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9월 25일 (금) 14:36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경주불국사청운교및백운교.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3700230000 경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Cheongungyo and Baegungyo Bridges of Bulguksa Temple, Gyeongju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영문명칭 Cheongungyo and Baegungyo Bridges of Bulguksa Temple, Gyeongju
한자 慶州 佛國寺 靑雲橋 및 白雲橋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불국로 385
지정번호 국보 제23호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분류 유적건조물/교통통신/교통/교량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불국사의 중심이 되는 예배공간은 대웅전과 극락전이다. 청운교와 백운교는 대웅전으로 들어가는 자하문(紫霞門) 앞 계단이다. 서쪽의 연화교와 칠보교(국보 제22호)에 비해 규모가 크고 웅장하다. 위쪽 16단이 청운교, 아래쪽 18단이 백운교이다. 속세와 부처의 세계를 연결한다는 종교적인 상징성을 지닌다.

청운교에 비해 백운교 부분의 높이와 너비가 조금씩 더 커서 시각적으로 안정감과 상승감을 준다. 계단을 다리형식으로 만든 특이한 형태로 청운교와 백운교가 이어지는 부분은 무지개 모양의 홍예(虹霓)* 구조를 이루고 있다.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는 통일신라의 계단으로 역사·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다. 1919년에 전체적인 보수가 있었고, 1972년 동자주(童子柱)*와 난간이 복원되었다.


  • 홍예(虹蜺) : 무지개, 문의 윗부분이나 다리의 교각을 무지개 모양으로 반쯤 둥글게 만든 것
  • 동자주(童子柱) : 돌난간의 중간에 세우는 짧은 돌기둥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