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창 용산리 분청사기 요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고창용산리분청사기요지.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501150000 고창 용...)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고창용산리분청사기요지.jpg
 
|사진=고창용산리분청사기요지.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501150000 고창 용산리 분청사기 요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501150000 고창 용산리 분청사기 요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고창용산리분청사기요지
+
|대표명칭=고창 용산리 분청사기 요지
|영문명칭=0
+
|영문명칭=Buncheong Kiln Site in Yongsan-ri, Gochang
|한자=高敞龍山里粉靑沙器窯址
+
|한자=高敞 龍山里 粉靑沙器 窯址
 
|주소=전북 고창군 부안면 용산리 437-438번지 산159
 
|주소=전북 고창군 부안면 용산리 437-438번지 산159
 
|소장처=
 
|소장처=
30번째 줄: 30번째 줄:
  
 
용산리 분청사기 요지에는 가마의 천장부가 남아 있고, 계단 모양의 소성실(자기를 굽는 곳)이 있다. 이는 15~16세기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흑유 자기 등의 양상을 살필 수 있고, 분청사기에서 백자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전개 과정 등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고창 용산리는 주진천을 따라 옛 뱃길이 닿고 주위에 좋은 흙과 나무가 풍부하여 가마터로 적합한 장소이다.
 
용산리 분청사기 요지에는 가마의 천장부가 남아 있고, 계단 모양의 소성실(자기를 굽는 곳)이 있다. 이는 15~16세기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흑유 자기 등의 양상을 살필 수 있고, 분청사기에서 백자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전개 과정 등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고창 용산리는 주진천을 따라 옛 뱃길이 닿고 주위에 좋은 흙과 나무가 풍부하여 가마터로 적합한 장소이다.
 
  
 
===영문===
 
===영문===
 +
'''Buncheong Kiln Site in Yongsan-ri, Gochang'''
  
 
+
This is a site of kilns where ''buncheong'' ware was produced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ies. ''Buncheong'' is a type of traditional Korean ceramic, which is made by coating the surface of celadon decorated with white slip.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15세기에서 16세기에 걸쳐 분청사기를 굽던 가마터이다. 분청사기는 청자에 백토로 분을 발라 다시 구워낸 도자기를 말한다.
+
이곳은 15세기에서 16세기에 걸쳐 분청사기를 굽던 가마터이다. 분청사기는 청자에 백토로 분을 발라 다시 구워낸 도자기를 말한다. 고창 용산리는 인근의 주진천을 따라 뱃길이 형성되어 있었고 주위에 좋은 흙과 나무가 풍부하여 가마터로 적합한 곳이었다.  
 
 
이 가마터는 제방 공사 중 유구가 드러나 2001년-2002년 사이에 발굴조사가 실시되었고, 그 결과 가마 4기 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온전한 형태의 아궁이와 굴뚝부, 계단 형태의 소성실을 비롯해 천장부 일부까지 남아 있는 가마의 존재도 발견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다양한 기법으로 만들어진 분청사기들과, 흑갈색 유약을 발라 만든 그릇, 백자, 옹기 등이다. 연꽃무늬, 물고기무늬, 모란무늬 등으로 장식된 접시, 잔, 병 등 일상생활용 그릇들이 많이 출토되었고, 이외에도 조선시대 궁궐에 공급하는 음식이나 술 등을 관리하는 관청을 나타내는 ‘내섬’ 혹은 ‘예빈’ 등의 글씨가 찍혀있는 그릇들이 발견되었다.
 
  
고창 용산리는 주진천을 따라 옛 뱃길이 닿고 주위에 좋은 흙과 나무가 풍부하여 가마터로 적합한 장소이다. 이곳은 전라북도에서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최초의 분청사기 가마터로, 관청용 그릇부터 민간에서 쓰이는 그릇까지 다양하게 출토되었다. 또 가마의 천장부가 남아 있는 점과 계단형 소성실이 사용된 점 등이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
이 가마터는 2001년-2002년 전라북도에서 최초로 발굴 조사한 분청사기 가마터이다. 조사 결과 가마 4기와 자기 퇴적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아궁이, 굴뚝, 소성실, 가마의 천장부까지 온전한 형태로 남아 있는 가마가 발견되어, 당시의 가마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
출토된 유물로는 다양한 기법으로 문양을 넣은 분청사기들뿐만 아니라. 흑갈색 유약을 발라 만든 그릇, 백자, 옹기 등도 있다. 접시, 잔, 병 등 일상생활용 그릇들이 많이 출토되었고, 이외에도 궁궐에 공급하는 음식과 술을 관리하는 관청을 상징하는 글씨가 찍혀있는 그릇들도 발견되었다.
  
