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안동 죽암서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안동죽암서실.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6090000 안동 죽암서실], 국...)
 
(초고)
27번째 줄: 27번째 줄:
 
===수정 국문===
 
===수정 국문===
 
====초고====
 
====초고====
이곳은 풍산 김씨 14대손 김대현(1553-1602)이 학문을 수양하고 자손들을 가르치기 위해 1577년에 처음 지었다. 김대현도 이곳에서 공부한 끝에 1582년 과거에 합격했다고 하며, 이후에도 문중 자녀들의 독서 및 강학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
이곳은 풍산 김씨 14대손 김대현(金大賢, 1553-1602)이 학문을 수양하고 자손들을 가르치기 위해 1577년에 처음 지었다.
  
초가로 지어졌던 첫 건물은 세월이 흘러 사라졌고, 1822년 김대현의 후손 김노흠 등이 기와 지붕을 올려 다시 지었다고 한다.
+
김대현도 이곳에서 공부한 끝에 1582년 과거에 합격했다고 하며, 이후에도 문중 자녀들의 독서 및 강학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
 
 +
초가로 지어졌던 첫 건물은 세월이 흘러 사라졌고, 1822년 김대현의 후손들이 기와 지붕을 올려 다시 지었다고 한다.
  
 
건물은 중앙에 마루가 있고 좌우에 온돌방을 배치한 구조이이며, 전면은 난간을 두른 누마루처럼 꾸몄다.
 
건물은 중앙에 마루가 있고 좌우에 온돌방을 배치한 구조이이며, 전면은 난간을 두른 누마루처럼 꾸몄다.
  
이곳은 1917년에 창설된 오릉학술강습소의 교실로 쓰이기도 하였다. 오릉학술강습소는 김응섭과 김병필 등 풍산 김씨 가문의 청년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한 근대교육기관으로, 보통과정(지금의 초등과정)을 가르쳤던 것으로 추측된다.
+
이곳은 1917년에 창설된 오릉학술강습소의 교실로 쓰이기도 하였다. 오릉학술강습소는 김응섭과 김병필 등 풍산 김씨 가문의 청년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한 근대교육기관으로, 보통과정(지금의 초등과정)을 가르쳤던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건물이 언제 지어진 것인지 한 번 더 확인할 필요 있음(1822년 중수 이후 개보수 기록 검색 어려움)
 
*현재 건물이 언제 지어진 것인지 한 번 더 확인할 필요 있음(1822년 중수 이후 개보수 기록 검색 어려움)
+
 
 
====1차 수정====
 
====1차 수정====
  

2022년 2월 11일 (금) 00:55 판


안동 죽암서실
안동 죽암서실,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 죽암서실
한자 安東 竹巖書室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미동길 74-35 (풍산읍)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09호
지정일 2013년 8월 19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안동 죽암서실,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기존 문안 없음.

수정 국문

초고

이곳은 풍산 김씨 14대손 김대현(金大賢, 1553-1602)이 학문을 수양하고 자손들을 가르치기 위해 1577년에 처음 지었다.

김대현도 이곳에서 공부한 끝에 1582년 과거에 합격했다고 하며, 이후에도 문중 자녀들의 독서 및 강학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초가로 지어졌던 첫 건물은 세월이 흘러 사라졌고, 1822년 김대현의 후손들이 기와 지붕을 올려 다시 지었다고 한다.

건물은 중앙에 마루가 있고 좌우에 온돌방을 배치한 구조이이며, 전면은 난간을 두른 누마루처럼 꾸몄다.

이곳은 1917년에 창설된 오릉학술강습소의 교실로 쓰이기도 하였다. 오릉학술강습소는 김응섭과 김병필 등 풍산 김씨 가문의 청년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한 근대교육기관으로, 보통과정(지금의 초등과정)을 가르쳤던 것으로 추측된다.

  • 현재 건물이 언제 지어진 것인지 한 번 더 확인할 필요 있음(1822년 중수 이후 개보수 기록 검색 어려움)

