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연대기: 지혜를 품은 메타버스 여행

HeritageWiki
Ssrss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4년 3월 28일 (목) 15:20 판 (고사(주제)별 그림 현황)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맨틱 데이터

전체 현황

  • Node List
Class Node List
Painting Identified Painting
Episode Identified Episode
Agent Identified Agent
Event Identified Event(없음)
Place Identified Place
Record Identified Record
Concept Identified Concept
Object Identified Object
Heritage Identified Heritage
Multimedia Identified Multimedia(없음)
WebResource Identified WebResource
Bibliography Identified Bibliography(없음)

고사(주제)별 그림 현황

EpisodeID 고사 내용 김진여本(1700) 한국本(1924) 중국本(1934) 일본本(화판집성본)
조두예용 조두예용(俎豆禮容): 조두를 차려놓고 들어가 학문을 익히다 김진여 조두예용.png 한국 조두예용.png 중국 조두예용.png 일본 조두예용.png
Network Network Network Network
문례노담 문례노담(問禮老聃): 노자를 만나 예에 대하여 묻다 김진여 문례노담.png 한국 문례노담.png 중국 문례노담.png 일본 문례노담.png
Network Network Network Network
퇴수시서 퇴수시서(退修詩書) : 물러나 『시경』『서경』을 편수하다 김진여 퇴수시서.png 중국 퇴수시서.png 일본 퇴수시서.png
Network Network Network
과정시례 과정시례(過庭詩禮): 정원에서 아들에게 『시경』『예기』를 배우도록 가르치다 중국 과정시례.png
Network
농산언지 농산언지(農山言志): 농산에서 제자(안회, 자로, 자공)들의 포부를 묻다 한국 농산언지.png 중국 농산언지.png
Network Network
독역유감 독역유감(讀易有感): 『주역』을 읽으며 탄식하다 한국 독역유감.png 중국 독역유감.png
Network Network
성문사과 성문사과(聖門四科): 공자의 제자들이 네 가지 분야에 뛰어난 재능을 보이다 한국 성문사과.png 중국 성문사과.png
Network Network
효경전증 효경전증(孝經傳曾): 증자에게 『효경』을 전하다 한국 효경전증.png 중국 효경전증.png
Network Network
재천관수 재천관수(在川觀水): 흘러가는 강물을 바라보다
주식고금 주식고금(晝息鼓琴): 낮에 쉬면서 거문고를 타다
관향인사 관향인사(觀鄕人射): 마을 사람들의 활 쏘는 모습을 지켜보다
태산문정 태산문정(泰山問政): 태산에서 정치를 논하다
수희분혜 수희분혜(受餼分惠): 얻은 양식을 제자들과 나누다
사확상포 사확상포(射矍相圃): 확상포에서 활쏘기를 하다
무우종유 무우종유(舞雩從游): 무우대를 거닐면서 학문을 논하다
관상지우 관상지우(觀象知雨): 하늘을 보고 비 올 것을 알다
보유수사 보유수사(步游洙泗): 제자들과 강변을 거닐며 학문을 논하다
사자시좌 사자시좌(四子侍坐): 네 명의 제자를 곁에 앉히고 포부를 묻다
관기론도 관기론도(觀器論道): 그릇을 보고 도를 논하다
탈참관인 탈참관인(脫驂館人): 수레를 끌던 말을 상가에 보내 죽음을 애도하다
미복과송 미복과송(微服過宋): 허름한 옷을 입고 송나라를 지나다
자로문진 자로문진(子路問津): 자로를 보내 나루터를 물어보다
지노묘재 지노묘재(知魯廟災): 노나라 종묘에 화재가 일어났음을 알다
재진절양 재진절양(在陳絶糧): 진나라에서 식량이 떨어지다
과포찬정 과포찬정(過蒲贊政): 포 지역에 이르러 자로의 정치를 칭찬하다
자서저봉 자서저봉(子西沮封): 자서가 공자의 등용을 막다
산량탄치 산량탄치(山梁嘆雉): 산골짜기의 다리 위에서 꿩을 보며 탄식하다
명사존로 명사존로(命賜存魯): 노나라를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다
자공사행 자공사행(子貢辭行): 자공이 재상이 되어 길을 떠나다
자고인서 자고인서(子羔仁恕): 자고의 인자하고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칭찬하다
무성현가 무성현가(武城絃歌): 무성 땅에서 거문고 소리와 노랫소리를 듣다
작의난조 작의난조(作猗蘭操): 산골짜기에 핀 난초를 보고 노래를 짓다
행단예악 행단예악(杏壇禮樂): 은행나무 단상에서 예악을 설파하다
극복전안 극복전안(克復傳顔): 안연에게 극기복례의 도리를 전하다
위편삼절 위편삼절(韋編三絶): 죽간을 묶은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지다
금음맹단 금음맹단(琴吟盟壇): 제후들이 맹약을 했던 단 위에서 거문고를 타다
망오문마 망오문마(望吳門馬): 오나라의 수도 창문에 있는 말을 알아보다
평실통요 평실통요(萍實通謠): 노래를 듣고 과일의 이름을 알다
부대전부 부대전부(不對田賦): 토지세에 대한 자문에 답변하지 않다
관사론속 관사론속(觀蜡論俗): 세말의 제사를 보며 속세의 삶을 논하다
서수획린 서수획린(西狩獲麟): 서쪽 들판에서 기린이 잡히다
궤수적홍 궤수적홍(跪受赤虹) : 무릎을 꿇고 붉은 무지개를 받다
몽전양영 몽전양영(夢奠兩楹): 두 기둥 사이에 관이 놓여 있는 꿈을 꾸다
삼농식해 삼농식해(三壟植楷): 삼년상을 치르면서 해나무를 심다
치임별귀 치임별귀(治任別歸): 제자들이 상을 치르고 돌아가다
명명영황 명명영황(命名榮貺): 아들의 이름을 ‘리(鯉)’라고 짓다

스토리

공자성적도의 고사(주제)와 관려된 공자가어의 내용들, 내용을 볼 수 있는 웹자원들

  • 2hop으로 확인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