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각자장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6월 10일 (수) 10:05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보은 각자장
대표명칭 보은 각자장
한자 報恩 刻字匠
주소 충청북도 보은군 장안면 오창리 361-2
지정번호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28호
지정일 2018년 1월 12일



해설문

국문

각자장은 목재, 동재, 석재 등 다양한 재료에 글씨나 그림을 새기는 장인을 일컫는다. 각자는 서각(書刻)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각자장은 대량 인출(印出)이 필요한 서적을 만들기 위하여 책판의 글자와 세밀한 그림을 새김과 동시에 책판의 관리와 보수, 복원을 전담하였다. 우리나라 목판 인쇄술의 근원을 제공하는 책판의 제작과 각자 장인이 언제부터 존재하였는가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신라 석가탑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비롯하여 고려 팔만대장경 등에서 볼 수 있듯이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다. 각자는 일제강점기 이후 산업화를 거치면서 전통각자와 미의식을 고려한 현대서각으로 분리되면서 전통각자 분야는 축소되기 시작하였다.

전통책판의 제작과정은 판하본 제작, 책판제작, 책판인출 순서이다. 먼저 글자본을 선택한 후 선정된 자본(字本)에 맞게 판하본을 제작한다. 책판을 제작할 목재의 건조와 마름질을 거쳐 글자를 각(刻)하고, 마구리 조립을 거쳐 초벌을 완성한다. 초벌 책판을 인출하여 교정과정을 거쳐 인출한 후 장책하여 완성한다. 전통각자는 인쇄공예기능에서 발생한 것이지만 각자장, 목장, 조각장, 인출장, 책장 등의 기능을 통합한 총체적 공예기술을 보여주는 분야라 할 것이다.

2018년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된 보은 각자장 박영덕은 1996년 운봉서각원을 연 이래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문화재청장상, 대통령상 등 다수의 공모전에서 입상한 바 있으며, 삼국유사, 훈민정음 해례본 등 규장각 및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문화재 인출작업에 참여하여 전통책판 각자 복원에 힘써왔다. 박영덕은 책판이나 목활자는 물론 각종 서적간행과 인출 및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판(書板), 능화판(菱花板), 괘판(罫版), 공문판(公文板), 인찰판(印札板), 분판(粉板) 등 다양한 전통책판각자 제작에 매진하고 있다.

영문

Gakjajang (Calligraphic Engraving), Boeun

Gakjajang refers to the traditional art of engraving calligraphic characters or pictures onto diverse materials such as wood, copper, and stone using knives and hammers. It is mainly used to make printing woodblocks, name plaques to be hung on buildings, and long vertical plaques hung on pillars and walls with classic sayings and poems. This craft has played a key role in the history of Korea's printing culture since at least the mid-8th century.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the field of traditional calligraphic engraving began to decline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modern engraving technology.

The process of calligraphic engraving involves three major steps, namely the preparation of the text to be engraved, the creation of the woodblock, and the engraving of the woodblock. First, the text is finalized and written on down on tracing paper in a standardized calligraphic style. Next, the woodblocks are prepared which involves a process of drying the wood. The tracing paper is glued to the woodblock, and the characters are engraved into the woodblock by tracing the text. The woodblock is finished with end pieces to create a preliminary version. This preliminary woodblock then undergoes a proof-checking and adjustment process until the final version is complete. The finalized woodblock is then used to print the text onto paper using ink.

Bak Yeong-deok is a master of traditional calligraphic engraving and was designated as the holder of Chungcheongbuk-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28 in 2018. In 1996, he established the Unbong Center for Calligraphic Engraving and has received multiple national awards for his work. He has also played a key role in the restoration of the printing woodblocks of some of Korea's most important historical texts.

영문 해설 내용

각자장은 목재, 동재, 석재 등 다양한 재료에 글씨나 그림을 새기는 전통공예기술을 일컫는다. 주로 목판이나 현판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적어도 8세기 중반부터 한국 인쇄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20세기 초반 이후로는 산업화와 현대 기술의 도입으로 인해 전통 각자 분야가 축소되기 시작하였다.

각자는 크게 판하본 제작, 책판제작, 책판인출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글자본을 선택한 후 선정된 자본(字本)에 맞게 판하본을 제작한다. 책판을 제작할 목재의 건조와 마름질을 거쳐 글자를 새기고 초벌을 완성한다. 초벌 책판을 인출하여 교정과정을 거쳐 인출한 후 장책하여 완성한다.

각자장 박영덕은 2018년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28호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1996년 운봉서각원을 열었으며, 다수의 공모전에서 입상하였다. 한국 주요 기록유산의 목판을 복원하는 데 힘써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