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강화 전등사 대웅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강화전등사대웅전.jpg
 
|사진=강화전등사대웅전.jpg
|사진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1_1_0&ccbaCpno=1122301780000# 강화 전등사 대웅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강화 전등사 대웅전
 
|대표명칭=강화 전등사 대웅전
 
|영문명칭=Daeungjeon Hall of Jeondeungsa Temple, Ganghwa
 
|영문명칭=Daeungjeon Hall of Jeondeungsa Temple, Ganghwa
16번째 줄: 16번째 줄:
 
|제작시기=
 
|제작시기=
 
|수량/면적= 1동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웹사이트=[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1_1_0&ccbaCpno=1122301780000# 강화 전등사 대웅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위도=
 
|위도=
 
|경도=
 
|경도=

2019년 11월 11일 (월) 09:30 판


강화 전등사 대웅전
Daeungjeon Hall of Jeondeungsa Temple, Ganghwa
강화 전등사 대웅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강화 전등사 대웅전
영문명칭 Daeungjeon Hall of Jeondeungsa Temple, Ganghwa
한자 江華 傳燈寺 大雄殿
주소 인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전등사 (온수리) / (지번)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
지정번호 보물 제178호
지정일 1963.01.21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소유자 전등사
관리자 전등사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강화 전등사 대웅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대웅전은 석가모니 불상을 모시는 건물로 사찰에서 중심이 되며 대웅은 법화경에서 석가모니를 위대한 영웅, 대웅大雄이라 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전등사는 ≪전등본말사지≫에 의하면 381년 아도화상이 창건하고 처음에는 진종사眞宗寺라 불렸다고 전한다. 대웅전은 조선 광해군 13년1621에 다시 지은 건물로 지붕 처마의 무게를 받치기 위한 구조인 공포가 기둥 위 뿐 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 사이에 배치되는 다포양식이다. 건물 네 모서리 추녀 밑에 벌거벗은 사람의 모습을 조각하였는데 전설에 의하면 절을 짓던 목수의 재물을 가로챈 주막 여인의 모습이라고 한다. 나쁜 짓을 경고하고 하루 세 번 부처님 말씀을 들으며 죄를 씻고, 깨달음을 얻어 새로운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라는 의미로 추녀를 받치게 하였다고 한다. 천장은 용, 극락조, 연꽃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였으며 부처를 모신 불단과 불상 머리 위의 닫집** 장식이 화려하다. 전등사 대웅전은 화려한 내부 장식과 건축재료를 능숙하게 조각하는 솜씨가 돋보이며 조선 중기 사찰 건축 중 우수한 사례이다.

    • 닫집: 법당 안 불단 위를 덮도록 만든 집의 모형. 부처님이 설법할 때 사용한 햇볕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