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0250000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0250000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대표명칭=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영문명칭=
+
|영문명칭=Imyeonjae Head House of the Heunghae Bae Clan, Andong
 
|한자=安東 興海裵氏 臨淵齋宗宅
 
|한자=安東 興海裵氏 臨淵齋宗宅
 
|주소=경북 안동시 향교1길 51 (송천동)
 
|주소=경북 안동시 향교1길 51 (송천동)
21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이 건물은 조선 명종(明宗) 13년(1558) 황해도 관찰사를 지낸 임연재(臨淵齋) 배삼익(裵三益, 1534~1588)이 세운 것으로 몸채, 금역당, 사당 등으로 되어 있다. 금역당(琴易堂) 배용길(裵龍吉, 1556~1609)은 임연재의 아들로 충청도 도사(都事)를 지냈다.
+
임연재 종택은 조선 중기 때 문신이었던 배삼익(裵三益, 1534~1588, 호: 임연재) 가문의 종택으로, 1558년에 지어졌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임연재 종택은 원래 월곡면 도목리에 있었으나 안동댐을 건설하면서 1973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一’자형이며, 안방이 안마당을 향하고 있어 전망이 잘 고려된 배치형식이다. 안방을 북쪽에 두지 않고 남쪽에 둔 것은 특이한 경우이다. 별당인 금역당의 남쪽 4칸은 온돌방이고 북쪽 4칸은 대청으로 되어 있다. 대청에 있는 「임연재」, 「도목촌」이라는 현판 글씨는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친필이라고 한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맞배집이다. 안동댐 건설로 인하여 1973년 예안면 도목동에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
배삼익은 이황(李滉)의 제자로 1564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했고 황해도 관찰사를 지내기도 했다. 관찰사 시절 흉년을 구하기 위해 병든 몸으로 열심히 일하다 병이 깊어 사직하고, 돌아오는 길에 사망하였다. 글씨를 잘 쓰기로 유명하여 장서가로 후세까지 이름을 남겼으며, 필법이 힘찼다.
  
===수정 국문===
+
현재 종택에는 안채와 별당인 금역당, 사당 등 3개의 건물이 남아 있다. ‘금역당(琴易堂)’이란 이름은 배삼익의 아들인 배용길(裵龍吉)의 호에서 따왔다. 금역당 안에 ‘임연재’, ‘도목촌(桃木村)’이란 현판이 걸려 있는데, 모두 이황이 직접 썼다.
====초고====
 
이 집은 임연재 가문의 종택이다. 조선 중기의 문신인 배삼익(裵三益, 1534~1588)이 1558년 지은 집이다. 종택은 한 가문이 대대로 살아온 집이고, 임연재는 배삼익의 호이다.
 
  
배삼익은 퇴계 이황의 제자로 1564년 문과에 급제한 수재이다.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했고 황해도 관찰사를 지내기도 했다. 관찰사 시절 흉년을 구하기 위해 병든 몸으로 열심히 일하다 돌아오는 길에 사망하였다. 글씨를 잘 쓰기로 유명했다.
+
===영문===
 +
'''Imyeonjae Head House of the Heunghae Bae Clan, Andong'''
  
현재 몸채와 금역당, 사당 등 3개의 건물이 남아 있다. 별채인 금역당은 배삼익의 아들인 배용길(裵龍吉, 1556~1609)의 호에서 따온 건물이다. 금역당 안에 ‘임연재 도목촌(道木村)’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이 현판은 퇴계 이황이 직접 쓴 글씨이다.
+
===영문 해설 내용===
 
 
원래 위치는 안동시 월곡면 도목리에 있었으나 1974년 안동댐이 건설되며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1차 수정====
 
 
이 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배삼익(裵三益, 1534~1588, 호: 임연재) 가문의 종택으로, 1558년에 지어졌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임연재종택은 원래 월곡면 도목리에 있었으나 안동댐을 건설하면서 1973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이 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배삼익(裵三益, 1534~1588, 호: 임연재) 가문의 종택으로, 1558년에 지어졌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임연재종택은 원래 월곡면 도목리에 있었으나 안동댐을 건설하면서 1973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42번째 줄: 37번째 줄:
  
 
현재 종택에는 안채와 별당인 금역당, 사당 등 3개의 건물이 남아 있다. 금역당은 배삼익의 아들인 배용길(裵龍吉, 1556~1609)의 호에서 따온 건물이다. 금역당 안에 ‘임연재’, ‘도목촌(桃木村)’이란 현판이 걸려 있는데, 모두 이황이 직접 쓴 글씨이다.
 
현재 종택에는 안채와 별당인 금역당, 사당 등 3개의 건물이 남아 있다. 금역당은 배삼익의 아들인 배용길(裵龍吉, 1556~1609)의 호에서 따온 건물이다. 금역당 안에 ‘임연재’, ‘도목촌(桃木村)’이란 현판이 걸려 있는데, 모두 이황이 직접 쓴 글씨이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2020년 9월 24일 (목) 07:56 판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Imyeonjae Head House of the Heunghae Bae Clan, Andong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영문명칭 Imyeonjae Head House of the Heunghae Bae Clan, Andong
한자 安東 興海裵氏 臨淵齋宗宅
주소 경북 안동시 향교1길 51 (송천동)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5호
지정일 1973년 8월 31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사우
수량/면적 3동
웹사이트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임연재 종택은 조선 중기 때 문신이었던 배삼익(裵三益, 1534~1588, 호: 임연재) 가문의 종택으로, 1558년에 지어졌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임연재 종택은 원래 월곡면 도목리에 있었으나 안동댐을 건설하면서 1973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배삼익은 이황(李滉)의 제자로 1564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했고 황해도 관찰사를 지내기도 했다. 관찰사 시절 흉년을 구하기 위해 병든 몸으로 열심히 일하다 병이 깊어 사직하고, 돌아오는 길에 사망하였다. 글씨를 잘 쓰기로 유명하여 장서가로 후세까지 이름을 남겼으며, 필법이 힘찼다.

현재 종택에는 안채와 별당인 금역당, 사당 등 3개의 건물이 남아 있다. ‘금역당(琴易堂)’이란 이름은 배삼익의 아들인 배용길(裵龍吉)의 호에서 따왔다. 금역당 안에 ‘임연재’, ‘도목촌(桃木村)’이란 현판이 걸려 있는데, 모두 이황이 직접 썼다.

영문

Imyeonjae Head House of the Heunghae Bae Clan, Andong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배삼익(裵三益, 1534~1588, 호: 임연재) 가문의 종택으로, 1558년에 지어졌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임연재종택은 원래 월곡면 도목리에 있었으나 안동댐을 건설하면서 1973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배삼익은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2~1570년)의 제자로 1564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했고 황해도 관찰사를 지내기도 했다. 관찰사 시절 흉년을 구하기 위해 병든 몸으로 열심히 일하다 돌아오는 길에 사망하였다. 글씨를 잘 쓰기로 유명했다.

현재 종택에는 안채와 별당인 금역당, 사당 등 3개의 건물이 남아 있다. 금역당은 배삼익의 아들인 배용길(裵龍吉, 1556~1609)의 호에서 따온 건물이다. 금역당 안에 ‘임연재’, ‘도목촌(桃木村)’이란 현판이 걸려 있는데, 모두 이황이 직접 쓴 글씨이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