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안동 삼벽당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2월 12일 (토) 12:34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삼벽당.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701490000 안동 삼벽당], 국가문화유...)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안동 삼벽당
안동 삼벽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 삼벽당
한자 安東 三碧堂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미동길 53-10 (풍산읍, 삼벽당)
지정번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49호
지정일 2012년 10월 22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안동 삼벽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이 건물은 김상구(金相龜)가 분가하면서 지은 집이다. 당호인 삼벽당은 김상구의 아들 김종한(金宗漢)의 호이다. 김종한은 동몽교관과 자헌대부동지중추부사(資憲大夫同知中樞府事)를 지냈다. 건립연대는 18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이 건물은 마을 중앙부분에 남동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口’자형 목조 기와집으로 우측에 연당(蓮堂)을 두었으나 가옥이 쇠락하면서 연당의 아름다운 모양은 없어지고, 나이가 높은 향나무가 자라고 있다. 대문채는 따로 두지 않았다.

조선 후기의 민가 건축으로 ‘口’자에 양 날개를 1칸씩 더 확대한 형태와, 가묘나 사당이 없을 경우 사랑부분에 설치되는 벽감과 수장공간의 확보 및 결구 수법 등 독특한 형식을 지닌 조선 후기 양반집의 모습을 보여 준다.

수정 국문

초고

삼벽당은 풍산 김씨 21대손 김상구(金相龜, 1743~1814)가 분가하면서 지은 살림집으로, 18세기 중엽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집의 이름은 김상구의 아들 김종한(金宗漢, 1770~1814)의 호를 딴 것이다.

이 집은 ‘ㅁ’자형의 기본구조에 양쪽 날개가 1칸씩 달려 있는 형태이며, 다락을 설치해 수납 공간을 확보하는 등 조선 후기 안동 지방 민가의 특성을 잘 보존하고 있다.

대문채나 사당과 같은 건물은 따로 두지 않았으며, 가묘를 대신해 사랑 공간에 벽을 파고 감실을 마련해 조상들의 신주를 모시기 위한 공간을 둔 것이 특징적이다.

*검색되는 자료 거의 없음.

  • 인물 생몰년 : 풍산김씨 족보 기준 작성 / 배영동, 『(경북의 종가문화) 청백정신과 팔련오계로 빛나는, 안동 허백당 김양진 종가』, 예문서원, 2016, p.107 표에서 김종한의 정보 일부가 확인된다. 호는 죽오(竹塢), 설송파(김대현의 아들 김숭조(金崇祖1598-1632)의 분파)이며, 생몰년은 1746~1814로 되어 있다.

1차 수정

참고자료

  • 삼벽당, 디지털안동문화대전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813 -> 삼벽당은 소유자의 7대조인 김상구(金相龜, 1743~1814)가 분가할 때 건립한 가옥이다. 당호는 김상구의 아들로 동몽교관(童蒙敎官)과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김종한(金鐘漢)의 호에서 따온 것이다. / 대지의 오른쪽 모서리 쪽에 나 있는 트임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오른쪽에 측간이 놓여 있고, 북쪽으로 넓게 펼쳐진 바깥마당 너머에는 정면 양측에 각 1칸씩의 날개를 단 완전 ‘ㅁ’자형 몸채가 자리 잡고 있다. 몸채 정면의 중앙 칸에는 중문간을 두었고, 오른쪽으로는 사랑 공간이 자리하고 있으며, 왼쪽으로는 마구간과 책방 등의 부속 공간이 위치하고 있다. 사랑 공간에는 2칸의 사랑방과 1칸의 사랑마루가 차례로 놓여 있고, 사랑방 오른쪽 칸 뒤쪽에 온돌방 1칸이 우익사와 연접해 있다. 사랑 공간의 정면과 배면에 툇마루와 쪽마루를 시설하여 동선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마구간 왼쪽의 책방 2칸에도 툇마루가 들여져 있다. 중문간을 들어서면 3칸의 넓은 안대청이 안마당 폭을 가득 메우고 있다. 안대청 왼쪽에는 1칸 반의 안방과 부엌이 책방과 이어져 좌익사를, 오른쪽에는 1칸 건넌방과 통래간이 사랑 공간과 연접하여 우익사를 구성하고 있다. 건물의 구조 양식은 자연석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운 민도리 형식이다. 정침은 5량가로, 익사와 사랑 부분은 3량가로 가구했는데, 대량과 도리는 보기 드문 고식의 상투걸이 수법으로 결구하였다. 삼벽당은 완전‘ㅁ’자형에 양 날개를 1칸씩 더 확장한 평면 형식을 갖추고 상투걸이라는 독특한 수법을 사용하여, 조선 후기 안동 지방 민가의 특성을 잘 보존하고 있다. 특히 사랑마루의 위쪽과 신주를 모시기 위해 벽에 설치한 감실(龕室)이나 수장 공간이 옛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 풍산김씨 대종회 http://www.poongsankim.com/htmls/pungkim03-3.htm -> 족보 확인
  • [전통건축답사] 안동 풍산읍 삼벽당, 오미광복운동기념탑, 집을 그리는 사람의 건축답사기,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laquint&logNo=110104880038 -> 2011년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