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한천정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9월 26일 (토) 05:28 판 (참고자료)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안동 한천정사
안동 한천정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 한천정사
한자 安東 寒泉精舍
주소 경북 안동시 예안면 태곡리 320-1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78호
지정일 2019년 11월 14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생활유적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안동 한천정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한천정사는 조선 중기 문신이었던 김택룡(金澤龍, 1547~1627)의 학식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그의 후손과 제자 및 지역 유림이 1786년에 세웠다.

김택룡은 조목(趙穆)과 이황(李滉)의 제자로, 1588년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지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농사짓는 것을 장려해 백성들을 정착시키는 데 힘썼고, 마을을 교화하고 후진을 양성하는 일에 힘을 기울였다.

본래 한천정사는 김택룡의 위패를 모신 한천사(寒泉祠)라는 사당에 있었는데 1871년 서원철폐령으로 사당이 훼손되었다. 1910년 현재의 위치로 옮겨 짓고, 위패를 모시는 사당과 교육 공간인 정사 두 가지 용도로 사용하였다. ‘한천정사’라는 이름은 송나라 때 주희(朱熹)가 모친상을 당한 후 묘소 근처에 한천정사를 짓고 머물렀다는 고사에서 따온 것이다.

영문

Hancheonjeongsa Shrine, Andong

This shrine was built in 1786 to commemorate Kim Taek-ryong (1547-1627) by his descendants and followers and local Confucian scholars.

Kim was a student of Jo Mok (1524-1606) who was taught by Yi Hwang(1501-1570), an eminent Korean philosopher and a Confucian scholar. Kim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588 and served various official post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he contributed to defending the country and protecting the king and thus became a meritorious subject. After the war, he encouraged agriculture by helping the commoners settle down as farmers, and put an effort to educate the local scholars and village people in Confucian ideals. He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igures in the area.

This shrine was originally named Hancheonsa, meaning “the Shrine of Hancheon” that enshrined Kim’s spiritual tablet. As the shrine was damaged, it was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in 1910 and renamed as Hancheonjeongsa, signifying the expansion of its function, now including not only ancestral worship but also education. The name “Hancheonjeongsa” originated from Ju Xi, a renowned Chinese philosopher who established the Neo-Confucian studies. When his mother died, he built a shrine near her tomb and stayed there for a couple of years to fulfill his mourning period. Ju Xi also compiled Reflections on Things at Hand while he was staying at the shrine, which was called Hancheonjeongsa. The naming of this shrine after Ju Xi’s was a way to honor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both Ju Xi and Kim Taek-ryong.

  • 건물 정의 > 인물 소개 > 건물의 역사 > 이름 설명 순으로 문장 순서를 많이 변경했습니다.

특히 한천사-한천정사의 관계, 장소 이전, 건립 연도 등이 헷갈리는 것 같아 조금 손을 보았습니다.

영문 해설 내용

한천정사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김택룡(金澤龍, 1547~1627)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그의 후손과 제자, 지역 유림이 1786년에 건립하였다.

김택룡은 조목(趙穆, 1524~1606)과 이황(李滉, 1502~1570)의 제자로, 1588년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지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농경을 장려해 백성을 정착시키는 데 힘썼고, 향촌 교화와 후진 양성 등에 주력하였다.

원래 이 건물은 김택룡의 위패를 모신 한천사(寒泉祠)라는 사당에 있었다. 그러나 서원철폐령으로 사당이 훼손된 후, 1910년 이 건물을 현재의 위치로 옮기고 위패를 모시는 사당과 교육공간인 정사 두 가지 용도로 사용하였다. 한천정사의 이름은 주희(朱熹)가 모친상을 당한 후 묘소 근처에 한천정사를 지어 머물렀다는 고사에서 따온 것이다.

참고자료

  • 조지형, 「조성당 김택룡의 예안 생활과 시조 창작」, 『국학연구』 35, 한국국학진흥원, 2018.
  • 윤성훈, 「『조성당일기』를 통해 본 17세기 초 영남 사족의 일상 속의 문화생활」, 『한문학논집』 35, 근역한문학회, 2012.
  • 김택룡 저, 하영휘 역, 『조성당일기』, 한국국학진흥원, 2010.

→ 위의 자료들을 통해 김택룡의 생애 연보를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