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안동 송석재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안동송석재사.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701450000 안동 송석재사], 국...)
 
50번째 줄: 50번째 줄:
 
*안동 송석재사(松石齋舍)를 가보다~, 엉뚱나미의 심심한 동네,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snk8513/10104764856 -> 내부 사진 비교적 상세함(2011년 사진이므로 현재 상태는 알 수 없음)
 
*안동 송석재사(松石齋舍)를 가보다~, 엉뚱나미의 심심한 동네,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snk8513/10104764856 -> 내부 사진 비교적 상세함(2011년 사진이므로 현재 상태는 알 수 없음)
 
*임하구곡 이야기, 학산거사 안동문화 사랑, 네이버 카페 https://cafe.naver.com/hakga/284 -> ‘송석재사’ ‘송석’과 임하구곡의 위치 관련 글
 
*임하구곡 이야기, 학산거사 안동문화 사랑, 네이버 카페 https://cafe.naver.com/hakga/284 -> ‘송석재사’ ‘송석’과 임하구곡의 위치 관련 글
*<참고> 김덕현,[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609936#「임하구곡의 은거문화」], 『안동학연구 제16집』, 한국국학진흥원, 2017. -> 임하구곡은 실체가 분명하고 유학자들의 유람도 많았지만, 구곡시가 없었으므로 구곡의 장소명은 시대와 유람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인식되었다. / 송석은 도연폭포를 빠져나온 반변천 물줄기가 송석산 줄기를 휘감아 돌아나가는 좁은 골짜기이다. 송석산에는 김진의 손자 김철의 송석정이 있었고 그의 산소와 재사도 있다. 송석은 양면에 가파른 산지가 솟아서 강폭이 좁고 경사면이 가파를 뿐 아니라, 풍화에 매우 강한 규장암(felstone)이 분포하고 있다. 이 암석의 특성으로 강바닥에 울퉁불퉁한 기반암이 드러나 보이고 강물에 마식된 포트 홀(돌개구멍)과 같은 기이한 경관이 전개된다. 이처럼 강바닥의 바위 때문에 배가 더 이상 운행할 수 없으므로 배를 묶어둔다는 선창船倉으로 불렸는데, 나중에 신선이 노니는 곳을 뜻하는 선창仙倉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제6곡 송석松石(船倉) :  김진의 장손 김철의 송석정이 있었다. 이 부근 강을 선창船倉혹은 선창仙倉이라 했다.  
+
*<참고> 김덕현,[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609936# 「임하구곡의 은거문화」], 『안동학연구 제16집』, 한국국학진흥원, 2017. -> 임하구곡은 실체가 분명하고 유학자들의 유람도 많았지만, 구곡시가 없었으므로 구곡의 장소명은 시대와 유람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인식되었다. / 송석은 도연폭포를 빠져나온 반변천 물줄기가 송석산 줄기를 휘감아 돌아나가는 좁은 골짜기이다. 송석산에는 김진의 손자 김철의 송석정이 있었고 그의 산소와 재사도 있다. 송석은 양면에 가파른 산지가 솟아서 강폭이 좁고 경사면이 가파를 뿐 아니라, 풍화에 매우 강한 규장암(felstone)이 분포하고 있다. 이 암석의 특성으로 강바닥에 울퉁불퉁한 기반암이 드러나 보이고 강물에 마식된 포트 홀(돌개구멍)과 같은 기이한 경관이 전개된다. 이처럼 강바닥의 바위 때문에 배가 더 이상 운행할 수 없으므로 배를 묶어둔다는 선창船倉으로 불렸는데, 나중에 신선이 노니는 곳을 뜻하는 선창仙倉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제6곡 송석松石(船倉) :  김진의 장손 김철의 송석정이 있었다. 이 부근 강을 선창船倉혹은 선창仙倉이라 했다.  
  
  

2022년 3월 9일 (수) 23:25 판


안동 송석재사
안동 송석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 송석재사
한자 安東 松石齋舍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226-1
지정번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45호
지정일 2012년 10월 22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4동
웹사이트 안동 송석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이 건물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큰 공을 세운 대박(大朴) 김철(金澈, 1569~1616)의 묘소를 관리하기 위하여 조선 중기에 건립되었다. 1987년 임하댐 건설로 인하여 임하면 사의동에 있던 이 건물을 현 위치로 옮겼다.

이 재사는 정침(正寢)을 중심으로 좌․우익사(左右翼舍)를 두고 앞쪽에는 5칸의 누각을 설치하여 ‘口’자형을 이루고 있다. 정침은 좌측으로부터 4칸의 부엌, 1칸의 온돌방, 1칸의 마루, 1칸의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익사에는 2칸의 온돌방, 1칸의 부엌이 있으며, 우익사는 1칸의 온돌방과 2칸의 부엌으로 구성되어 있다. 누마루의 기둥 위에는 보아지[樑奉]를 만들어 대들보를 보강하였으며, 정침 부엌에서 서쪽 외부로 통하는 판문(板門)에는 나무로 돌쩌귀를 만들어 문을 열고 닫는 것이 특이하다. 그리고 전면 누마루의 2짝 판문은 미닫이로 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여닫이로 된 것과는 다르다. 옛날의 가옥을 짓는 수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건물 배치에 있어서도 전면에 누마루를 세우고 그 하부를 통해 정침으로 출입하도록 한 것은 특이한 수법이라 하겠다.

