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밀양 표충사 대원암 칠성도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11월 18일 (목) 04:09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밀양표충사대원암칠성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4310000 밀양 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밀양 표충사 대원암 칠성도
밀양 표충사 대원암 칠성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밀양 표충사 대원암 칠성도
한자 密陽 表忠寺 大願庵 七星圖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23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31호
지정일 2008년 1월 10일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기타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폭
웹사이트 밀양 표충사 대원암 칠성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칠성도는 북극성과 북두칠성 등이 재앙을 물리치고 수명을 관장한다는 민간신앙이 반영된 불화이다. 도교적 요소와 불교의 결합이다.

대원암 칠성도는 크기가 가로 144.7㎝, 세로 101.5㎝로 비단에 채색을 했다. 그림의 내력을 담은 화기(畵記)에는 대한제국 시대인 1900년 동래 미륵암에서 제작돼 대원암으로 옮겼다고 적혀 있다. 구도와 세부 묘사에서 창의성이 보이고 채색이 안정된 작품이다.

화면을 상하로 이등분하고 상단 중앙에는 북극성을 상징하는 부처님인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를 조금 크게 배치했다. 밝은 덕과 지혜를 갖추고 중생을 교화한다는 일광․ 월광보살과 북두칠성을 의미하는 칠여래(七如來)가 좌우에서 가운데로 몸을 틀어 합장하는 모습이다.

화면 하단 중앙에는 치성광여래의 도교적 화신인 자미대제(紫微大帝)가 있고 좌우에 칠여래의 화신인 칠원성군(七元星君)이 있다. 적색과 녹색을 기본 색으로 하되 청색을 부분 부분 사용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칠성도는 북두칠성을 신격화한 칠성을 그린 그림이다. 칠성은 인간의 수명과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신으로 민간에서 오랫동안 숭배의 대상이 되어왔다. 칠성이 불교에 수용되어 신이 된 것은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현상이며, 한국의 불교가 토착신앙과 조화를 이루며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대원암 삼성각에 봉안되어 있는 칠성도는 1900년에 승려 경수(敬秀)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동래 금정산 미륵암에서 조성한 후 대원암으로 옮겼다는 사실을 화면 하단의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화면 상단의 중앙에는 북극성을 부처로 표현한 치성광여래가 오른손에 금색 구슬을 든 채 앉아있다. 좌우에는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비롯해 북두칠성을 의미하는 6명의 여래가 중앙을 향해 합장하고 있는 모습을 그렸다.

화면 하단에는 북극성과 북두칠성을 도교적으로 표현한 자미대제와 칠원성군 및 성군을 상단과 같은 구도가 되도록 배치했다.

칠여래 중 1위와 칠성원군 중 1위는 화면 꼭대기 치성광여래의 머리 좌우에 각각 배치하여 전체적인 화면이 대칭을 이룰 수 있게 했다.

그림은 비단에 채색을 해 그려졌으며, 크기는 가로 144.7㎝, 세로 101.5㎝이다.

  • 화면 가장 위 치성광여래의 머리 좌우에 홀을 든 성군 2위를 배치하고, 오른쪽에 칠여래의 나머지 1위를, 왼쪽에 칠성원군 나머지 1위를 그렸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