 세운 비석이다. 비문은 강원도 관찰사였던 이현석(1647-1703)이 1693년에 지었다.  
 
이 비석은 낙산사의 내력을 기록하여 1694년에 세운 비석이다. 비문은 강원도 관찰사였던 이현석(1647-1703)이 1693년에 지었다.  
  
비문에서는 낙산사가 위치한 지역의 아름다운 경치를 찬탄하고, 1619년에 관음상을 봉안한 전각을 중건하였음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1683년 관음상의 색이 바래서 개금하던 중 하늘에서 영롱한 사리 1과가 떨어졌고, 이후 이를 봉안한 탑을 만들어 세웠다는 내용 등을 기록하였다. 2005년 탑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탑 안에 봉안된 사리가 발견되었고, 탑의 유래를 설명하는 자료로서의 탑비의 가치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
비문에서는 낙산사가 위치한 지역의 아름다운 경치를 찬탄하고, 1619년에 관음상을 봉안한 전각을 중건하였음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1683년 관음상의 색이 바래서 개금하던 중 닫집에서 사리 1과가 떨어졌고, 이후 이를 봉안한 탑을 만들어 세웠다는 내용 등을 기록하였다. 2005년 탑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탑 안에 봉안된 사리가 발견되었고, 탑의 유래를 설명하는 자료로서의 탑비의 가치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77번째 줄: 78번째 줄:
 
[[분류:양양군 문화유산]]
 
[[분류:양양군 문화유산]]
 
[[분류:보물]]
 
[[분류:보물]]
[[분류:불탑]]
+
[[분류:양양 낙산사]]
 +
[[분류:사리탑]]
 
[[분류:탑비]]
 
[[분류:탑비]]
[[분류:양양 낙산사]]
+
[[분류:사리장엄구]]
 
[[분류:2020 영문집필]]
 
[[분류:2020 영문집필]]
 +
[[분류:불교문화유산]]

2022년 9월 1일 (목) 12:27 기준 최신판

양양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 및 사리장엄구 일괄
Stupa, Stele, and Reliquaries of Naksansa Temple, Yangyang
대표명칭 양양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 및 사리장엄구 일괄
영문명칭 Stupa, Stele, and Reliquaries of Naksansa Temple, Yangyang
한자 襄陽 洛山寺 海水觀音空中舍利塔·碑 및 舍利莊嚴具 一括
주소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55
지정번호 보물 제1723호
지정일 2011년 11월 1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사리탑1기, 사리비1기, 사리장엄구 일괄(7종 37점)
웹사이트 양양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 및 사리장엄구 일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사리탑

사리탑은 부처님의 유골(遺骨)이나 사리(舍利)를 모신 탑을 말하며, 사리탑 형태는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유행한 팔각당형 승탑과 비슷하다.

양양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은 평면 팔각이고, 탑신석은 둥글며, 옥개석은 팔각 지붕 형태이다. 전체적으로 화려한 문양이 조각되어 있는데, 태극, 연꽃, 구슬띠, 범자, 기하학적 문양 등 다양하다. 이 사리탑은 2005년 산불화재로 복원 수리하는 과정에서 원형 탑신석 위쪽 원형 사리공* 안에서 사리장엄구 일괄 유물이 발견되었다. 사리장엄으로는 청동합, 보자기, 은제합, 금제합, 자주색 유리호, 진신사리 등이 출토되었다.

이 사리탑은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 내용과 사리장엄구 안에 있던 발원문을 통해 1692년(조선 숙종 18) 홍련암에 봉안된 불상에 개금을 할 때 주변에 상서로운 기운이 생기더니 닫집에서 영롱한 진신사리 1과가 나와 이를 모시기 위해 석겸(釋謙)스님 등이 세웠다고 한다. 또한 이 사리 함께 홍련암 입구에 있는 사리탑비, 그리고 사리장엄구 유물은 함께 보물로 지정되어 있고, 사리탑비를 통해 정확한 제작시기와 제작 배경, 과정 등을 알려 주고 있어 조선시대 불교미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 사리공(舍利孔) : 석탑에 사리(舍利)를 봉안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홈

사리탑비

양양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는 낙산사 내력을 기록한 비문을 새긴 비석이다. 비석에는 낙산사가 관동지방의 아름다운 경치를 가지고 있고, 신라시대 때 의상대사 등이 친견하였던 관음도량이라고 적혀있다. 또 1619년에 관음상을 봉안한 전각을 중건하였는데, 1683년 관음상의 색이 바래서 개금하였더니 하늘에서 영롱한 사리1과가 떨어져 이를 봉안한 탑을 만들어 세웠다는 내용 등을 기록하였다. 이 비석은 1693년(숙종 19)에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이현석(李玄錫)이 짓고 이듬해 1694년에 세웠다.


