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황사 화쟁국사비부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분황사화쟁국사비부
Pedestal for the Stele of State Preceptor Hwajaeng
분황사 화쟁국사비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분황사화쟁국사비부
영문명칭 Pedestal for the Stele of State Preceptor Hwajaeng
한자 芬皇寺和諍國師碑趺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313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7호
지정일 1979년 1월 25일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분황사 화쟁국사비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원효대사(元曉大師, 617∼686) 비의 받침돌이다.

고려 숙종 6년(1101)에 원효대사가 동방의 성인(聖人)임에도 불구하고 그 덕이 크게 드러나지 않음을 애석하게 여겨 ‘대성화쟁국사(大聖和諍國師)’라는 시호*를 내리고 비를 세웠다. 그 후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가 절 근처에서 이 비석받침을 발견하고 이를 확인하는 글귀를 새겨두었다. 󰡔동국여지승람󰡕에는 고려 평장사 한문준(韓文俊)이 비문을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주변에서 찾은 비석 조각이 일부 전해지고 있다.

비석받침의 윗면에 비를 꽂아 세웠던 직사각형 홈을 파 놓았고, 네 모서리가 떨어져나갔다. 옆면에는 옅은 안상을 새겼다.


  • 시호(諡號) : 죽은 이의 덕을 기리어 붙여주는 호

영문

Pedestal for the Stele of State Preceptor Hwajaeng

This is a pedestal for the stele honoring Wonhyo (617-686), a monk of the Silla period (57 BCE-935 CE).

Wonhyo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Buddhism around the Silla kingdom, left an impressive number of written works,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Buddhist thought. King Sukjong (r. 1095-1105)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honored Wonhyo by bestowing him with the posthumous title of State Preceptor Hwajaeng and ordered that a stele for him be built in Bunhwangsa Temple where Wonhyo had lived. The stele was erected about 70 years later,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r. 1170-1197).

It is thought that the stele wa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when Bunhwangsa was severely damaged. The writer and philosopher Kim Jeong-hui (1786-1856) discovered this pedestal near the temple and, through historical research, confirmed that it belonged to the stele of monk Wonhyo.

There is a rectangular groove on the top of the pedestal into which the stele would have been placed. The sides are carved with foliate square designs.

영문 해설 내용

신라의 승려 원효대사(617-686)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의 받침돌이다.

원효는 불교의 대중화에 힘썼으며, 수많은 저술을 남겨 불교 사상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1101년 고려 숙종(재위 1095-1105)이 원효의 덕을 추모하며 화쟁국사라는 시호를 내리고, 원효가 주석했던 분황사에 비석을 세우도록 명했다. 비석은 이로부터 70여 년이 지난 명종(재위 1170-1197) 때에 세워졌다. 비석은 임진왜란 때 분황사가 큰 피해를 입으면서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후기의 서화가이자 금석학자였던 김정희(1786-1856)가 절 근처에서 이 받침돌을 발견하고, 고증을 통해 이것이 원효대사의 비석을 받쳤던 것임을 확인하였다.

받침돌의 윗면에는 비를 꽂아 세우기 위해 판 직사각형 홈이 있다. 옆면에는 안상이 옅게 새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