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Stone Seated Buddha in Angi-dong, Andong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영문명칭 Stone Seated Buddha in Angi-dong, Andong
한자 安東 安寄洞 石造如來坐像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한화4길 11-13 (안기동)
지정번호 보물 제58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여래(如來)’는 진리로부터 진리를 따라서 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를 달리 이르는 말이다.

옛 문헌에 따르면, 안기동 석조 여래 좌상은 안기동 삼층 석탑(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18호)과 함께 인근에 있던 운안사(雲安寺)라는 절에 모셔졌던 불상으로 추정된다.

처음 발견했을 때 머리가 없이 몸체만 있었으나, 최근에 머리를 새로 만들어 시멘트로 붙였다. 머리와 몸체를 하얗게 칠하고 입술에 색을 입혀 원래의 모습이 많이 사라졌다. 오른손은 땅을 향하고 있고 왼손은 무릎 위에 있는데, 이는 부처가 모든 악마를 항복시키고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상징한다. 얼굴이 몸에 비해 너무 커서 어색하지만 균형 잡힌 자세라든지 둥글게 처리된 어깨, 당당한 가슴, 그리고 부드럽게 흘러내린 옷주름 등 세부의 표현 수법에 힘이 있다. 사실적인 묘사에 충실한 불상으로서 통일신라 후반기의 작품으로 추정한다.

영문

Stone Seated Buddha in Angi-dong, Andong

This statue depicts Sakyamuni, the historical Buddha who lived in ancient India, and is believed to have been made during the late period of Unified Silla (668-935).

The statue was discovered without its original head, and the new one was added with cement. The original pedestal was also missing. The remaining body was painted white, thus obscuring the statue’s original appearance, but the overall balance of the seated posture, the rounded shoulders, the strong chest, and the draping folds of the robe can still be appreciated. The right hand reaches down toward the ground and the left hand rests on the lap, indicating the defeat of worldly desires and attainment of spiritual enlightenment.

It is presumed that this statue, along with the nearby three-story stone pagoda (Gyeongsangbuk-do Cultural Heritage Material No. 18), was once enshrined in a no longer extant Buddhist temple named Unansa.

영문 해설 내용

통일신라시대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이다. 여래(如來)는 ‘진리로부터 진리를 따라서 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의 덕성을 표현하는 열 가지 이름 중 하나이다.

옛 문헌에 따르면 안기동 삼층석탑(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8호)과 함께 인근에 있던 운안사(雲安寺)라는 절에 모셔졌던 불상으로 추정된다.

머리가 없이 몸체만 남아 있었으나, 머리를 새로 만들어 시멘트로 붙였다. 머리와 몸체를 하얗게 칠하고 입술에 색을 입혀 원래의 모습이 많이 사라졌다. 오른손은 땅을 향하고 있고 왼손은 무릎 위에 있는데, 이는 부처가 모든 악마를 항복시키고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상징한다. 몸에 비해 큰 머리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균형이 돋보이고 사실적인 묘사가 돋보이는 우수한 작품이다.

3D Model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