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남해 다정리 지석묘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3월 30일 (월) 15:40 판 (1차 수정)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남해다정리지석묘
Dolmens in Dajeong-ri, Namhae
남해 다정리 지석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남해다정리지석묘
영문명칭 Dolmens in Dajeong-ri, Namhae
한자 南海茶丁里支石墓
주소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다정리 911-5번지
지정번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62호
지정일 1983년 8월 6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지석묘
수량/면적 11기
웹사이트 남해 다정리 지석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가운데 하나로, 고인돌 또는 돌멘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지석묘는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놓은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

이곳 다정리 지석묘들은 현재 들판의 논둑을 따라 3~4m의 간격을 두고 모두 11기가 자리하고 있다. 외형상 모두 바둑판식 지석묘로, 덮개돌의 규모는 길이 3m 너비 2m정도이다. 땅 속에 마련된 하부구조의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지만, 이와 유사한 지석묘의 하부 구조로 볼 때 상자모양의 돌널일 가능성이 크다. 이 주변 일대에서는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 조각들이 발견되고 있다. 이곳이 청동기시대에 남해 지역의 주요 생활 근거지 중의 하나였음을 짐작케 하고 있다. 이밖에도 남해군에는 남면리, 평현리, 심천리 등 관내 각지의 해안 평야와 창선도에 이르기까지 지석묘들이 폭 넓게 분포되어 있어 청동기시대의 남해 지역 문화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수정 국문

초고

지석묘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거석 구조물이다. 지석묘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에 분포하고 있는데, 한반도는 세계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된 지역이다.

이곳에는 들판의 논둑을 따라 대체로 3~4m 씩 사이를 두고 11기의 지석묘들이 있다. 형태상 모두 바둑판식으로 덮개돌의 크기는 길이 3m, 너비 2m이다. 땅 속에 마련된 하부구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상자 모양의 석관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유적 주변에서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 조각들이 발견되었다.

이밖에도 남해군에는 남면리, 평현리, 심천리 등 각지에 지석묘들이 폭넓게 분포되어 있는데, 이 지역 청동기시대의 문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1차 수정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거석 구조물이다.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한반도는 세계에서 지석묘가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된 지역이다.

이곳에는 들판의 논둑을 따라 대체로 3~4m씩 사이를 두고 11기의 지석묘들이 있다. 모두 땅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놓은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 지석묘이다. 덮개돌의 크기는 길이 3m, 너비 2m 정도이다. 땅속에 마련된 하부구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상자 모양의 석관일 것으로 추정된다.

지석묘 주변에서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 조각들이 발견되어, 이곳이 청동기시대에 남해 지역의 주요 생활 근거지 중의 하나였음을 보여준다. 이 밖에도 남해군에는 남면리, 평현리, 심천리 등 각지에 지석묘들이 폭넓게 분포되어 있는데, 이 지역 청동기시대의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남해 다정리 지석묘(南海茶丁里支石墓) 문화유산 남해 다정리 지석묘(南海茶丁里支石墓)
민무늬토기 문화유산 민무늬토기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남해 다정리 지석묘(南海茶丁里支石墓) 민무늬토기 ~와 관계가 있다.

갤러리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