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군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9월 12일 (토) 06:0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군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
Stone Standing Buddha in Daeyul-ri, Gunwi
군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군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
영문명칭 Stone Standing Buddha in Daeyul-ri, Gunwi
한자 軍威 大栗里 石造如來立像
주소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691
지정번호 보물 제988호
지정일 1989년 4월 10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군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여래는 ‘여실히 오는 자’, ‘진여(眞如: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에서 오는 자’라는 의미로, 부처와 같은 뜻을 가진 낱말이다. 석조 여래 입상이란 돌로 만든 서 있는 부처이다.

대율사 용화전에 모셔져 있는 석조 여래 입상은 통일 신라 때의 불상으로, 1972년 사찰을 세울 때 발굴되었다. 불상은 네모진 형태의 받침돌 위에 서 있는데, 높이는 2.65m이다. 초승달 모양의 눈썹, 얇은 입술과 작은 입, 낮은 코는 통통한 볼 때문에 오히려 풍만한 인상을 주지만 조금 뻣뻣한 모습이다. 귀는 길어서 어깨에 닿고 목에는 세 줄의 목주름이 뚜렷하다. 손 모양은 오른손은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손끝이 위로 향하도록 펴고 있으며, 왼손은 손바닥을 가슴에 댄 독특한 모양이다. 옷은 양어깨에서 가슴과 배를 지나 무릎까지 오는데 옷 주름이 위에서 아래로 반복적으로 U자형을 그리며 늘어졌다. 양 팔목에 새겨진 여러 겹의 옷 주름은 곧게 서 있는 긴 하체를 더욱 돋보이게 하지만 딱딱한 인상을 풍긴다.

석조 여래 입상은 9세기 통일 신라 시대 때 경상도 지역에서 유행한 대형 불상의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세련되고 당당한 신라 불상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

영문

Stone Standing Buddha in Daeyul-ri, Gunwi

영문 해설 내용

용화사 능인전에 모셔져 있는 이 불상은 통일신라시대인 9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불상의 머리에는 부처의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가 높이 표현되어 있고, 귀가 특히 길어 어깨까지 닿는다. 목에는 번뇌, 업, 고통을 상징하는 삼도가 깊게 새겨져 있다. 양쪽 어깨를 덮은 법의는 U자형 주름을 이루며 무릎까지 늘어지게 표현했다. 손 모양은 오른손이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펴고 있고, 왼손은 손바닥을 가슴에 대고 있다.

불상의 원래 대좌는 없어졌고, 지금은 별도의 받침돌 위에 두 발 모양을 조각한 후 그 위에 불상을 붙여놓았다. 불상의 전체 높이는 2.65m이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