수정 국문

초고

송석재사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아 안동을 지켜내는 데 큰 공을 세운 김철(金澈, 1569~1616)의 묘를 관리하고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세워졌다. 조선 중기 때의 건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건립 시기는 알 수 없다.

재사는 폐쇄적인 ‘ㅁ’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전면에 있는 누마루의 아래층을 통해 경내 진입이 가능하다. 제사를 올리는 중심 공간인 정침(正寢)은 왼쪽부터 부엌, 온돌방, 마루, 온돌방 순으로 되어 있고, 양쪽 날개채에도 각각 온돌방과 부엌이 있다.

건물 서쪽에 해당하는 왼쪽 날개채에는 외부로 출입할 수 있는 문이 나 있는데, 이 문에는 나무로 된 경첩을 달았다. 또 2층으로 된 누마루는 외부를 향해 판벽을 세우고, 미닫이로 된 판문을 설치했다. 이러한 요소들은 비교적 오래된 건축 기법을 보여주는 것들이다.

본래 임하면 사의리에 있었는데, 1987년 임하댐 건설로 인해 지금의 자리에 옮겨 지어졌다.

  • 재사의 이름 ‘송석(松石)’은 낙동강 상류 지류에 속하는 반변천(半邊川)을 따라 설정되었던 ‘임하구곡’과 연관이 있다. 재사가 처음 자리하고 있었던 ‘송석산’을 휘감아 돌아나가는 좁은 골짜기를 송석이라고 불렀고, 이곳에는 재사 외에도 그의 산소와 ‘송석정’이라는 정자가 있었다고 한다. 지금은 수몰되어 확인할 수 없다.
  • 김철은 천전리에서 후진 양성에 힘쓰며 의성김씨 가문의 기반을 닦은 청계 김진(靑溪 金璡, 1500-1580)의 장손이다. 김철의 아들은 병자호란 이후 도연폭포 근처에 와룡초당에 은거했던 선비 표은 김시온(瓢隱 金是榲, 1598~1669)이다.


1차 수정

참고자료

  • 송석재사, 디지털안동문화대전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820 -> 정침을 중심으로 좌·우익사를 두고 앞면에는 5칸의 누각을 설치하여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정침은 왼쪽으로부터 4칸 정지, 1칸 온돌방, 1칸 마루, 1칸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왼쪽 익사에는 온돌방 2칸과 정지 1칸이, 오른쪽 익사에는 온돌방 1칸과 정지 2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침의 3칸 온돌방 중 가운데 1칸은 원래 마루였다. 5량가로 종량 위의 대공을 동자대공으로 간소하게 처리하였다. 누마루의 기둥 위에는 보아지를 만들어 대들보를 보강하였다. 가구는 3량가이고 종량 위는 제형판대공을 사용하였으며, 마루도리와 처마도리는 모두 원형의 굴도리를 채택하여 비록 간략한 가구이지만 고급스러운 방식을 채택하였다. 정침 정지에서 서쪽 외부로 통하는 판문에는 나무로 돌쩌귀를 만들어 문을 개폐하게 한 것이 특이하다. 앞면 누마루의 2짝 판문은 미닫이로 처리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여닫이로 된 개폐 방법과는 다르다. 앞면 누마루 아래층에는 왼편에 1칸 규모의 광을 두었고, 나머지는 개방시켰으며, 광 앞에 달린 사다리를 이용해서 상층 우물마루로 된 누마루로 오르내리게 하였다. 이 누마루를 통해 내부로 출입하게 되어 있다.
  • 안동 송석재사(松石齋舍)를 가보다~, 엉뚱나미의 심심한 동네,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snk8513/10104764856 -> 내부 사진 비교적 상세함(2011년 사진이므로 현재 상태는 알 수 없음)
  • 임하구곡 이야기, 학산거사 안동문화 사랑, 네이버 카페 https://cafe.naver.com/hakga/284 -> ‘송석재사’ ‘송석’과 임하구곡의 위치 관련 글
  • <참고> 김덕현,「임하구곡의 은거문화」, 『안동학연구 제16집』, 한국국학진흥원, 2017. -> 임하구곡은 실체가 분명하고 유학자들의 유람도 많았지만, 구곡시가 없었으므로 구곡의 장소명은 시대와 유람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인식되었다. / 송석은 도연폭포를 빠져나온 반변천 물줄기가 송석산 줄기를 휘감아 돌아나가는 좁은 골짜기이다. 송석산에는 김진의 손자 김철의 송석정이 있었고 그의 산소와 재사도 있다. 송석은 양면에 가파른 산지가 솟아서 강폭이 좁고 경사면이 가파를 뿐 아니라, 풍화에 매우 강한 규장암(felstone)이 분포하고 있다. 이 암석의 특성으로 강바닥에 울퉁불퉁한 기반암이 드러나 보이고 강물에 마식된 포트 홀(돌개구멍)과 같은 기이한 경관이 전개된다. 이처럼 강바닥의 바위 때문에 배가 더 이상 운행할 수 없으므로 배를 묶어둔다는 선창船倉으로 불렸는데, 나중에 신선이 노니는 곳을 뜻하는 선창仙倉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제6곡 송석松石(船倉) : 김진의 장손 김철의 송석정이 있었다. 이 부근 강을 선창船倉혹은 선창仙倉이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