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논산 돈암서원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12월 7일 (토) 08:2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논산 돈암서원
Donamseowon Confucian Academy, Nonsan
논산 돈암서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논산 돈암서원
영문명칭 Donamseowon Confucian Academy, Nonsan
한자 論山 遯巖書院
주소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임리 74번지
지정번호 사적 제383호
지정일 1993년 10월 18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원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64,699㎡
웹사이트 논산 돈암서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논산 돈암서원은 기호학파를 대표하는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1634년(인조 12)에 사계를 시작으로 1658년(효종 9)에는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 1688년(숙종 14)에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 1695년(숙종 21)에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의 위패를 모셨다.

돈암서원은 사계가 남긴 정신을 후학들이 받들어 기리도록 1634년에 세워졌으며 1660년 현종 원년에 사액*을 받았다. 1868년(고종 5)에 시작된 서원 정리 작업으로 1871년(고종 8)에 흥선대원군이 전국 650여 개의 서원 문을 닫으라는 훼철령을 내려 47개만 남았을 때에도 명맥을 유지하였다.

주요 건물의 배치를 보면 서원 입구에 하마비**와 홍살문***이 있고, 정면에는 2006년에 건축된 산앙루(山仰樓)가 있다. 바깥 대문인 외삼문(外三門)으로 들어서면 왼편에 유생들이 공부하는 응도당(凝道堂)이 있고, 정면에 돈암서원을 세운 사연과 김장생 부자의 업적을 적은 원정비와 양성당(養性堂)이 있다. 바깥채의 안쪽 대문인 내삼문(內三門)과 사당인 사우(祠宇)가 가장 뒤편에 배치되어 있다. 이밖에 김장생의 부친인 김계휘가 후학을 가르치던 정회당(靜會堂)과 유생들의 기숙사 거경재(居敬齋)와 정의재(精義齋), 그리고 황강실기(黃岡實記)·사계유고(沙溪遺稿)·신독재유고(愼獨齋遺稿) 등의 목판이 보존되어 있던 장판각(藏板閣)과 제사에 필요한 도구를 보관하던 전사청(典祀廳) 등이 있다.


  • 임금이 이름을 지어서 편액을 내리던 일
  • 말에서 내려 걸으라는 뜻으로 서원 앞에 세운 비석
  • 경건한 마음으로 출입하라는 의미에서 붉은 칠을 한 문

영문

Donamseowon Confucian Academy, Nonsan


영문 해설 내용

서원은 조선시대에 설립된 사립 교육기관으로, 선현 제향과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돈암서원은 1634년에 김장생(1548-1631)의 학문과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김장생은 과거시험을 보지 않았지만, 학문에 뛰어난 사람을 추천하는 제도를 통해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 예학의 대가로 이름을 떨쳤다.

1658년에는 김장생의 아들인 김집(1574-1656)을 함께 모셨고, 1660년에 사액을 받았다. 이후 김장생의 제자인 송준길(1606-1672)과 송시열(1607-1689)의 위패를 각각 1688년과 1695년에 추가로 모셨다.

19세기 말 서원철폐령으로 전국의 서원과 사당 대부분이 철거되었지만, 돈암서원은 철거되지 않았다.

서원 입구에는 하마비와 홍살문이 있고, 맨 앞에는 2006년에 지은 산앙루가 있다. 외삼문을 들어서면 왼편에 강당인 응도당(보물 제1569호)이 있고, 정면으로 동서재와 강학당인 양성당이 있다. 양성당 앞에는 김장생 부자의 업적을 기록한 비석이 세워져 있다. 양성당 왼쪽에는 또 다른 강당인 정회당이 있고 그 옆의 장판각에는 김장생 부자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한 목판을 보관하고 있다, 양성당 오른쪽의 건물은 제사에 필요한 도구를 보관하던 전사청이다. 내삼문을 지나 경내의 가장 위쪽에는 사당이 배치되어 있다.

돈암서원은 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서원’ 9곳 중 하나이다.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