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부안 진서리 요지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7월 3일 (금) 11:00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부안진서리요지.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500700000 부안 진서리 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부안 진서리 요지
Kiln Site in Jinseo-ri, Buan
부안 진서리 요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부안 진서리 요지
영문명칭 Kiln Site in Jinseo-ri, Buan
한자 扶安 鎭西里 窯址
주소 전북 부안군 진서면 진서리 56번지
지정번호 사적 제70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적건조물/산업생산/요업/도자기가마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79,439㎡
웹사이트 부안 진서리 요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종합 안내판

요지는 자기나 기와, 그릇을 만들어 굽던 가마터를 말한다. 부안은 전남 강진과 더불어 우리나라 청자 생산의 중심지였다. 부안 진서리 요지는 11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청자를 제작한 곳으로, 유천리 요지와 함께 부안의 대표적인 청자 생산지이다.

진서리 요지는 1929년에 발견될 당시 이미 일부가 유실된 상태였으며 현재는 논밭으로 변하여 대부분이 훼손되었다. 본격적인 학술조사는 1990년에 진행되었는데 조사를 통해 6개 구역에 걸쳐 약 40개소의 청자 요지가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곳에서 만들어진 청자의 특징은 유천리 요지에서 나온 것과 비슷하나 비교적 세련되지 않다. 발견된 도자기의 형태는 대접, 접시, 밥그릇 종류가 가장 많다. 문양은 주로 오목새김과 상감* 기법으로 표현되었으며 국화, 연화, 모란, 운학, 유문 등이 있다. 가마는 2개의 연기 구멍이 있는 칸막이 형태로 밑부분에 창살이 2개씩 있다. 가마에서는 주로 13세기에 제작된 초벌구이 조각과 청자 조각들이 발견되었다.

부안 진서리 요지는 고려 중기 청자 가마의 구조와 자기 제작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 상감(象嵌): 소재의 표면에 무늬를 새겨 그 부분에 상감 재료를 끼워 넣고 문양을 나타내는 기법. 상감 재료는 돌, 조개껍데기 등이 있음

부안 진서리 요지 (1구역~3구역)

요지는 자기나 기와, 그릇을 만들어 굽던 가마터를 말한다. 부안 진서리 요지는 고려 시대 11세기부터 13세기에 청자를 제작한 곳으로, 유천리 요지와 함께 부안의 대표적인 청자 생산지이다.

진서리 요지 1구역은 모두 8개소의 요지가 모여 있다. 이곳에서는 11세기 후반에서 13세기에 제작된 접시, 발, 잔, 뚜껑, 대접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도자기에는 문양이 없거나 음각, 양각, 상감* 등의 기법으로 국화꽃, 연꽃, 모란, 덩굴 문양 등이 새겨졌다.

진서리 요지 2구역은 총 3개소의 요지가 모여 있다. 이곳에서는 11세기 후반에서 14세기에 제작된 대접, 접시, 발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도자기에는 무늬가 없거나 상감* 등의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줄 문양, 구름문양 등이 새겨졌다.

진서리 요지 3구역은 총 2개소의 요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에서는 12세기부터 13세기에 제작된 고려 시대의 중품 청자와 흑유 자기, 조선 시대의 분청자* 등이 출토되었다. 병, 형기 등의 흑유와 대접, 접시, 발 등의 도자기에는 무늬가 없거나 음각, 양각, 상감, 철백화* 기법으로 앵무, 연꽃, 국화, 모란, 회오리 문양 등이 새겨졌다.

부안 진서리 요지는 고려 중기 청자 가마의 구조와 자기 제작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 상감(象嵌): 소재의 표면에 무늬를 새겨 그 부분에 상감 재료를 끼워 넣고 문양을 나타내는 기법. 상감 재료는 돌, 조개껍데기 등이 있음
  • 분청자(粉靑瓷): 분청사기라고도 하며 회색 계통의 바탕흙 위에 하얀 흙으로 표면을 꾸민 뒤 유약을 발라 구운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자기
  • 철백화(鐵白畫): 백토(白土)와 자토(赭土)를 각각 물에 풀어 붓에 묻혀 그리는 기법

부안 진서리 요지 (4구역~6구역)

요지는 자기나 기와, 그릇을 만들어 굽던 가마터를 말한다. 부안 진서리 요지는 고려 시대 11세기부터 13세기에 청자를 제작한 곳으로, 유천리 요지와 함께 부안의 대표적인 청자 생산지이다.

