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낙화장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8일 (수) 16:52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낙화장 |영문명칭=Nakhwajang (Pyrography) |한자=烙畵匠 |주소=충청북도 보은군 |소장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낙화장
Nakhwajang (Pyrography)
대표명칭 낙화장
영문명칭 Nakhwajang (Pyrography)
한자 烙畵匠
주소 충청북도 보은군
지정번호 국가무형문화재 제136호
지정일 2018년 12월 27일
분류 무형문화재/전통기술/미술



해설문

국문

낙화는 종이, 나무, 비단, 가죽 등의 표면을 인두로 지져서 그림이나 글씨, 문양을 나타내는 전통 회화 분야의 하나이다. 낙화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등을 알수 있는 기록은 찾기 어려우나, 낙화에 관한 기록이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오세창의 『근역서화징(槿域書畫澂)』 등의 문헌에 전하는데, 특히 오세창의 『근역서화징』에 안동장씨(安東張氏, 1598년생)가 낙화에 능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중기에 낙화가 성행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조선낙화의 중흥조에 해당하는 수산 박창규가 1837년 화화법(火畵法)을 창시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어 이 시기 전후로 낙화의 기법이 체계화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낙화는 전통 회화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수묵화 화법과 유사하며, 수묵화 농담과 발묵에 비교될 수 있는 낙화의 농담법은 인두의 면을 사용하여 빠르게 혹은 천천히 지지거나, 깊게 또는 얕게 누르거나 하는 등의 손놀림으로 표현한다. 특히 섬세한 소묘력과 숙련된 낙화기술이 함께 요망되는 분야로, 회화적인 기량과 민족정서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우리 민족 고유의 역사성과 예술성을 강하게 담고 있다.

낙화장 기능보유자 김영조는 2010년 충청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2018년 국가무형무화재로 승격 지정되었다. 기능보유자인 김영조는 1972년 입문한 이래 1979년 청목화랑(속리산) 개원,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및 여러 국제교류전에 출품하는 등 활발한 작품 활동과 폭넓은 전승교육으로 전통 낙화 기법 계승과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