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구미 대둔사 아미타불회도

HeritageWiki
Kurt1166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11월 27일 (월) 23:51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구미 대둔사 아미타불회도
구미 대둔사 아미타불회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구미 대둔사 아미타불회도
한자 龜尾 大芚寺 阿彌陀佛會圖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지정일 2022년 3월 21일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제작시기 조선시대 1761년
수량/면적 1폭
웹사이트 구미 대둔사 아미타불회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아미타불회도는 서방 극락세계에서 아미타불이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불화*를 뜻한다. 이 불화는 조선 영조 37년(1761)에 당대 팔공산 일대의 대표적인 수화승* 처일(處一)이 유성(有性), 채성(采性), 지열(知悅), 수연(守衍) 등 여러 화승들과 함께 그렸다.

그림의 전체 크기는 가로 301cm, 세로 316cm로 너비가 39cm 정도인 비단 여덟 폭을 이어 붙여 화폭을 만들었다.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하여 팔대 보살*과 사천왕상을 둥글게 배치하였고, 아미타불의 두광* 좌우에는 두 제자를 그렸다. 구름문의 양쪽 외곽에는 천룡과 인왕상을 그렸다.

이 불화의 양식은 18세기 전반과 18세기 후반의 아미타불회도를 이어 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동시에 당대 경상도 지역에서 굉원 화파 및 밀기 화파의 영향을 받았던 화승 처일의 특징적인 화풍을 보여 주는 작품으로서 가치가 높다.


  • 불화(佛畫): 부처나 보살을 표현한 불교 그림.
  • 수화승(首畵僧): 불화를 그리는 승려인 화승(畵僧)들을 이끄는 으뜸 승려.
  • 팔대 보살(八代菩薩): 아미타불을 가까이서 모시는,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비롯한 여덟 명의 보살.
  • 두광(頭光): 부처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존귀한 빛. 불화를 그릴 때 부처의 머리 언저리에 둥글게 표현한다.

영문

Buddhist Painting of Daedunsa Temple, Gumi (Amitabha Buddha)

This Buddhist painting depicts the scene of Amitabha Buddha’s lecture in the Western Paradise. It was produced in 1761 by Monk Cheoil, a representative Buddhist artist of the whole Palgongsan Mountain area, who worked on this painting together with the artisan monks Yuseong, Chaeseong, Jiyeol, and Suyeon. It is believed that all beings who call the name of Amitabha while reflecting on his meritorious virtues can be reborn in the Buddhist paradise of the West.

Measuring 301 cm in width and 316 cm in height, the painting was done on eight silk canvases attached together, each measuring about 39 cm in width. Amitabha is depicted in the middle of the painting flanked by eight bodhisattvas and the four guardian kings. To either side of his head are two disciples and at the very top are celestial guardians(?) and wrathful guardians.

The painting is an important example of the typical features of Amitabha Buddha paintings of the 18th century. It also holds great value as a good demonstration of Monk Cheoil’s style.

영문 해설 내용

이 불화는 아미타불이 서방 극락정토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그린 것으로, 1761년에 팔공산 일대의 대표적인 승려화가인 처일이 유성, 채성, 지열, 수연 등 여러 화승들과 함께 그렸다. 아미타불의 공덕을 기리고 그의 이름을 염(念)하는 모든 중생들은 극락세계에 왕생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그림의 전체 크기는 가로 301cm, 세로 316cm로 너비가 39cm 정도인 비단 여덟 폭을 이어 붙여 화폭을 만들었다.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양옆에 팔대 보살과 사천왕을 배치하였고, 아미타불의 두광 좌우에는 두 제자를 그렸다. 그림의 가장 상단 외곽에는 천룡과 인왕을 그렸다.

이 불화의 양식은 18세기 아미타불회도의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동시에 당대 경상도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처일의 특징적인 화풍을 보여 주는 작품으로서 가치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