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성북동산성

HeritageWiki
Lyndsey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5월 20일 (수) 16:36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북동산성
Fortress in Seongbuk-dong
성북동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성북동산성
영문명칭 Fortress in Seongbuk-dong
한자 城北洞山城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성북동 산 20-5
지정번호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18호
지정일 1990년 5월 28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시대 삼국시대
수량/면적 28,660㎡
웹사이트 성북동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성북동 산성은 원내동에서 성북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남쪽 산 위에 테를 두르듯 쌓은 백제시대 석축 산성이다. 이 산성은 대전 분지를 둘러싸고 있는 서쪽 산줄기(해발 220~245m) 일대에 걸쳐 있는데, 연산 방면으로 이어지는 대전 서남부 지역 일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성 둘레는 약 450m이고 평면은 둥근 사다리꼴이며, 경사가 급한 동벽과 남벽은 성벽을 쌓지 않고 자연 지형을 그대로 깎아 방어시설로 이용하였다. 문지(門地)는 동북벽 모서리와 북벽 중간에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며, 내부에 건물터로 보이는 대지와 우물터가 남아 있다. 이 성은 그 안에서 백제시대부터 토기편부터 조선시대 분청사기까지 다양한 종류가 수습되는 것으로 보아 상당히 오랫동안 산성의 기능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 문지: 성문 터.

영문

Fortress in Seongbuk-dong

This stone fortress, encircling the mountain peak (230 m above sea level) to the south of Seongjaegogae Pass, was established by the Baekje kingdom (18 BCE-660 CE). Because this fortress was built in a place that provided a view of southwest of the Daejeon and Yeonsan areas, it is believed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gional defense, being connected with other fortresses in the eastern area of Daejeon.

The fortress measures about 450 m in perimeter. The east and south sides of the fortress utilized the steep slope as a natural fortification. Most of the walls have collapsed, so the original layout of the fortress has almost disappeared.

There are remains of entrances in the north and northeast. Within the fortress, two building sites and a well site were found. Excavated artifacts range from shards of Baekje-period pottery to Buncheong ware from the Joseon period (1392-1910), suggesting this fortress was used for around a millenium.

영문 해설 내용

이 성은 성재고개 남쪽에 위치한 산(해발 230m) 정상부를 돌로 둘러쌓은 백제시대 산성이다. 이 산성은 연산 방면으로 이어지는 대전 서남부 일대가 한눈에 보이는 곳에 조성되었으며, 대전 동부 지역의 다른 산성들과 연계하여 지역 방어상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의 둘레는 약 450m이고, 경사가 급한 동쪽과 남쪽은 성벽을 쌓는 대신 자연 지형을 이용해 방어시설로 이용하였다. 성벽 대부분이 무너져내려 원형이 많이 사라진 상태이다.

동북쪽과 북쪽에 문터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며, 성 안에는 건물지와 우물터 1기가 남아 있다. 백제시대의 토기 조각부터 조선시대의 분청사기 조각까지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상당히 오랫동안 산성의 기능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