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산사 빈일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23번째 줄: 23번째 줄:
 
===영문===
 
===영문===
 
'''Binillu Pavilion'''
 
'''Binillu Pavilion'''
 +
 +
The name of the pavilion Binillu means “the pavilion that greets the sun.” The pavilion serves as a passage to the main worship area of the temple where Wontongbojeon Hall is located.
 +
 +
It is unknown when the pavilion was first built. In 1888 and 1912 it underwent renovation but was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The current pavilion was built again in 2009, when the whole temple was undergoing reconstruction after the devastating forest fire that destroyed most of it in 2005. In 1788, upon King Jeongjo’s (r. 1776-1800) order, the well-known painter Kim Hong-do (1745-?) completed a collection of paintings depicting the eight famous scenic sites of the Gangwon-do Province. The pavilion was reconstructed based on one these painting depicting Naksansa Temple.
 +
 +
The pavilion features hip-and-gable roof in the front and gable roof at the back side. The pillar base stones were collected in the neighbouring village, and the pillars were made out of a saw-leaf zelkova and a pine trees that survived the fire of 2005.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0년 11월 19일 (목) 19:12 판

빈일루 賓日樓
Binillu Pavilion
Goto.png 종합안내판: 양양 낙산사



해설문

국문

빈일루는 동해에 떠오르는 해를 맞이하는 누각*이란 뜻이다. 건물이 처음 지어진 시기는 정확하지 않다. 1767년 박종이 쓴 기행문인「동경유록(東京遊錄)」에는 빈일료라고 하며, 서쪽에 있던 송월료*와 동서로 짝을 이뤄 손님을 맞이하는 곳이라고 하였다. 숙종이 친히 쓴 어제시(御製詩)가 있었으며, 밖을 내다보면 푸른 바다가 한 눈에 들어오고, 해와 달이 떠오르는 광경을 볼 수 있다고 하였다. 1928년 간행된『건봉사급건봉사말사사적(乾鳳寺及乾鳳寺末寺史蹟)』에는 1888년(고종 25)에 선학스님이 고쳐 지었고, 1912년에 해성스님이 고쳐 지으면서 남긴「낙산사빈일루중수기(洛山寺賓日樓重修記)」가 있다. 1928년에 빈일루 규모는 8칸이었다고 한다.

빈일루는 2005년까지만 해도 없었으며, 지금 건물은 2005년 화재 이후 김홍도의 <낙산사도>*를 토대로 발굴하여 2009년에 복원한 것이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로 2층 건물이며, 지붕 앞면은 팔작, 뒷면은 맞배지붕으로 설계하였다. 건물의 주초석은 양양 마을의 돌을 사용했고 누각의 기둥은 지난 2005년 화마를 견딘 느티나무와 소나무를 손질해서 세웠다. 현판은 총무원장을 지낸 가산 지관 스님이 썼다.


  • 누각(樓閣): 다락처럼 마루를 땅에서 높이 띄운 건물.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문과 벽이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 송월료(送月寮): 달을 배웅하는 요사채
  • 낙산사도(洛山寺圖): 김홍도가 1788년에 정조의 명으로 금강산 및 강원도 지역을 돌아다니며 제작한 『금강사군첩(金剛四郡帖)』에 수록된 그림

영문

Binillu Pavilion

The name of the pavilion Binillu means “the pavilion that greets the sun.” The pavilion serves as a passage to the main worship area of the temple where Wontongbojeon Hall is located.

It is unknown when the pavilion was first built. In 1888 and 1912 it underwent renovation but was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The current pavilion was built again in 2009, when the whole temple was undergoing reconstruction after the devastating forest fire that destroyed most of it in 2005. In 1788, upon King Jeongjo’s (r. 1776-1800) order, the well-known painter Kim Hong-do (1745-?) completed a collection of paintings depicting the eight famous scenic sites of the Gangwon-do Province. The pavilion was reconstructed based on one these painting depicting Naksansa Temple.

The pavilion features hip-and-gable roof in the front and gable roof at the back side. The pillar base stones were collected in the neighbouring village, and the pillars were made out of a saw-leaf zelkova and a pine trees that survived the fire of 2005.

영문 해설 내용

빈일루는 '동해에 떠오르는 해를 맞이하는 누각'이란 뜻이다. 빈일루의 아래 쪽으로 통과하여 응향각을 지나면, 원통보전이 있는 낙산사의 중심 영역으로 진입할 수 있다.

건물이 처음 지어진 시기는 정확하지 않다. 1888년, 1912년에 중건하였으나,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다. 지금의 건물은 2005년 화재 후 사찰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다시 짓기 시작하였으며, 2009년에 완공하였다. 조선시대의 화가인 김홍도(1745-?)가 정조(재위 1776-1800)의 명으로 1788년에 금강산 및 강원도 지역 팔경을 그린 화첩이 있는데, 이 화첩에 수록된 '낙산사도'의 모습을 토대로 지금의 건물을 지었다.

지붕 앞면은 팔작지붕이고 뒷면은 맞배지붕이다. 건물의 주초석은 인근 마을에서 나는 돌을 사용했고, 누각의 기둥은 2005년 화마를 견딘 느티나무와 소나무를 손질해서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