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광석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광석재.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2140000 광석재], 국가문화유산포...)
 
4번째 줄: 4번째 줄: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2140000 광석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2140000 광석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광석재
 
|대표명칭=광석재
|영문명칭=
+
|영문명칭=Gwangseokjae Ritual House
 
|한자=廣石齋
 
|한자=廣石齋
|주소=경북 군위군 소보면 도군로 1744-21 (봉황리)
+
|주소=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 도군로 1744-21 (봉황리)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14호
 
|지정번호=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14호
23번째 줄: 23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고려 후기 충신인 이려(李麗, 1384∼1455) 선생과 그의 손자인 이세현(1476∼1555) 선생의 묘 옆에 제사, 제사에 필요한 물품 준비, 묘소 관리를 위해 후손 이정기(1613∼1699)가 지은 재실(齋室)*이다. 이려는 조선이 개국하자 평생을 두문불출하고 지냈던 충신이었고, 이세헌은 의성의 대표적인 학자였다. 묘소 옆의 산비탈에 평대문(平大門)*과 재실을 일직선상으로 배치하고, 마당 북쪽에는 1982년에 지은 관리사가 있다. 재실 뒤편 언덕 위에는 사당인 모덕사와 영천이씨 시조 제단(祭壇)이 있다. 재실은 3단으로 쌓은 높은 기단(基壇)* 위에 세웠다. 실 구성은 3칸의 넓은 대청 좌우로 온돌방 1칸씩을 대칭으로 배열하고, 각 온돌방 앞으로는 돌기둥 위에 다락처럼 높게 만든 누마루* 1칸씩을 둔 ㄷ자형이다. 대청 앞에만 둥근기둥을 사용했다. 대청에 지붕을 받히는 여러 부재들의 짜임새가 매우 독특하다.  
+
재실은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조상의 묘소 또는 사당 근처에 세운 집이다. 일반적으로 재실 근처에는 조상의 무덤인 선산과 문중의 조상을 모신 종산, 묘에서 지내는 제사의 비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경작하던 논밭인 위토(位土)있다. 재실에는 묘지기, 또는 산지기가 살고 있다.
  
묘 옆에 지은 재실로 지형을 이용한 ㄷ자형의 평면, 지붕을 받치는 짜임새와 지붕형태는 조선후기 재실 건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
광석재는 고려 후기 충신인 이려(李麗)와 그의 '''손자인 의성의 대표적 학자 이세현'''을 모시려고 후손 이정기가 17세기에 지었다. 이려는 고려가 망하자 평생을 두문불출하고 지냈던 충신으로 이름까지 려()로 바꾸었다.
----
 
* 재실(齋室) : 무덤이나 사당 옆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집
 
* 평대문(平大門) : 정문과 협문의 높이를 같게 한 대문
 
* 기단(基壇) : 건축물의 터를 반듯하게 다듬은 다음에 터보다 한 층 높게 쌓은 단을 두르는 돌
 
* 누마루 : 다락처럼 높게 만든 마루
 
  
===영문===
+
들어가는 정면에는 1칸 폭의 넓은 계단이 있고 전체적으로 ㅁ자형 구조이다.재실 뒤편 언덕 위에는 사당인 모덕사와 영천이씨 시조를 제사 지내는 단이 있다. 현재 광덕사 경내에는 이들의 위패를 모신 모덕사 앞으로 1982년 세운 관리사가 있다.
  
 +
지형을 이용한 ㄷ자형의 평면, 지붕을 받치는 짜임새와 지붕 형태는 조선 후기 재실 건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영문 해설 내용===
+
*<font color="tomato">이세헌: 이려의 종손임.</font>
고려 후기의 충신인 이려(1384-1455)와 그의 손자 이세헌(1476-1555)의 묘소를 관리하고 제사를 준비하기 위해 후손인 이정기(1613-1699)가 지은 재실이다.
 
  
이려는 영천 이씨의 이 지역 입향조로, 조선이 개국하자 평생을 두문불출하고 지내면서 이름도 고려의 ‘려(麗)’로 바꾸었다. 이세헌은 1519년 사화가 일어나자 은거하고 출사하지 않은 의성 지역의 대표적인 학자였다.
+
===영문===
 +
'''Gwangseokjae Ritual House'''
  
재실 건물은 1660년 경에 지어졌으며, 묘역 옆에 대문과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
===영문 해설 내용===
 +
고려시대의 충신인 이려(1384-1455)와 그의 증손이자 학자인 이세헌(1476-1555)의 묘소를 관리하고 제사를 준비하기 위한 재실이다. 후손인 이정기(1613-1699)가 1660년 경에 지었다. 광석재 앞쪽의 이려와 이세헌을 비롯한 문중 인물들의 묘역이 있다.
  