1차 수정

참고자료

  • 오미동 도림강당 항목 참조 -> 김대현은 성리학의 대가인 성혼(1535-1598)의 제자로 1582년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임진왜란 때에는 의병을 일으켜 민심을 수습하는 데 기여하였다.
  • 배영동, 『(경북의 종가문화) 청백정신과 팔련오계로 빛나는, 안동 허백당 김양진 종가』, 예문서원, 2016, pp.124-125 -> 죽암서실의 원래 이름은 죽암정사였다. 김대현이 1577년 초가로 창건해 학문을 연마하고 후진을 가르치던 곳이다. 그 후 몇 차례 개축되었다.
  • 안동 죽암서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6090000&pageNo=1_1_1_1 -> 안동 죽암서실은 산 아래 마을에서 아침저녁으로 밥 짓는 연기가 산허리를 휘감고 있는 경관과 산 능선 너머 풍산들과 낙동강의 먼 경관을 즐길 수 있는 곳에 터를 잡았고, 서실 주변은 대나무와 바위가 감싸고 있는 독특한 경관을 갖고 있다. 죽암서실은 풍산김씨의 씨족마을 오미리 배후에 위치한 의식영역으로서 후학을 양성하고 학문을 닦고 자연경관을 만끽할 수 있는 곳으로, 정면과 배면의 중앙 기둥 상부 초각 두공 짜 맞춤은 서실 건축에서 보기 드문 모습이며, 가구 부재 및 기다 구조재는 매우 양호한 상태다.
  • 강학의 현장과 학문의 특징, 허백당 문중 http://www.poongsankim.com/htmls/pungkim-n001-4.htm -> 죽암서실은 유연당 휘 대현이 오미동 죽암산에 건립한 정사이다. 유연당은 선조 9년(1576) 오미동 종택을 중수 이건하고, 다음해 유연당이 나이24세때 초가삼간으로 죽암정사를 건립했다. 유연당은 이곳에서 학문을 수학하여, 선조 15년 나이 29세에 생원시에 합격했다. 유연당은 나이 36세에 영주 봉향리에 유연당을 건립하여 이주했고, 두 번에 걸쳐서 영주 이산서원장을 역임했다. 당시 유연당의 부친인 화남 농은 서울 장의동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향년 58세로 세상을 떠날 당시 유연당은 38세, 학호 김봉조는 19세, 망와 김영조는 14세, 장암 김창조는 9세, 심곡 김경조는 7세, 광록 5세였다. 이것을 통해서 볼 때, 유연당의 자제들은 서울 장의동, 풍산 오미동, 영주 봉향리 등지에서 어린시절 조부 화남공과 부친 유연당의 훈도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초가로 지어진 죽암서실은 오랜 세월을 견디지 못하고, 폭우와 산사태로 흔적도 없이 파손되었고, 1822년 유연당의 10대손 김노흠과 그의 족숙 김중우 공이 6칸의 기와로 지금의 서실을 중건했다고 한다. 죽암서실은 양쪽에 양몽재와 시습재라 편액한 별채가 딸려 있는데, 이곳은 주로 문중 자제들을 위한 독서 공간으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조선 후기 오미동 풍산김씨 후손들은 주로 이곳에서 학문을 수학했고, 또 많은 인물들이 양성되었다. 특히 죽암서실은 일제침략에 항거한 죽포 김순흠, 추강 김지섭, 김만수 같은 인물을 배양했으며, 3.1운동 시절에는 오릉강습소가 이곳에 개원되어 유서 깊은 역사의 현장이 되기도 했다.
  • 근대교육의 요람지 오릉학술강습소, 디지털안동문화대전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C020302 -> 1917년 무렵 오미리에도 근대교육의 물결이 밀려들었는데, 그 출발은 오릉학술강습소이다. 오릉학술강습소는 김헌섭(金憲燮)의 발기로 창설되었으며, 초대교장은 김병택(金秉澤)이었다. 설립 당시에는 지금의 죽암서실에 교사를 마련하였다가 이후 도림강당으로 옮겼으며, 그런 다음 현재의 화수당(오릉학술강습소)으로 이건하였다. 오릉학술강습소에서는 보통과정(지금의 초등과정)을 가르쳤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주로 마을 내의 풍산김씨 일문이 주축이 되어 교육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간혹 문중직(文重稙)이나 조재건(趙在建)과 같이 타성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오미리에서 근대식 학교를 설립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김응섭과 김지섭, 김병필 등의 노력이 자리하고 있었다. 이들 모두 1908년 3월 15일 재경영남인사들이 창립한 교남교육회(嶠南敎育會)에 참여하여 교육구국운동을 전개하였던 인물이다. 특히 김응섭과 김병필은 교남교육의 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는데, 이는 오미리에 근대교육의 단초를 마련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 안동의 문화재, 죽암서실(竹巖書室), 겨울섬, 개인 블로그 https://gotn.tistory.com/1154 -> 사진 상세 / 죽암서실(竹巖書室)에 대한 자료는 빈약한 편으로, 숭재일록(崇齋日錄)에 1863년에 황손(璌孫)과 원촌(遠村) 이영옥(李英玉)형이 죽암서실(竹巖書室)로 거처를 옮겨 자리를 잡았다는 내용과, 당내(堂內)의 장로(長老) 및 갈전(葛田) 안지평장(安持平丈)도 함께 죽암서실(竹巖書室)에서 회의한 기록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