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향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남해향교.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2220000 남해향교], 국가문화유...)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남해향교.jpg
 
|사진=남해향교.jpg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향교는 유교의 옛 성현을 받들면서 지역사회에서 인재를 양성하고 미풍양속을 장려할 목적으로 설립된 전통시대의 지방 교육 기관이다. 남해 향교는 1450년(세종32)에 건립된 이래, 수차례 이전과 중수를 거듭하다가 1892년(고종29)에 이곳에 자리 잡았다.
+
향교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지방에서 유학을 가르치고 인재를 기르기 위해 국가가 세운 교육 기관으로, 지금의 중・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유교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주로 가르치는 곳이었으며,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도 사용되었다. 남해향교는 세종 32년(1450)에 세워진 향교이며, 지금은 봄과 가을에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있다.
  
향교의 공간은 교육과 제례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 유생이 학문을 연마하는 명륜당과 일상생활을 하는 동·서재는 교육기능을 담당하고 공자와 저명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는 대성전 및 동·서무는 제례기능을 각각 담당하고 있다.
+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대성전, 동무, 서무, 내삼문, 외삼문, 명륜당, 동재, 서재, 관리사, 홍살문 등이다. 명륜당 등 학문을 배우는 곳을 앞에 두고, 대성전을 비롯하여 제사를 지내는 곳을 뒤에 둔 전학후묘(前學後廟) 구조로 되어 있다.  
  
남해향교의 건물배치는 교육공간을 앞쪽에, 제례공간을 뒤쪽에 두는 향교 건물배치의 일반적 형태인 전학후묘양식이다. 그러나 건물의 이전 과정에서 그 짜임새가 많이 변형되었다. 입구에서 정문의 역할을 하는 누각이 없고, 동·서재의 배치도 중심축에서 너무 벌어져 있어 엉성한 느낌을 준다. 명륜당은 정면 4칸의 건물인데, 원래 홀수칸을 원칙으로 하는 5칸이었던 것이 중수 과정에서 축소된 듯 하다. 오직 화려한 대성전만이 조선 말기의 모습을 간직한 채 제례기능만 남은 오늘날의 향교의 위상을 전해주고 있다.
+
남해향교는 원래 봉강산 아래에 있었다. 명륜당과 대성전이 임진왜란 때 모두 불에 타 조선 현종 10년(1669)에 대성전을, 숙종 4년(1678)에 명륜당을 다시 지었다. 고종 29년(1892)에 대성전을 지금의 자리로 옮겼고, 1917년에 명륜당과 나머지 건물들도 모두 옮겼다.  
  
===수정 국문===
+
서재의 남쪽에 담장을 붙여 돌단을 쌓은 성생단(省牲壇)은 살아 있는 돼지 등을 검사하는 곳으로 다른 향교에서는 많이 볼 수 없는 특이한 점이다. 또한 이곳에는 당시 지역 유학자나 유학을 공부하는 유생 등의 인적 사항을 기록한 명단이 보존되어 있다. 이는 지방 향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활용된다.
====초고====
+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
===영문===
 +
'''Namhae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이 향교의 정확한 건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초기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 없어진 후 1669년에 대성전(大成殿)을, 1678년에 명륜당(明倫堂)을 중수하였다. 그 후 1892년에 대성전을 비롯한 동·서 양무와 내삼문을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이후 1917년에 명륜당과 나머지 건물들도 옮겼고, 1982년에는 홍살문도 건립하였다.
+
Local Confucian schools, called ''hyanggyo'' in Korean, are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They were established nationwide to function as local shrines for Confucius and other sages and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and nurture elites in local districts. Students learned about literature including poetry composition,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동무·서무·내삼문·외삼문·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서문(西門)·관리사(管理舍)·홍살문·고자가(庫子家) 등이 있다. 건축형태는 앞쪽에 강학 공간인 명륜당 등이 위치하고, 그 뒤로 제사 공간인 대성전 등이 위치한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형식이다.
+
Namhaehyanggyo was first established in 1450 on the slope of Bonggangsan Mountain. It was burnt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nd its main shrine and lecture hall were rebuilt in 1669 and 1678, respectively. The shrine was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in 1892, and the remaining buildings including the lecture hall were moved later in 1917.
  
