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김제청룡사목조관음보살좌상.jpg
 
|사진=김제청룡사목조관음보살좌상.jpg
34번째 줄: 33번째 줄: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Cheongnyongsa Temple, Gimje'''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Cheongnyongsa Temple, Gimje'''
  
This statue was created in 1655 by the prolific Buddhist monk-sculptor Joneung and his disciples to wish for the well-being of the royal family and the salvation of the common people. It depicts Avalokitesvara, the Bodhisattva of Great Compassion.
+
This statue depicting Avalokitesvara, the Bodhisattva of Great Compassion, was created in 1655 under the direction of the prolific Buddhist monk-sculptor Joneung to wish for the well-being of the royal family and the salvation of all living things.  
  
The statue was carved from wood and then gilded, and the headdress was recently added.  
+
The statue was carved from wood and then gilded. The ornate headdress has been newly remade.  
  
It had originally been enshrined in Bongseosa Temple in Wanju, but it was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in the 1950s when that temple burned down. In 1997, various artifacts were discovered inside the statue, including the Lotus Sutra, Dharani Sutra, and a historical record of the creation of the scultpure.
+
It had originally been enshrined in Bongseosa Temple in Wanju, but it was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in the 1950s when that temple burned down. In 1997, various artifacts were discovered inside the statue, including the Lotus Sutra, Dharani Sutra, and a record of the sculpture's creation.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0년 5월 29일 (금) 16:28 판

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Cheongnyongsa Temple, Gimje
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영문명칭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Cheongnyongsa Temple, Gimje
한자 金堤 靑龍寺 木造觀音菩薩坐像
주소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47-3
지정번호 보물 제1833호
지정일 2014년 9월 19일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구(발원문 1점, 후령통 1점)
웹사이트 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김제 청룡사 목조 관음보살 좌상은 자비를 상징하는 관음보살로 효종 6년(1655)에 왕실의 안녕과 모든 중생의 성불을 염원하며 승려 조각가였던 조능이 조성하였다.

본래는 완주 봉서사의 향로전에 모셔져 있었으나 1950년대에 봉서사가 화재로 소실된 이후 청룡사로 옮겨졌다. 1997년에는 불상 내부에 있던 묘법연화경과 다라니경, 조성 발원문 등이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1655년이라는 제작 시기, 조능이라는 조각승, 봉서사 향로전이라는 봉안 장소가 알려졌다.

불상은 나무로 제작하여 금박을 덧입혔고,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올렸으며 고개를 약간 앞으로 숙인 모습을 하고 있다. 불상은 조선 후기의 대중적이고 평범하면서 담백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다.


  • 보관(寶冠): 보석으로 꾸민 관

영문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Cheongnyongsa Temple, Gimje

This statue depicting Avalokitesvara, the Bodhisattva of Great Compassion, was created in 1655 under the direction of the prolific Buddhist monk-sculptor Joneung to wish for the well-being of the royal family and the salvation of all living things.

The statue was carved from wood and then gilded. The ornate headdress has been newly remade.

It had originally been enshrined in Bongseosa Temple in Wanju, but it was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in the 1950s when that temple burned down. In 1997, various artifacts were discovered inside the statue, including the Lotus Sutra, Dharani Sutra, and a record of the sculpture's creation.

영문 해설 내용

이 불상은 자비를 상징하는 관음보살을 나타낸 것이다. 왕실의 안녕과 모든 중생의 성불을 염원하며 1655년에 조성되었으며, 당시 활발히 활동했던 승려조각가 조능이 주도하였다.

본래 완주 봉서사에 모셔져 있었으나, 1950년대에 봉서사가 화재로 소실된 이후 청룡사로 옮겨졌다. 1997년에는 불상 내부에 있던 묘법연화경, 다라니경, 조성발원문 등이 발견되었다.

나무를 깎아 형태를 만든 후 금박을 덧입혔다. 머리에 쓴 화려한 보관은 최근에 새로 제작하였다.

참고자료

→청룡사 연혁 ; 혜덕 왕사가 금산사를 크게 중창할 때 모악산 내에 세운 40여 암자 중 하나였다. 정유재란 때 소실된 것을 임씨대법화 보살이 1956년 토굴을 만들어 용천대라 불렀다. 1963년 월정스님이 토굴과 요사채를 건립하여 용천암으로 개명하고 계속해서 진입로를 내고 관음전을 복원하였으며 1983년 청룡사로 개명하고 선방 요사채를 지었다. 전통사찰 제103호이며,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보물 1883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