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강화 망산봉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영문명칭= |한자= |주소= |소장처= |지정번호= |지...)
 
(국문)
23번째 줄: 23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
봉수는 근대적인 통신이 만들어지기 전 외적의 침입과 같은 국가적 위급사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로, 낮에는 연기를 피우고 밤에는 횃불을 올려 인근 봉수대를 거쳐 중앙으로 알리게 한 통신수단이다
  
 +
강화 망산 봉수와 관련하여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에 의하면 동쪽으로 진강산 봉수에 응하고, 서쪽으로 교동의 화개산 봉수에 응하였음을 알 수 있다.
 +
 +
이 유적은 2000년 육군박물관을 통해서 실시한 지표조사를 통해 유적의 위치를 확인하였고, 2011년 강화군에서 봉수 유적발굴조사를 통해 망산봉수는 정방형 기단에 원형 연대를 갖추고 있었던 것을 파악하였다.
  
 
===영문===
 
===영문===

2019년 11월 10일 (일) 14:26 판



웹사이트 [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봉수는 근대적인 통신이 만들어지기 전 외적의 침입과 같은 국가적 위급사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로, 낮에는 연기를 피우고 밤에는 횃불을 올려 인근 봉수대를 거쳐 중앙으로 알리게 한 통신수단이다

강화 망산 봉수와 관련하여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에 의하면 동쪽으로 진강산 봉수에 응하고, 서쪽으로 교동의 화개산 봉수에 응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유적은 2000년 육군박물관을 통해서 실시한 지표조사를 통해 유적의 위치를 확인하였고, 2011년 강화군에서 봉수 유적발굴조사를 통해 망산봉수는 정방형 기단에 원형 연대를 갖추고 있었던 것을 파악하였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

[[분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