조선 전기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후기 이래 향교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대신 선현에 대한 제향을 통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매년 양력 5월과 9월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
The current complex consists of a red spiked gate, a main gate, two dormitories, the lecture hall called Myeongnyundang, an inner gate, two auxiliary shrines, and the main shrine called Daeseongjeon. After passing through the main gate, there is a stone platform to the left which is used to inspect pigs to be used as sacrificial offerings in rituals.  
  
이 향교에는 당시 교관, 원생, 지역 유림 등의 인적사항을 기록한 명단을 다수 소장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들은 지방 향토사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
This local Confucian school kept a list of its students and local scholars, which is useful in the research of local history. Rituals for the Confucian sages honored here are held biannually in spring and autumn.
  
====1차 수정====
+
===영문 해설 내용===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남해향교는 조선 초기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 없어진 후 1669년에 대성전(大成殿)을, 1678년에 명륜당(明倫堂)을 중수하였다. 그 후 1892년에 대성전을 비롯한 동·서 양무와 내삼문을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이후 1917년에 명륜당과 나머지 건물들도 옮겼고, 1982년에는 홍살문도 건립하였다.
+
남해향교는 1450년 봉강산 기슭에 처음 지어졌다. 임진왜란 때 모두 불에 타 없어진 후 1669년에 대성전을, 1678년에 명륜당을 다시 지었다. 1892년에 대성전을 지금의 자리로 옮겼고, 1917년에 명륜당과 나머지 건물들도 모두 옮겼다. 지금도 대성전에서는 매년 봄과 가을에 성현에게 제사를 지낸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동무·서무·내삼문·외삼문·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서문(西門)·관리사(管理舍)·홍살문·고자가(庫子家) 등이 있다. 건축형태는 앞쪽에 강학 공간인 명륜당 등이 위치하고, 그 뒤로 제사 공간인 대성전 등이 위치한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형식이다. 매년 양력 5월과 9월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
현재 경내에는 앞쪽에서부터 홍살문, 정문,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 명륜당, 내삼문, 동무와 서무, 대성전 등이 남아 있다. 정문을 들어서서 왼쪽에는 성생단이 있는데, 이는 제사 때 제물로 쓰이는 돼지를 검사하던 곳이다.  
  
이 향교에는 당시 교관, 원생, 지역 유림 등의 인적사항을 기록한 명단을 다수 소장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들은 지방 향토사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
또한 이곳에는 당시 지역 유학자나 유학을 공부하는 유생 등의 인적 사항을 기록한 명단이 보존되어 있다. 이는 지방 향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활용된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88번째 줄: 88번째 줄:
 
| 동재 || 남해향교 || ~와 관계가 있다.
 
| 동재 || 남해향교 || ~와 관계가 있다.
 
|-
 
|-
| 서재 || 남해 향교 || ~와 관계가 있다.
+
| 서재 || 남해향교 || ~와 관계가 있다.
 
|-
 
|-
 
| 홍살문 || 남해향교 || ~와 관계가 있다.
 
| 홍살문 || 남해향교 || ~와 관계가 있다.
96번째 줄: 96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파일:안내판(남해향교).jpg|예전 안내판
 
파일:안내판(남해향교).jpg|예전 안내판
 +
파일: 남해향교_배치도.jpg| 배치도
 
</gallery>
 
</gallery>
  

2020년 6월 4일 (목) 14:03 판

남해향교
Namhae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남해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남해향교
영문명칭 Namhae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한자 南海鄕校
주소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망운로10번길 51 (북변리)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2호
지정일 1983년 8월 12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수량/면적 일원
웹사이트 남해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향교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지방에서 유학을 가르치고 인재를 기르기 위해 국가가 세운 교육 기관으로, 지금의 중・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유교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주로 가르치는 곳이었으며,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도 사용되었다. 남해향교는 세종 32년(1450)에 세워진 향교이며, 지금은 봄과 가을에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있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대성전, 동무, 서무, 내삼문, 외삼문, 명륜당, 동재, 서재, 관리사, 홍살문 등이다. 명륜당 등 학문을 배우는 곳을 앞에 두고, 대성전을 비롯하여 제사를 지내는 곳을 뒤에 둔 전학후묘(前學後廟) 구조로 되어 있다.