진서리 요지 4구역에는 모두 5개소의 요지가 있으며 그중 11호는 파괴된 상태이다. 이곳에서는 11세기 후반부터 13세기에 제작된 회흑색의 경질도기* 파편과 청자, 벽체 파편 등이 출토되었고, 한 요지에서는 진서리 20호의 유물과 같은 성격의 청자가 수습되었다. 대접, 사발, 접시 등의 종류가 나왔고 문양이 없거나 음각, 양각 기법으로 연꽃무늬, 덩굴풀 문양 등이 새겨졌다.

진서리 요지 5구역은 진서리 요지 가운데 면적이 가장 넓으며 모두 17개소의 요지가 있다. 그중 18호는 1990년에, 20호는 1993년에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에서 발굴조사를 하여 가마와 요지의 퇴적층이 남아있음을 확인하였다. 18호는 12세기 전반에서 13세기 후반에 운영된 것으로 추정되며, 발, 접시, 잔, 뚜껑 등이 출토되었다. 앵무 등의 동물 문양과 모란, 국화 등의 식물 문양이 새겨져 있으며 주로 음각, 철백화*, 압출양각* 기법이 사용되었다. 20호는 12세기 후반 경에 운영된 것으로 추정되며, 발, 접시, 잔, 뚜껑 등이 출토되었다. 앵무, 꽃, 덩굴 문양 등이 새겨져 있는데 주로 음각과 압출양각 기법이 사용되었다.

진서리 요지 6구역은 총 3개소의 요지가 있으나 밭으로 사용되어 훼손이 심하다. 이곳에서는 발, 접시, 뚜껑 등이 출토되었다. 도자기에는 무늬가 없는 무문, 음각으로 새긴 연판문, 양각으로 새긴 국화 문양 등이 있다.

부안 진서리 요지는 고려 중기 청자 가마의 구조와 자기 제작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 경질도기(硬質陶器): 단단하고 굳은 성질을 가진 도기를 말하며 장석질(長石質) 도기라고도 함
  • 철백화(鐵白畫): 백토(白土)와 자토(赭土)를 각각 물에 풀어 붓에 묻혀 그리는 기법
  • 압출양각(壓出陽刻): 흙으로 만들어 구운 문양 틀을 사용해 그릇에 문양을 찍어내는 기법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종합 안내판

이곳은 11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청자를 제작한 가마터가 자리한 곳으로, 인근의 유천리 요지와 함께 부안의 대표적인 고려청자 생산지이다.

1929년 일본인 노모리켄에 의해 알려진 이 곳은 1990년에 실시된 조사를 통해 6개 구역에 걸쳐 40여 곳의 가마터가 확인되었다.

해변이라는 입지 특성 때문에 최초 발견 당시에도 바닷물에 의해 이미 일부가 무너진 상태였으며, 해변이 아닌 곳에 있는 가마터도 지금은 집터나 경작지로 변하여 파괴가 심하다.

일대에서 발견된 도자기의 형태는 대접, 접시, 밥그릇 등 일상 용기 종류가 가장 많으며, 주로 상감 기법을 활용해 국화, 연화, 모란, 등의 식물을 무늬로 새겨 넣은 형태이다.

이곳에서 생산된 청자는 유천리에서 출토된 것들과 비교했을 때 품질이 다소 떨어지는 편이며, 주로 출토된 유물의 종류에도 차이가 있다. 이를 토대로 이곳의 가마들은 청자의 주 생산터를 유천리로 옮기기 전에 조성되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부안 진서리 요지는 고려 중기 청자 가마의 구조와 자기 제작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 부안에 청자 요지가 많은 이유를 설명할 것인지,..? -> 부안의 변산 일대는 조운이 발달되어 있었고, 땔감으로 쓸 나무와 자기의 재료가 되는 양질의 흙이 풍부한 자연 조건을 갖추고 있어 청자 가마를 세우기에는 최적의 위치였다.

