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사성암 산왕전(산신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27번째 줄: 27번째 줄:
 
'''Sanwangjeon Hall'''
 
'''Sanwangjeon Hall'''
  
This is a shrine honoring local mountain spirits, called "sansin," which are a part of Korean shamanism. The practice of worshipping mountain spirits at a Buddhist temple is unique to Korea and demonstrates the harmonious symbiosis of Korean Buddhism and indigenous beliefs.
+
This is a shrine honoring local mountain spirits, called ''sansin'', which are a belief of Korean shamanism. The practice of worshipping mountain spirits at a Buddhist temple is unique to Korea and demonstrates the harmonious symbiosis of Korean Buddhism and indigenous beliefs.
  
 
This wooden shrine was built among tall rocks. There is a rock on which the right side of the roof rests, and it is said to resemble the Buddha's profile.
 
This wooden shrine was built among tall rocks. There is a rock on which the right side of the roof rests, and it is said to resemble the Buddha's profile.

2020년 3월 11일 (수) 20:52 판

산왕전(산신각)
Sanwangjeon Hall
대표명칭 산왕전(산신각)
영문명칭 Sanwangjeon Hall
주소 전라남도 구례군 문척면 죽마리 189



해설문

국문

사찰에서 산신(山神)을 한곳에 안치한 건물 안에 독성, 칠성, 산신을 함께 모시면 삼성각이라 하고, 이들을 따로 모시면 칠성각, 산신각, 독성각이 된다. 산신은 백발 노인으로 묘사되고, 호랑이는 산신의 지시에 따르는 영물로 산신 옆에 배치된다. 삼신산을 배경으로 손에는 부채나 불로초 등을 들고 대머리에 수염과 긴 눈썹이 휘날리는 모습을 그린 산신탱화를 산신각에 안치한다.

영문

Sanwangjeon Hall

This is a shrine honoring local mountain spirits, called sansin, which are a belief of Korean shamanism. The practice of worshipping mountain spirits at a Buddhist temple is unique to Korea and demonstrates the harmonious symbiosis of Korean Buddhism and indigenous beliefs.

This wooden shrine was built among tall rocks. There is a rock on which the right side of the roof rests, and it is said to resemble the Buddha's profile. The painting enshrined inside depicts the mountain spirit as an old man in the center, with a mystical creature in shape of a tiger to his right, and three boy servants to his left.

영문 해설 내용

산왕전은 산의 신령인 산신을 모시는 전각이다. 불교 사찰에서 산신을 모시는 것은 한국에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사례이며, 한국의 불교가 토착신앙과 조화를 이루며 발전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 목조 전각은 높은 암벽 사이에 지어졌으며, 오른쪽 지붕 끝에 맞닿아 있는 바위가 부처님의 옆얼굴 모습으로 보이기도 한다. 전각 내부에는 노인으로 묘사된 산신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영물을 나타내는 호랑이가 있고, 왼쪽에는 산신을 보좌하는 세 동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