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강화 전등사 대웅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국문)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
+
|사진=강화전등사대웅전.jpg
 
|사진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
|대표명칭=강화 전등사 대웅전
|영문명칭=
+
|영문명칭=Daeungjeon Hall of Jeondeungsa Temple, Ganghwa
|한자=
+
|한자=江華 傳燈寺 大雄殿
|주소=
+
|주소=인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전등사 (온수리) / (지번)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
+
|지정번호=보물 제178호
|지정일=
+
|지정일= 1963.01.21
|분류=
+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소유자=
+
|소유자=전등사
|관리자=
+
|관리자=전등사
|시대=
+
|시대=조선시대
 
|제작시기=
 
|제작시기=
|수량/면적=
+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웹사이트=[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위도=
 
|위도=
41번째 줄: 41번째 줄: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강화군 문화유산]]
 
[[분류:강화군 문화유산]]
[[분류:]]
+
[[분류:보물]]
[[분류:]]
+
[[분류:불전]]

2019년 11월 11일 (월) 09:30 판


강화 전등사 대웅전
Daeungjeon Hall of Jeondeungsa Temple, Ganghwa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강화 전등사 대웅전
영문명칭 Daeungjeon Hall of Jeondeungsa Temple, Ganghwa
한자 江華 傳燈寺 大雄殿
주소 인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전등사 (온수리) / (지번)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
지정번호 보물 제178호
지정일 1963.01.21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소유자 전등사
관리자 전등사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대웅전은 석가모니 불상을 모시는 건물로 사찰에서 중심이 되며 대웅은 법화경에서 석가모니를 위대한 영웅, 대웅大雄이라 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전등사는 ≪전등본말사지≫에 의하면 381년 아도화상이 창건하고 처음에는 진종사眞宗寺라 불렸다고 전한다. 대웅전은 조선 광해군 13년1621에 다시 지은 건물로 지붕 처마의 무게를 받치기 위한 구조인 공포가 기둥 위 뿐 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 사이에 배치되는 다포양식이다. 건물 네 모서리 추녀 밑에 벌거벗은 사람의 모습을 조각하였는데 전설에 의하면 절을 짓던 목수의 재물을 가로챈 주막 여인의 모습이라고 한다. 나쁜 짓을 경고하고 하루 세 번 부처님 말씀을 들으며 죄를 씻고, 깨달음을 얻어 새로운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라는 의미로 추녀를 받치게 하였다고 한다. 천장은 용, 극락조, 연꽃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였으며 부처를 모신 불단과 불상 머리 위의 닫집** 장식이 화려하다. 전등사 대웅전은 화려한 내부 장식과 건축재료를 능숙하게 조각하는 솜씨가 돋보이며 조선 중기 사찰 건축 중 우수한 사례이다.

    • 닫집: 법당 안 불단 위를 덮도록 만든 집의 모형. 부처님이 설법할 때 사용한 햇볕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