=='''참고 자료'''==
+
=='''참고자료'''==
 
*고창 용산리 분청사기 요지 발굴조사보고서, 호남문화재연구원, 2004 -> ‘현(玄)’자 명문 접시 외부 유입으로 정리함. :('현(玄)'자가 찍혀 있는 백자 접시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관청용 도자기를 구워내기 위해 나라에서 직접 관리했던 경기도 광주 지역 가마들의 자기들에서 확인되는 것이다. 이 자기는 광주의 자기가 이 지역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다른 지역의 가마와 상호 교류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고창 용산리 분청사기 요지 발굴조사보고서, 호남문화재연구원, 2004 -> ‘현(玄)’자 명문 접시 외부 유입으로 정리함. :('현(玄)'자가 찍혀 있는 백자 접시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관청용 도자기를 구워내기 위해 나라에서 직접 관리했던 경기도 광주 지역 가마들의 자기들에서 확인되는 것이다. 이 자기는 광주의 자기가 이 지역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다른 지역의 가마와 상호 교류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디지털고창문화대전 http://gochang.grandculture.net/Contents?local=gochang&dataType=01&contents_id=GC02800558    -> 가마별 세부 정보, 의의
 
*디지털고창문화대전 http://gochang.grandculture.net/Contents?local=gochang&dataType=01&contents_id=GC02800558    -> 가마별 세부 정보, 의의

2020년 8월 8일 (토) 17:19 판


고창 용산리 분청사기 요지
Buncheong Kiln Site in Yongsan-ri, Gochang
고창 용산리 분청사기 요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고창 용산리 분청사기 요지
영문명칭 Buncheong Kiln Site in Yongsan-ri, Gochang
한자 高敞 龍山里 粉靑沙器 窯址
주소 전북 고창군 부안면 용산리 437-438번지 산159
지정번호 전라북도 기념물 제115호
지정일 2002년 8월 2일
분류 유적건조물/산업생산/요업/도자기가마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일원(2,000㎡)
웹사이트 고창 용산리 분청사기 요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요지'는 도자기나 기와, 그릇을 만들어 굽던 가마터를 말한다. ‘분청사기’는 회색 또는 회흑색의 도자기를 만드는 흙 위에 정선한 백토를 표면에 바르고 유약을 발라 구운 조선 초의 대표적 도자기이다.

고창 용산리 분청사기 요지는 2001~2002년 전라북도에서 최초로 발굴 조사한 분청사기 가마터이다. 발굴 조사 결과 가마 4기와 자기 퇴적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혀냈다. 분청사기 요지는 귀얄(표면을 솔질로 자국을 남기는 기법), 덤벙(도자기의 아랫부분을 잡고 백토에 담가 모양을 내는 기법), 인화(표면에 문양 도장으로 찍는 기법) 기법의 분청사기, 흑유 자기(흑갈색의 유약을 바른 그릇), 백자, 옹기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된 대규모 가마터이다.

또 궁중의 음식, 술 등과 관련한 업무를 담당한 관청의 이름이 찍힌 유물이 출토되었다. 경기도 광주의 관요 양식인 ‘현(玄)’자 명의 백자 접시가 출토된 것으로 보아, 이러한 양식이 지방에까지 유행하였음을 짐작하게 한다.

용산리 분청사기 요지에는 가마의 천장부가 남아 있고, 계단 모양의 소성실(자기를 굽는 곳)이 있다. 이는 15~16세기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흑유 자기 등의 양상을 살필 수 있고, 분청사기에서 백자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전개 과정 등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고창 용산리는 주진천을 따라 옛 뱃길이 닿고 주위에 좋은 흙과 나무가 풍부하여 가마터로 적합한 장소이다.

영문

Buncheong Kiln Site in Yongsan-ri, Gochang

This is a site of kilns where buncheong ware was produced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ies. Buncheong is a type of traditional Korean ceramic, which is made by coating the surface of celadon decorated with white slip.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15세기에서 16세기에 걸쳐 분청사기를 굽던 가마터이다. 분청사기는 청자에 백토로 분을 발라 다시 구워낸 도자기를 말한다. 고창 용산리는 인근의 주진천을 따라 뱃길이 형성되어 있었고 주위에 좋은 흙과 나무가 풍부하여 가마터로 적합한 곳이었다.

이 가마터는 2001년-2002년 전라북도에서 최초로 발굴 조사한 분청사기 가마터이다. 조사 결과 가마 4기와 자기 퇴적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아궁이, 굴뚝, 소성실, 가마의 천장부까지 온전한 형태로 남아 있는 가마가 발견되어, 당시의 가마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출토된 유물로는 다양한 기법으로 문양을 넣은 분청사기들뿐만 아니라. 흑갈색 유약을 발라 만든 그릇, 백자, 옹기 등도 있다. 접시, 잔, 병 등 일상생활용 그릇들이 많이 출토되었고, 이외에도 궁궐에 공급하는 음식과 술을 관리하는 관청을 상징하는 글씨가 찍혀있는 그릇들도 발견되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