경사진 지형에 건물을 짓기 위해 3층의 기단을 쌓은 후 재실 건물을 세웠다.
+
이려는 영천이씨의 군위 입향조로, 조선이 개국하자 관직에 나가지 않고 여생을 두문불출하고 지냈다. 이세헌은 1519년 사화가 일어나자 출사하지 않고 은거하였다.
  
중앙의 대청 앞에는 둥근 기둥을 세웠고, 양옆에 있는 온돌방 앞으로 다락처럼 높게 만든 누마루를 돌출시켰다.
+
재실은 경사진 지형에 위치하여, 높은 기단 위에 지어졌다. 재실 뒤편의 언덕에는 영천이씨 시조인 이박가 이려, 이세헌을 모신 사당인 모덕사가 있고, 모덕사 옆에는 영천이씨 시조부터 8대까지의 선조들에게 제사를 올리는 제단이 있다. 모덕사 앞에 있는 관리사는 1982년에 지은 것이고, 광석재와 모덕사는 1994-1995년에 대대적으로 중수하였다.
  
*재실 뒤편의 언덕에는 사당인 모덕사와 영천 이씨 시조에게 제사를 올리는 제단이 있으며, 마당에 있는 관리사는 1982년에 지은 것이다.
+
=='''참고자료'''==
 
 
 
 
=='''참고 자료'''==
 
 
*애일당,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cacahoho/15373195 -> 이세헌 정보
 
*애일당,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cacahoho/15373195 -> 이세헌 정보
 
*옛문화답사회, 네이버블로그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rkdc&logNo=220183617825&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 설명 쉬움,  재실 건립 시점 확인
 
*옛문화답사회, 네이버블로그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rkdc&logNo=220183617825&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 설명 쉬움,  재실 건립 시점 확인
 
+
* 영천이씨중앙종회 상계인물편. http://yclee.kr/HOME/yclee/sub.htm?nav_code=ycl1561945655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20년 10월 1일 (목) 07:16 판


광석재
Gwangseokjae Ritual House
광석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광석재
영문명칭 Gwangseokjae Ritual House
한자 廣石齋
주소 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 도군로 1744-21 (봉황리)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14호
지정일 1989년 5월 29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광석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재실은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조상의 묘소 또는 사당 근처에 세운 집이다. 일반적으로 재실 근처에는 조상의 무덤인 선산과 문중의 조상을 모신 종산, 묘에서 지내는 제사의 비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경작하던 논밭인 위토(位土)가 있다. 재실에는 묘지기, 또는 산지기가 살고 있다.

광석재는 고려 후기 충신인 이려(李麗)와 그의 손자인 의성의 대표적 학자 이세현을 모시려고 후손 이정기가 17세기에 지었다. 이려는 고려가 망하자 평생을 두문불출하고 지냈던 충신으로 이름까지 려(麗)로 바꾸었다.

들어가는 정면에는 1칸 폭의 넓은 계단이 있고 전체적으로 ㅁ자형 구조이다.재실 뒤편 언덕 위에는 사당인 모덕사와 영천이씨 시조를 제사 지내는 단이 있다. 현재 광덕사 경내에는 이들의 위패를 모신 모덕사 앞으로 1982년 세운 관리사가 있다.

지형을 이용한 ㄷ자형의 평면, 지붕을 받치는 짜임새와 지붕 형태는 조선 후기 재실 건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이세헌: 이려의 종손임.

영문

Gwangseokjae Ritual House

영문 해설 내용

고려시대의 충신인 이려(1384-1455)와 그의 증손이자 학자인 이세헌(1476-1555)의 묘소를 관리하고 제사를 준비하기 위한 재실이다. 후손인 이정기(1613-1699)가 1660년 경에 지었다. 광석재 앞쪽의 이려와 이세헌을 비롯한 문중 인물들의 묘역이 있다.

이려는 영천이씨의 군위 입향조로, 조선이 개국하자 관직에 나가지 않고 여생을 두문불출하고 지냈다. 이세헌은 1519년 사화가 일어나자 출사하지 않고 은거하였다.

재실은 경사진 지형에 위치하여, 높은 기단 위에 지어졌다. 재실 뒤편의 언덕에는 영천이씨 시조인 이박가 이려, 이세헌을 모신 사당인 모덕사가 있고, 모덕사 옆에는 영천이씨 시조부터 8대까지의 선조들에게 제사를 올리는 제단이 있다. 모덕사 앞에 있는 관리사는 1982년에 지은 것이고, 광석재와 모덕사는 1994-1995년에 대대적으로 중수하였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