남해향교는 원래 봉강산 아래에 있었다. 명륜당과 대성전이 임진왜란 때 모두 불에 타 조선 현종 10년(1669)에 대성전을, 숙종 4년(1678)에 명륜당을 다시 지었다. 고종 29년(1892)에 대성전을 지금의 자리로 옮겼고, 1917년에 명륜당과 나머지 건물들도 모두 옮겼다.

서재의 남쪽에 담장을 붙여 돌단을 쌓은 성생단(省牲壇)은 살아 있는 돼지 등을 검사하는 곳으로 다른 향교에서는 많이 볼 수 없는 특이한 점이다. 또한 이곳에는 당시 지역 유학자나 유학을 공부하는 유생 등의 인적 사항을 기록한 명단이 보존되어 있다. 이는 지방 향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활용된다.

영문

Namhae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Local Confucian schools, called hyanggyo in Korean, are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They were established nationwide to function as local shrines for Confucius and other sages and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and nurture elites in local districts. Students learned about literature including poetry composition,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Namhaehyanggyo was first established in 1450 on the slope of Bonggangsan Mountain. It was burnt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nd its main shrine and lecture hall were rebuilt in 1669 and 1678, respectively. The shrine was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in 1892, and the remaining buildings including the lecture hall were moved later in 1917.

The current complex consists of a red spiked gate, a main gate, two dormitories, the lecture hall called Myeongnyundang, an inner gate, two auxiliary shrines, and the main shrine called Daeseongjeon. After passing through the main gate, there is a stone platform to the left which is used to inspect pigs to be used as sacrificial offerings in rituals.

This local Confucian school kept a list of its students and local scholars, which is useful in the research of local history. Rituals for the Confucian sages honored here are held biannually in spring and autumn.

영문 해설 내용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남해향교는 1450년 봉강산 기슭에 처음 지어졌다. 임진왜란 때 모두 불에 타 없어진 후 1669년에 대성전을, 1678년에 명륜당을 다시 지었다. 1892년에 대성전을 지금의 자리로 옮겼고, 1917년에 명륜당과 나머지 건물들도 모두 옮겼다. 지금도 대성전에서는 매년 봄과 가을에 성현에게 제사를 지낸다.

현재 경내에는 앞쪽에서부터 홍살문, 정문,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 명륜당, 내삼문, 동무와 서무, 대성전 등이 남아 있다. 정문을 들어서서 왼쪽에는 성생단이 있는데, 이는 제사 때 제물로 쓰이는 돼지를 검사하던 곳이다.

또한 이곳에는 당시 지역 유학자나 유학을 공부하는 유생 등의 인적 사항을 기록한 명단이 보존되어 있다. 이는 지방 향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활용된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남해향교 문화유산 남해향교
대성전(大成殿) 문화유산 대성전(大成殿)
명륜당(明倫堂) 문화유산 명륜당(明倫堂)
내삼문 문화유산 내삼문
외삼문 문화유산 외삼문
동재 문화유산 동재
서재 문화유산 서재
홍살문 문화유산 홍살문
전학후묘 개념 전학후묘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대성전(大成殿) 남해향교 ~와 관계가 있다.
명륜당(明倫堂) 남해향교 ~와 관계가 있다.
내삼문 남해향교 ~와 관계가 있다.
외삼문 남해향교 ~와 관계가 있다.
동재 남해향교 ~와 관계가 있다.
서재 남해향교 ~와 관계가 있다.
홍살문 남해향교 ~와 관계가 있다.
남해향교 전학후묘 ~와 관계가 있다.

갤러리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