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 만산고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문화유산정보 |사진=만산고택.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B%A7%8C%EC%82%B0&searchCondition2=&s_kdcd...)
 
(참고자료)
37번째 줄: 37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http://116.67.40.25/NEW_PDF_STORY/201701/봉화%20만산%20고택.pdf 봉화 만산 고택]", 『지나간 시간을 읽다-민속문화재, 이야기를 입다』, 문화재청, 2017.
 
*"[http://116.67.40.25/NEW_PDF_STORY/201701/봉화%20만산%20고택.pdf 봉화 만산 고택]", 『지나간 시간을 읽다-민속문화재, 이야기를 입다』, 문화재청, 2017.
 
+
*윤현주,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80530000205 고택을 찾아서 - 10. 봉화 만산고택]", 『부산일보』, 2018년 6월 11일.
  
 
[[분류:봉화군 문화유산]]
 
[[분류:봉화군 문화유산]]

2018년 7월 23일 (월) 02:25 판

봉화 만산고택
대표명칭 봉화 만산고택
한자 奉化 晩山古宅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서동길 21-19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79호
지정일 2013.12.12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
수량/면적 일곽(건물 4동, 토지 3,982㎡)



해설문

국문

만산 고택은 조선 후기 때의 문신(文臣)인 만산(晩山) 강용(姜鎔, 1846~1934) 선생이 고종 15년(1878)에 건립한 집이다.

선생은 중추원(中樞院) 의관(議官)과 도산서원장(陶山書院長) 등을 지냈다. 1910년 이후에는 망국(亡國)의 한(恨)을 학문으로 달래면서 마을 뒷산에 망미대(望美臺)를 쌓고, 그곳에 올라 국운(國運)이 회복되기를 바라는 시를 읊었다고 한다.

이 고택(古宅)은 11칸 규모의 긴 행랑채가 있고, 가운데에 솟을대문이 있다.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넓은 사랑마당이 있고, 정면에 측면출입형(側面出入形)의 ‘口’자형 본채가 있다. 사랑마당 왼쪽으로 서실(書室)을 두고, 오른쪽에 토석 담장을 두른 별당(別堂)인 칠류헌(七柳軒)이 있다.

사랑채에는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이 직접 쓴 ‘만산(晩山)’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또한 서실에는 ‘한묵청연(翰墨淸緣)’이라는 영친왕(英親王)의 친필 현판도 걸려 있다. 이로 보아 당시 선생은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건물은 본채와 서실, 별당, 대문채처럼 조선 후기 사대부가(士大夫家)의 주택 구성을 고루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북 북부 지방의 건축 특성을 잘 보존하고 있어 조선 시대 건축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영문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