  • 관음신앙(觀音信仰) : 관세음보살을 신앙 대상으로 삼는 불교 신앙
  • 관세음보살 : 자비로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하고 왕생의 길로 인도하는 불교의 보살

영문

Stupa, Stele, and Reliquaries of Naksansa Temple, Yangyang

Stupa

This stupa is said to have been made in 1692 to enshrine a relic of the Buddha discovered at Hongnyeongam Hermitage in 1683.

According to the record inscribed on the stele at the entrance to the hermitage, the Avalokitesvara statue enshrined in the hermitage was undergoing a regilding procedure when the presence of an auspicious energy was suddenly felt and a relic of the Buddha fell from the wooden canopy above the statue. This stupa was later made to enshrine the relic. After the stupa was damaged by the forest fire of 2005, it underwent a restoration, during which it was confirmed that it indeed enshrined a reliquary containing 37 artifacts, including a bronze lidded bowl, cloth wrap, silver lidded bowl, gold lidded bowl, purple glass bead(?), and the aforementioned relic.

The stupa consists of an octagonal base, a round body stone, and an octagonal roof stone. It is decorated with elaborate carvings, such as a taegeuk pattern, Sanskrit letters, lotus flower designs, circular designs, and other geometrical patterns.

In 2011, this stupa was designated as Treasure No. 1723 together with the enshrined reliquaries and the stele, due to their great valu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Buddhist culture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Stele

This stele erected in 1694 records the history of Naksansa Temple. The text was composed in 1693 by Yi Hyeon-seok (1647-1703), the governor of Gangwon-do Province at the time.

The record praises the beauty of the area where the temple is located and mentions that the worship hall that enshrines a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Great Compassion) underwent renovation in 1619. The record also states that during a regilding procedure of the statue in 1683, a single relic of the Buddha fell from the wooden canopy above the statue, and so a stupa was made to enshrine the relic. The value of the stele’s record was rediscovered during the renovation of the stupa in 2005 when reliquaries including the relic were indeed found enshrined inside the stupa.

영문 해설 내용

사리탑

이 탑은 1683년 홍련암에서 발견된 진신사리를 모시기 위해 1692년에 세웠다고 전해진다.

홍련암 입구에 서 있는 비석에 새겨진 기록에 따르면, 홍련암에 봉안된 관음상을 개금하던 중 주변에 상서로운 기운이 일어나더니 닫집에서 진신사리 1과가 떨어졌다고 한다. 이후 이 탑을 세워 사리를 봉안하였다. 2005년 큰 화재로 피해를 입은 뒤 탑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청동합, 보자기, 은제합, 금제합, 자주색 유리호, 진신사리 등 총 37점의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다.

이 탑은 팔각형의 기단, 둥근 몸돌, 팔각형의 지붕돌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적으로 태극, 연꽃, 구슬띠, 범자, 기하학적 문양 등 화려한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탑, 사리장엄구, 탑비는 모두 조선시대 불교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11년 보물 제1723호로 일괄 지정되었다.

사리탑비

이 비석은 낙산사의 내력을 기록하여 1694년에 세운 비석이다. 비문은 강원도 관찰사였던 이현석(1647-1703)이 1693년에 지었다.

비문에서는 낙산사가 위치한 지역의 아름다운 경치를 찬탄하고, 1619년에 관음상을 봉안한 전각을 중건하였음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1683년 관음상의 색이 바래서 개금하던 중 닫집에서 사리 1과가 떨어졌고, 이후 이를 봉안한 탑을 만들어 세웠다는 내용 등을 기록하였다. 2005년 탑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탑 안에 봉안된 사리가 발견되었고, 탑의 유래를 설명하는 자료로서의 탑비의 가치가 새롭게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