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부안 진서리 요지 1구역-3구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영문)
29번째 줄: 29번째 줄:
  
 
===영문===
 
===영문===
 +
'''Zones 1-3 of the Kiln Site in Jinseo-ri'''
  
The Kiln Site in Jinseo-ri was used to produce celadon from the 11th century till 13th century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The site is divided into six zones.  
+
The kilns in Jinseo-ri were used to produce celadon from the 11th to 13th centuries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There are six zones within the site.
  
In zone 1 there are eight kiln sites. The excavated everyday life utensils (silverware/tableware) such plates, soup bowls, cups, lids and other are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sometime between the late 11th century and 13th century. The artifacts were carved using the inlay technique, the intaglio technique, the embossed carving technique and other techniques with various designs such as chrysanthemum, lotus flower, peony, and vine.
+
In Zone 1, there are eight kiln sites. Artifacts excavated here include everyday tableware such as plates, soup bowls, cups, and lids which are presumed to date from the late 11th to 13th centuries. They were engraved using the inlay technique, the intaglio technique, and the embossed carving technique, and feature various designs such as chrysanthemum, lotus , peony, and vine.
  
In zone 2 there are three kiln sites. The excavated artifacts such as soup bowls, plates and others, either do not have any design or were inlaid with lines or clouds patterns.
+
In Zone 2, there are three kiln sites. Artifacts excavated here include soup bowls and plates. They either feature no design or were inlaid with lines or clouds patterns.
  
In zone 3 there are two kiln sites. The excavated artifacts include medium quality celadon and black porcelain (흑유 자기) that was produced from the 12th century till the 13th century. Besides these, buncheong porcelain* that was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was also excavated. Artifacts such as soup bowls and plates were also discovered and they either have no design or they were carved with parrot, chrysanthemum, lotus flower, peony, whirlwind design using different techniques such as the intaglio technique, the embossed carving technique, the inlay technique, and 철백화 기법.**
+
In Zone 3, there are two kiln sites. Artifacts excavated here include medium-quality celadon and black-glazed porcelain which are presumed to date from the 12th to 13th centuries. Buncheong ware, a type of Korean celadon in which the surface is coated with white slip, that was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was also excavated. The artifacts consist of soup bowls and plates and feature either no design or parrot, chrysanthemum, lotus, peony, or whirlwind designs using various techniques such as the intaglio technique, the embossed carving technique, the inlay technique, and the underglaze iron with slipped paint technique.
 
 
*adding explanation might be helpful (“Buncheong is a type of traditional Korean ceramic made by coating the celadon surface decoration with white slip.”)
 
**백화기법은 철화기법과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철백화청자라고 한다. 백화기법은 음각·양각·상감 기법으로 표현한 청자의 보조 무늬로 선이나 점을 나타내는 데 이용하거나, 철화기법과 함께 중심이 되는 무늬 전체를 표현하는 데 쓰인다. - I still couldn’t find the name of this technique in English.
 
출처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http://www.jjan.kr) (https://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2053839)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0년 7월 13일 (월) 09:16 판


부안 진서리 요지 1구역-3구역 扶安 鎭西里 窯址 一區域-三區域
Goto.png 종합안내판: 부안 진서리 요지



해설문

국문

요지는 자기나 기와, 그릇을 만들어 굽던 가마터를 말한다. 부안 진서리 요지는 고려 시대 11세기부터 13세기에 청자를 제작한 곳으로, 유천리 요지와 함께 부안의 대표적인 청자 생산지이다.

진서리 요지 1구역은 모두 8개소의 요지가 모여 있다. 이곳에서는 11세기 후반에서 13세기에 제작된 접시, 발, 잔, 뚜껑, 대접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도자기에는 문양이 없거나 음각, 양각, 상감 등의 기법으로 국화꽃, 연꽃, 모란, 덩굴 문양 등이 새겨졌다.

진서리 요지 2구역은 총 3개소의 요지가 모여 있다. 이곳에서는 11세기 후반에서 14세기에 제작된 대접, 접시, 발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도자기에는 무늬가 없거나 상감* 등의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줄 문양, 구름문양 등이 새겨졌다.

진서리 요지 3구역은 총 2개소의 요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에서는 12세기부터 13세기에 제작된 고려 시대의 중품 청자와 흑유 자기, 조선 시대의 분청자* 등이 출토되었다. 병, 형기 등의 흑유와 대접, 접시, 발 등의 도자기에는 무늬가 없거나 음각, 양각, 상감, 철백화* 기법으로 앵무, 연꽃, 국화, 모란, 회오리 문양 등이 새겨졌다.

부안 진서리 요지는 고려 중기 청자 가마의 구조와 자기 제작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 상감(象嵌): 소재의 표면에 무늬를 새겨 그 부분에 상감 재료를 끼워 넣고 문양을 나타내는 기법. 상감 재료는 돌, 조개껍데기 등이 있음
  • 분청자(粉靑瓷): 분청사기라고도 하며 회색 계통의 바탕흙 위에 하얀 흙으로 표면을 꾸민 뒤 유약을 발라 구운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자기
  • 철백화(鐵白畫): 백토(白土)와 자토(赭土)를 각각 물에 풀어 붓에 묻혀 그리는 기법

영문

Zones 1-3 of the Kiln Site in Jinseo-ri

The kilns in Jinseo-ri were used to produce celadon from the 11th to 13th centuries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There are six zones within the site.

In Zone 1, there are eight kiln sites. Artifacts excavated here include everyday tableware such as plates, soup bowls, cups, and lids which are presumed to date from the late 11th to 13th centuries. They were engraved using the inlay technique, the intaglio technique, and the embossed carving technique, and feature various designs such as chrysanthemum, lotus , peony, and vine.

In Zone 2, there are three kiln sites. Artifacts excavated here include soup bowls and plates. They either feature no design or were inlaid with lines or clouds patterns.

In Zone 3, there are two kiln sites. Artifacts excavated here include medium-quality celadon and black-glazed porcelain which are presumed to date from the 12th to 13th centuries. Buncheong ware, a type of Korean celadon in which the surface is coated with white slip, that was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was also excavated. The artifacts consist of soup bowls and plates and feature either no design or parrot, chrysanthemum, lotus, peony, or whirlwind designs using various techniques such as the intaglio technique, the embossed carving technique, the inlay technique, and the underglaze iron with slipped paint technique.

영문 해설 내용

진서리 요지는 고려시대인 11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청자를 제작하던 곳으로, 6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1구역에는 8기의 가마터가 있다. 11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접시, 대접, 잔, 뚜껑 등의 일상 용기들이 출토되었으며, 국화꽃, 연꽃, 모란, 덩굴 문양 등이 음각, 양각, 상감 등의 기법으로 새겨졌다.

2구역에는 3기의 가마터가 있다. 이곳에서는 무늬가 없거나, 상감 기법으로 줄 문양, 구름 문양 등을 새긴 대접, 접시 등이 출토되었다.

3구역에는 2기의 가마터가 있다. 12세기부터 13세기에 제작된 중간 품질의 청자, 흑유 자기 외에도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분청사기가 함께 출토되었다. 무늬가 없거나 음각, 양각, 상감, 철백화 기법으로 앵무, 연꽃, 국화, 모란, 회오리 문양 등을 새긴 대접과 접시 등이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