부안 진서리 요지 (1구역~3구역)

이곳은 11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청자를 제작한 가마터가 자리한 곳으로, 인근의 유천리 요지와 함께 부안의 대표적인 고려청자 생산지이다. 일대를 6개 구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총 40여 곳의 가마터가 자리하고 있다.

1구역에는 8기의 가마터가 있다. 이곳의 가마터들에서는 11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접시와 잔, 대접 등의 일상 용기에 식물 문양이 새겨진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2구역에는 3기의 가마터가 있다. 이곳에서는 상감 기법으로 문양을 새겼거나, 무늬가 없는 대접, 접시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3구역에는 2기의 가마터가 있으며, 12세기부터 13세기에 제작된 중간 품질의 청자와 흑유 자기 외에도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분청사기가 함께 출토되었다.

부안 진서리 요지 (4구역~6구역)

이곳은 11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청자를 제작한 가마터가 자리한 곳으로, 인근의 유천리 요지와 함께 부안의 대표적인 고려청자 생산지이다. 4구역에는 5기의 가마터가 있는데 그 중 11호는 완전히 파괴된 상태이다. 이곳에서는 11세기 후반부터 13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청자 조각, 벽체 파편 등이 출토되었다.

5구역에는 진서리 요지 중 가장 많은 숫자인 17기의 가마터가 있다. 이 중 18호는 1990년에, 20호는 1993년에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가마와 요지의 퇴적층이 남아있음이 확인되었다.

18호 가마는 4차례에 걸쳐 개축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2세기 후반에 가장 활발히 운영되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출토된 유물은 대접, 발, 접시, 완, 잔, 뚜껑, 주병, 매병, 잔탁 등의 일상 용기와 퇴주기, 향로 등의 제사용기가 있다. 이 가마는 특히 청자가마의 내부 구조가 변화되는 양상을 알 수 있게 한다.

20호는 18호 가마보다 이른 시기에 운영되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곳에서는 앵무, 꽃, 덩굴 문양 등이 장식된 발, 접시, 잔, 뚜껑 등이 출토되었다.

6구역에는 3기의 가마터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현재 경작지로 사용되고 있어 훼손이 심하다. 이곳에서는 발, 접시, 뚜껑 등이 출토되었다.

참고 자료

-> 진서리요지 발굴 약력, 가마 사용 시기 정보 등 간략 제시됨.

  • 부안 진서리 청자요지-제18호요지 발굴,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01.

->1990년 이루어졌던 발굴조사 보고서.

  • 쏠쏠한 일상,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jcjkks/221492268131
  • 부안 유천. 진서리 청자요지 조사 보고서,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994.
  • 요지의 보존정비 관리방안 연구, 문화재청, 2015
  • 부안 유천리 3구역 고려청자요지 연구, 이윤정, 고려대 석사논문, 2020.
  • 전북 부안지역 고려청자 연구, 임영호 한정화, 마한백제문화 22, 2013

-> 진서리 요지 제작시기 정보 및 요지 관련 기본 정보들, 18호.20호 가마(발굴조사 보고서 있는 가마들) 정보 확인

-> 가마의 중심운영시기는 12세기 후반으로 추정되며 특히 청자상감뇌문잔을 제외하고는 상감청자가 출토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아 가마의 운영시기는 12세기 후반의 전기로 편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이 진서리 18호 가마는 짧은 기간 운영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가마의 봉통부와 소성실을 연결하는 불턱의 구조에서 상당한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략> 앞선 시기의 고창 용계리 가마에서 연결형이 보이고 늦은 시기인 부안 유천리 가마에서는 수직형만 보이는 것으로 보아 가마의 불턱은 그와 같은 순서로 변화, 발전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진서리 18호 가마에서 나타나는 수직형 불턱은 이후 부안가마의 하나의 특징으로 자리 잡는 것으로 생각된다.

-> 전부안 진서리 청자가마터의 제작운영년대를 추정하면 해남 진산리, 인천 경서동 조질청자요지(녹청자)의 출토유물과 유색이나 기형, 굽의 형태가 유사하기 때문에 진서리 20호의 상한을 11세기 후반으로 추정한다. 무문의 조질청자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초보적인 상감기법의 시도 또한 이루어지지 않는 점 등으로 미루어 하한은 12세기 전반경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