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남양주수종사사리탑.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1123120130000...)
 
(국문)
23번째 줄: 23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은 조선 태종 이방원의 딸 정혜 옹주를 추모하고자 제작한 승탑이다. 사리탑은 부처나 고승의 사리를 모셔 두는 조형물로 승탑 또는 부도라고도 한다. 이 탑의 몸돌은 공같이 둥근 모양이며, 겉면에는 구름과 용이 조각되어 있다. 이 탑은 몸돌의 윗부분을 튀어나오게 하여 지붕돌의 밑부분에 조립한 것이 특징이다. 지붕돌의 빗물이 흘러내리는 면에“태종 태후太宗 太后 / 정혜 옹주貞惠 翁主 / 사리 조탑舍利 造塔 / 시주 문화 류씨施主 文化 柳氏 / 금성 대군 정통錦城 大君 正統 / 사년 기미 십월일四年 己未 十月日”이라는 문구가 기록되어 있어 이 사리탑이 조선 세종 21년1439에 정혜 옹주를 추모하고자 제작된 것임을 정확히 알 수 있다.
+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은 조선 태종 이방원의 딸 정혜 옹주를 추모하고자 제작한 승탑이다. 사리탑은 부처나 고승의 사리를 모셔 두는 조형물로 승탑 또는 부도라고도 한다. 이 탑의 몸돌은 공같이 둥근 모양이며, 겉면에는 구름과 용이 조각되어 있다. 이 탑은 몸돌의 윗부분을 튀어나오게 하여 지붕돌의 밑부분에 조립한 것이 특징이다. 지붕돌의 빗물이 흘러내리는 면에“태종 태후(太宗 太后) / 정혜 옹주(貞惠 翁主) / 사리 조탑(舍利 造塔) / 시주 문화 류씨(施主 文化 柳氏) / 금성 대군 정통(錦城 大君 正統) / 사년 기미 십월일(四年 己未 十月日)”이라는 문구가 기록되어 있어 이 사리탑이 조선 세종 21년(1439)에 정혜 옹주를 추모하고자 제작된 것임을 정확히 알 수 있다.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은 건립 시기가 분명하고 탑의 각 부분에 새겨진 문양이 우수하여 조선 전기의 사리탑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승탑을 만들어 옹주를 추모한 것은 당시 조선 왕실의 불교 신앙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어서 그 가치가 높다.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은 건립 시기가 분명하고 탑의 각 부분에 새겨진 문양이 우수하여 조선 전기의 사리탑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승탑을 만들어 옹주를 추모한 것은 당시 조선 왕실의 불교 신앙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어서 그 가치가 높다.

2020년 10월 16일 (금) 10:49 판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Stupa of Sujongsa Temple, Namyangju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영문명칭 Stupa of Sujongsa Temple, Namyangju
한자 南楊州 水鐘寺 舍利塔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북한강로433번길 186
지정번호 보물 제2013호
지정일 2019년 1월 25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은 조선 태종 이방원의 딸 정혜 옹주를 추모하고자 제작한 승탑이다. 사리탑은 부처나 고승의 사리를 모셔 두는 조형물로 승탑 또는 부도라고도 한다. 이 탑의 몸돌은 공같이 둥근 모양이며, 겉면에는 구름과 용이 조각되어 있다. 이 탑은 몸돌의 윗부분을 튀어나오게 하여 지붕돌의 밑부분에 조립한 것이 특징이다. 지붕돌의 빗물이 흘러내리는 면에“태종 태후(太宗 太后) / 정혜 옹주(貞惠 翁主) / 사리 조탑(舍利 造塔) / 시주 문화 류씨(施主 文化 柳氏) / 금성 대군 정통(錦城 大君 正統) / 사년 기미 십월일(四年 己未 十月日)”이라는 문구가 기록되어 있어 이 사리탑이 조선 세종 21년(1439)에 정혜 옹주를 추모하고자 제작된 것임을 정확히 알 수 있다.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은 건립 시기가 분명하고 탑의 각 부분에 새겨진 문양이 우수하여 조선 전기의 사리탑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승탑을 만들어 옹주를 추모한 것은 당시 조선 왕실의 불교 신앙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어서 그 가치가 높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