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11월 16일 (화) 14:14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밀양표충사삼층석탑.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804670000 밀양 표충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Three-story Stone Pagoda of Pyochungsa Temple, Miryang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영문명칭 Three-story Stone Pagoda of Pyochungsa Temple, Miryang
한자 密陽 表忠寺 三層石塔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로 1334-9 (표충사)
지정번호 보물 제467호
지정일 1968년 12월 19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통일신라 시대 석탑 양식을 따른 아담한 탑이다. 기단은 단층이고 탑신은 3층이며 높이는 7.7m이다. 탑신부는 각층의 몸돌과 지붕돌이 하나의 돌로 되어 있다. 1층 몸돌이 기단에 비해 지나치게 높고 2층과 3층 몸돌은 높이가 급격히 줄어드는 점이 특징이다. 지붕은 흘러내리다가 네 귀퉁이에서 경쾌하게 살짝 위로 치켜 올라갔다. 그 끝에는 풍탁*이 달려 청아한 소리를 낸다. 지붕돌은 받침이 각각 4단이다. 꼭대기 상륜부에는 머리 장식이 얹혀 있고 그 위로 높이 1m가량의 쇠막대가 솟아 있다. 기단과 지붕돌의 특징으로 미뤄 볼 때 통일신라 시대 후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탑 앞에는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석등이 있다. 이곳에는 원래 영정사(靈井寺)가 있었다. 표충사라는 이름은 사명대사를 모시는 사당인 표충사(表忠祠)에서 유래하였는데, 1839년 사명대사의 고향인 밀양 무안에 있던 이 사당을 옮겨오면서 이곳을 표충사(表忠寺)로 부르게 되었다.


  • 풍탁(風鐸): 처마 끝에 다는 작은 종

영문

영문 해설 내용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상징적인 조형물이다. 모든 탑이 진신사리를 모신 것은 아니지만,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 신앙의 대상이 된다.

표충사 대홍원전 앞에 세워져 있는 이 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인 9세기 무렵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탑은 단층의 기단, 3층의 몸돌과 지붕돌, 머리장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단의 모서리와 중앙, 그리고 각 층 몸돌의 모서리에는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4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위로 살짝 치켜 올라간 처마 끝에는 작은 종을 달수 있는 구멍이 있다. 탑의 꼭대기에 있는 머리장식 일부는 파손되어 있고, 그 위로 높이 1m 가량의 쇠막대가 솟아있다.

이 탑과 탑 앞에 있는 석등의 위치는 본래 이곳이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1839년 임진왜란 당시 많은 공을 세웠던 승려 사명대사 유정(1544-1610)의 사당을 옮겨오면서 절의 이름을 표충사(表忠寺)로 바꾸었다. 당시 가람 배치도 상당 부분 바뀌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 과정에서 탑과 석등도 지금의 자리로 옮겨지게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995년 탑을 해체보수하는 과정에서 여러 시기에 조성된 불상, 각종 사리장엄구, 1491년 석탑의 보수 내용을 기록한 비석이 총 51점의 유물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해당 유물들은 2017년 보물 제 1944호로 지정되었다.

  • 풍탁공은 후대에 조성한 것이다.
  • 유물들은 표충사 경내 호국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자료

  • [『경상남도의 석탑 Ⅲ』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73593&bbsId=BBSMSTR_1021&mn=NS_03_08_01 ], 문화재청, 2018, pp.216-237.
  •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유물 일괄 (密陽 表忠寺 三層石塔 出土 遺物 一括),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819440000&pageNo=1_1_1_1 ->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에 이르는 20구의 금동불상과 탑에 봉안된 여러 공양물, 석탑의 보수를 알려주는 조선 초기의 <개수기비>(1491년)를 포함하고 있다. 석탑 내에 사리장엄구 이외 불상을 봉납한 사례는 통일신라시대 석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례이지만, 이렇게 다양한 형식과 양식, 그리고 시대별 층위를 가진 불상이 다량으로 봉납된 사례는 그 유례를 찾을 수 없을 만큼 드문 경우이다. 또한 이는 통일신라 9세기 대에 건립된 석탑이 이후에도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음을 말해주는 실증적 자료이기도 하다.
  • [사찰성보문화재 50選] <22>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유물 일괄, 불교신문, 2021.7.20.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212897 -> 표충사는 654년(무열왕 1) 원효대사가 창건하고 대나무가 무성하다고 해 죽림사(竹林寺)라 했다. 이후 829년(흥덕왕 4) 인도의 고승인 황면(黃面)선사가 절을 중창했다고 한다. 이때 신라 흥덕왕의 아들이 나병에 걸려 전국의 약수를 찾아 헤매다가 이곳의 약수를 마시고 낫자 왕이 기뻐하며 절을 세우고, 이름은 영정사(靈井寺)라 하였다고 한다. 조선 1839년(헌종 5)에는 밀양군 무안면에 있었던 사명대사의 충혼을 기리기 위한 표충사(表忠祠)를 영정사로 옮기면서 절 이름도 표충사(表忠寺)로 개칭했다. 이때 가람배치도 달라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 [「19세기와 20세기 초 염불계(念佛契)의 성행과 염불당(念佛堂) 건축」http://www.riss.kr/link?id=T15549273 ], 김지헌,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20. p.77 -> 이 마당의 중심에는 통일신라대의 삼층석탑이 있다. 이 석탑은 만일루가 지어지기 약 20년 전인 1839년에 현재 위치로 옮긴 것으로 추정된다. 표충사에서 염불계가 맺어지면서 만일루를 새로 지었는데, 이때 신앙의 대상이 되는 탑을 바라보면서 수행할 수 있는 위치를 선택하여 조성하였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