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부안 유천리 요지 5구역-7구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영문)
35번째 줄: 35번째 줄:
 
There are two kilns each in Zones 5 and 6 and nine kilns in Zone 7. They are presumed to have been used during the 12th and 13th centuries. Artifacts excavated here include everyday tableware such as plates, soup bowls, tea cups, and lids. Celadon production tools such as a supporting base for baking pottery were also discovered.
 
There are two kilns each in Zones 5 and 6 and nine kilns in Zone 7. They are presumed to have been used during the 12th and 13th centuries. Artifacts excavated here include everyday tableware such as plates, soup bowls, tea cups, and lids. Celadon production tools such as a supporting base for baking pottery were also discovered.
  
In the kiln site No. 15 of Zone 5, celadon of varying quality, ranging from low quality to highest quality, were excavated. In Zone 6, a kiln was found in relatively intact condition, consisting of a combustion chamber, a firing chamber, a chimney, and a waste disposal site. '''A large quantity of celadon was found in the firing chamber and waste disposal site. This kiln is presumed to have been used for producing high-quality celadon.
+
In the kiln site No. 15 of Zone 5, celadon of varying quality, ranging from low quality to highest quality, were excavated. In Zone 6, a kiln was found in relatively intact condition, consisting of a combustion chamber, a firing chamber, a chimney, and a waste disposal site. A large quantity of unglazed celadon was found in the firing chamber and waste disposal site. It is presumed this kiln was used for producing high-quality celadon.
  
 
The kilns in Zone 7 are presumed to have been used during the mid-13th century, during the peak of Goryeo celadon production. Celadon without designs and celadon with designs engraved using different techniques such as the intaglio technique and the inlay technique were excavated here. The shape, design, and engraving techniques of the celadon excavated here are very similar to those excavated in the neighboring kiln site in Jinseo-ri (Historic Site No. 70).
 
The kilns in Zone 7 are presumed to have been used during the mid-13th century, during the peak of Goryeo celadon production. Celadon without designs and celadon with designs engraved using different techniques such as the intaglio technique and the inlay technique were excavated here. The shape, design, and engraving techniques of the celadon excavated here are very similar to those excavated in the neighboring kiln site in Jinseo-ri (Historic Site No. 70).
 
*'초벌 단계의 청자'는 무슨 의미인지 모르고 어떻게 상금의 청자와 관련이 있는지 모르겠어요.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0년 7월 13일 (월) 10:51 판


부안 유천리 요지 5구역-7구역 扶安 柳川里 窯址 五區域-七區域
Goto.png 종합안내판: 부안 유천리 요지



해설문

국문

요지는 자기나 기와, 그릇을 만들어 굽던 가마터를 말한다. 유천리 요지는 11세기에서 14세기에 걸쳐 다양한 청자가 제작되었던 곳으로 7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유천리 요지 5구역은 12세기에서 13세기 전반에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에서는 접시, 발, 대접, 완(찻잔), 뚜껑 등의 일상용 그릇이 나왔는데, 그 중 15호 요지에서는 상·중·하의 다양한 품질의 청자가 출토되었다.

유천리 요지 6구역은 12세기에서 13세기에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접시, 발, 대접, 완(찻잔), 뚜껑 등의 일상용 그릇과 도지미*, 갑발* 등의 요도구가 출토되었다. 도지미는 원통형, 원반형, 삼각각뿔형이 출토되었는데 대부분 규석 받침을 하고 있어 뛰어난 상급의 청자를 생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청자는 무늬가 없는 무문이 주를 이루고 있고, 압출양각*과 음각의 시문 기법이 일부 확인되었다.

유천리 요지 7구역에서는 무늬가 없는 무문, 음각, 상감 등 다양한 기법으로 새겨진 청자들이 출토되었다.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의 기형과 시문기법, 문양, 요도구류 등은 진서리 요지에서 출토된 것과 비슷하다. 하지만 상감청자의 출토비율이 진서리 요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아 가마의 운영시기는 고려청자가 절정에 이르는 13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유천리 요지는 우수한 재료와 제작기술을 이용하여 고려 왕실과 귀족층이 사용하는 최상급 도자기를 생산한 곳으로써 우리나라 도자 연구에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 도지미: 가마에서 도자기를 구울 때 도자기를 놓는 받침
  • 갑발(匣鉢): 도자기를 구울 때 담는 큰 그릇
  • 압출양각(壓出陽刻): 흙으로 만들어 구운 문양 틀을 사용해 그릇에 문양을 찍어내는 기법

영문

Zones 5-7 of the Kiln Site in Yucheon-ri

The kilns in Yucheon-ri were used to produce celadon from the 11th to 14th centuries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There are seven zones within the site.

There are two kilns each in Zones 5 and 6 and nine kilns in Zone 7. They are presumed to have been used during the 12th and 13th centuries. Artifacts excavated here include everyday tableware such as plates, soup bowls, tea cups, and lids. Celadon production tools such as a supporting base for baking pottery were also discovered.

In the kiln site No. 15 of Zone 5, celadon of varying quality, ranging from low quality to highest quality, were excavated. In Zone 6, a kiln was found in relatively intact condition, consisting of a combustion chamber, a firing chamber, a chimney, and a waste disposal site. A large quantity of unglazed celadon was found in the firing chamber and waste disposal site. It is presumed this kiln was used for producing high-quality celadon.

The kilns in Zone 7 are presumed to have been used during the mid-13th century, during the peak of Goryeo celadon production. Celadon without designs and celadon with designs engraved using different techniques such as the intaglio technique and the inlay technique were excavated here. The shape, design, and engraving techniques of the celadon excavated here are very similar to those excavated in the neighboring kiln site in Jinseo-ri (Historic Site No. 70).

영문 해설 내용

유천리 요지는 고려시대인 11세기에서 14세기에 걸쳐 다양한 청자가 제작되었던 곳으로 7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5구역과 6구역에는 각각 2기, 7구역에 9기의 가마터가 남아 있으며, 주로 12세기에서 13세기에 운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접시, 대접, 찻잔, 뚜껑 등의 일상용 그릇이 많이 출토되었고, 도자기를 구울 때 쓰는 받침 등의 도구들도 발견되었다.

5구역의 15호 요지에서는 최상품부터 하품까지 다양한 품질의 청자가 출토되었다. 6구역에서는 연소실, 소성실, 굴뚝, 퇴적구로 구성된 비교적 온전한 상태의 가마 1기가 확인되었다. 특히 소성실과 퇴적구 자리에서 초벌 단계의 청자들이 다량으로 출토되었으며, 상급의 청자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가마로 추정된다.

7구역의 가마들은 고려청자의 제작이 절정에 이르렀던 13세기 중엽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무늬가 없는 청자와 음각, 상감 등 다양한 기법으로 무늬를 새긴 청자들이 출토되었다. 이곳에서 출토된 청자의 형태, 문양, 기법 등은 인근 진서리 요지(사적 제70호)에서 출토된 것과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