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삼존상과 권속 및 복장유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고창선운사참당암석조지장보살삼존상과권속및복장유물.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
 
57번째 줄: 57번째 줄:
 
[[분류:지장보살]]
 
[[분류:지장보살]]
 
[[분류:삼존상]]
 
[[분류:삼존상]]
 +
[[분류:복장유물]]
 
[[분류:2021 영문집필]]
 
[[분류:2021 영문집필]]

2021년 5월 21일 (금) 23:57 판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삼존상과 권속 및 복장유물
대표명칭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삼존상과 권속 및 복장유물
한자 高敞 禪雲寺 懺堂庵 石造地藏菩薩三尊像과 眷屬 및 腹藏遺物
주소 전라북도 고창군 선운사로 250 (아산면)
지정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65호
지정일 2019년 12월 20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불상 21구, 복장유물 9건
웹사이트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삼존상과 권속 및 복장유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명부전이란 지장보살을 본존으로 하여 염라대왕과 시왕 등의 존귀한 형상을 모신 법당이다. 이 명부전에는 지장보살좌상, 도명존자상, 무독귀왕상, 시왕상(10구), 귀왕상(2구), 판관상 (2구), 사자상(2구), 장군상(2구) 등 모두 21구의 불교 조각상이 모셔져 있다.

지장보살좌상 가슴속에서는 조각상을 만든 때와 그 목적, 시주한 사람들의 명단, 조각한 스님 등을 기록한 발원문(發願文)이 나왔다. 그리고 14세기 말에서 17세기 후반에 간행된 불경, 백자 후령통*(候鈴筒) 등도 발견되었다.

발원문에 따르면 이 조각상들은 조선 숙종 8년(1682)에 승호라는 승려가 경주 불석산에서 나는 불석**(佛石)으로 경주 동면 천동에서 만들었으며, 이곳 고창까지 배로 실어 와서 모셨다고 한다.


  • 후령통: 불상이나 금은, 칠보 등의 보물과 오곡 등을 넣은 통.
  • 불석: 경주 불석산에서 나온 돌로 강도가 약한 석재이며, 불상 조각에 많이 사용됨.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