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성내 건물지(거제 둔덕기성)

HeritageWiki
Kurt1166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4년 4월 9일 (화) 06:48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내 건물지 城內 建物址
Goto.png 종합안내판: 거제 둔덕기성



해설문

국문

성내 건물지는 둔덕기성(屯德岐城)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시설들의 터로서, 정치ㆍ행정ㆍ군사ㆍ생활ㆍ제의(祭儀) 등과 관련된 시설이 있었던 자리로 보인다. 둔덕기성 내부 시굴조사와 발굴조사(2012년~2016년) 결과, 이러한 건물 터는 여러 개가 확인되었다. 건물지에서는 각종 기와류를 비롯하여, 토기류ㆍ자기류ㆍ석기류ㆍ철기류ㆍ청동기류 등의 유물이 나왔다. 크게 생활구ㆍ무구류ㆍ진단구ㆍ건축부재 등으로 건물지의 성격을 파악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성내 건물지는 그 층위와 그곳에서 출토된 유물 등을 볼 때 성내 경사면을 따라 삼국시대(신라),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의 순서로 지속적으로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건물지는 가장 후대에 조성된 고려시대 건물지를 중심으로 정비한 것이다.

먼저 삼국시대에는 성내 자연 경사면에 맞추어 생토 및 풍화암반층을 계단상으로 굴착하거나 정리하여 건물지를 마련하고, 그 자리에 건물을 지었다.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의 건물지는 자연 경사면과 이전 시기의 건축기단 등에 맞게 인공대지와 축대 등을 만들어서 새롭게 마련한 것이다.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조성된 건물지 에서 보이는 계단상 대지 및 축대는 자연 경사면으로 인한 성내의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설계이다. 이것은 개성 만월대, 진도 용장성 왕궁지 등의 건축유적 등과 비교ㆍ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학술자료로 평가된다.

영문

Fortress Building Sites (Dundeokgiseong Fortress, Geoje)

Archeological excavations conducted inside the fortress in 2012-2016 confirmed sites of buildings which served political, administrative, military, residential, and ritual purposes. Based on the depth of the sites and age of the artifacts unearthed with them, it was established that buildings were constructed in the fortress continuously throughout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68 CE), the Unified Silla period (676-935), and the Goryeo period (918-1392). The building sites currently marked inside the fortress represent the Goryeo-period structure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level surfaces for the buildings were created by digging out and rearranging parts of the natural slope consisting of soil and weathered rocks. In the later periods, new buildings were constructed by adding retaining walls along the slope and utilizing preexisting building sites.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s and the terraced building sites aimed to effectively use the limited area inside the fortress. The building sites of Dundeokgiseong Fortress provide valuable details when compared to other fortress sites of the Goryeo period such as the Manwoldae Palace Site in Gaeseong and the Palace site of Yongjangseong Fortress on Jindo Island.

The artifacts discovered on the building sites include roof tiles, earthenware, porcelainware, stoneware, ironware, and bronzeware. These are mostly domestic tools, items of military use, ritual vessels for warding off evil spirits from the buildings, and construction materials. The artifacts provide important clues for determining the function of each building.


  • Fortress building sites during excavation (view from above).
  • Terraced building sites during excavation*

영문 해설 내용

둔덕기성 내부에서는 2012-2016년에 실시된 시굴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정치, 행정, 군사, 생활, 제의 등과 관련된 다양한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이 건물들은 그 층위와 출토 유물 등으로 볼 때 성내 경사면을 따라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의 순서로 지속적으로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건물지는 가장 후대에 조성된 고려시대 건물지를 중심으로 정비한 것이다.

먼저 삼국시대에는 성내 자연 경사면에 맞추어 생토 및 풍화암반층을 계단상으로 굴착하거나 정리하여 건물지를 마련하고, 그 자리에 건물을 지었다.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는 자연 경사면과 이전 시기의 건축기단 등에 맞게 인공대지와 축대 등을 만들었다.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조성된 건물지에서 보이는 계단상 대지 및 축대는 자연 경사면으로 인한 성내의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설계이다. 이것은 개성 만월대, 진도 용장성 왕궁지 등 고려시대의 성곽 유적과 비교,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학술자료로 평가된다.

건물지에서는 각종 기와류, 토기류, 자기류, 석기류, 철기류, 청동기류 등의 유물도 출토되었으며, 크게 생활구, 무구, 진단구, 건축부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유물들은 건물지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