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안동 하회마을 빈연정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안동하회마을빈연정사.jpg |사진출처="[http://www.hahoe.or.kr/coding/sub2/sub3_2.asp 빈연정사]", 안동하회마을. |대표...)
 
4번째 줄: 4번째 줄:
 
|사진출처="[http://www.hahoe.or.kr/coding/sub2/sub3_2.asp 빈연정사]", 안동하회마을.
 
|사진출처="[http://www.hahoe.or.kr/coding/sub2/sub3_2.asp 빈연정사]", 안동하회마을.
 
|대표명칭=안동 하회마을 빈연정사
 
|대표명칭=안동 하회마을 빈연정사
|영문명칭=Binyeonjeongsa House in Hahoe Village, Gyeongju
+
|영문명칭=Binyeonjeongsa House in Hahoe, Andong
 
|한자=安東 河回마을 賓淵精舍
 
|한자=安東 河回마을 賓淵精舍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북촌길 17-22 (하회리)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북촌길 17-22 (하회리)

2020년 1월 30일 (목) 13:10 판


안동 하회마을 빈연정사
Binyeonjeongsa House in Hahoe, Andong
"빈연정사", 안동하회마을.
대표명칭 안동 하회마을 빈연정사
영문명칭 Binyeonjeongsa House in Hahoe, Andong
한자 安東 河回마을 賓淵精舍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북촌길 17-22 (하회리)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86호
지정일 1979년 1월 26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필지/615㎡
웹사이트 안동 하회마을 빈연정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이 정사는 겸암 謙菴 류운룡 柳雲龍 이 관직을 사퇴한 후, 선조 16년 1583 에 서재로 쓰기 위해 지은 것이다. 처음에는 살림집인 양진당 근처에 지었는데, 1914년에 풍남초등학교를 개교하면서 현재 위치로 정사를 옮겨 양진당과는 다소 떨어지게 되었다. 이 정사의 이름은 부용대 절벽 아래의 깊은 물을 ‘빈연 賓淵’이라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 지금의 형상으로는 짐작할 길이 없으나, 류운룡은 정사 앞마당에 작은 연못을 파고 연꽃도 길렀다고 한다.

수정 국문

빈연정사는 류운룡(1539~1601)이 관직을 사퇴한 후 서재로 쓰기 위해 1583년에 지었다. 처음에는 살림집인 양진당 근처에 지었는데, 1914년에 풍남초등학교를 개교하면서 현재 위치로 옮겨 양진당과는 다소 떨어지게 되었다.

하회에서 태어난 류운룡은 대유학자인 이황의 제자로 학문에 힘썼고 관직에 있을 때 어진 행정으로 이름이 높았다.

정사는 온돌방과 마루를 나란히 두었으며, 방에는 들문을 달아 대청을 확장하여 쓸 수 있게 하였다. 대청에 앉으면 출입문인 일각문 담장 너머로 부용대의 풍광이 마주 보인다. 지금의 형상으로는 짐작할 길이 없으나, 류운룡은 정사 앞마당에 작은 연못을 파고 연꽃도 길렀다고 한다.

이 정사의 이름은 부용대 절벽 아래의 깊은 물을 ‘빈연’이라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