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강당(정읍 무성서원)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6월 15일 (월) 15:40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정읍무성서원(강당).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501660000 정읍 무성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읍 무성서원
Museongseowon Confucian Academy, Jeongeup
정읍 무성서원(강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정읍 무성서원
영문명칭 Museongseowon Confucian Academy, Jeongeup
한자 井邑 武城書院
주소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44-12
지정번호 사적 제166호
지정일 1968년 12월 19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원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8,015㎡
웹사이트 정읍 무성서원(강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정읍 무성서원 강당은 무성서원의 교육 공간으로 성종 6년(1475) 불우헌 정극인(不憂軒 丁克仁)이 향약을 창설하면서 세운 향학당에서 유래한다. 광해군 7년(1615)에 태산서원무성서원의 옛 이름을 창건할 당시에는 현재와는 규모와 형태가 다른 강당 역할을 하는 건물이 있었다. 그런데 당초 건물은 1825년에 큰불이 나서 사라져 버렸다. 그 후 1828년 태인 현감 서호순의 도움으로 다시 세워 현재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건물은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에 선정된 9곳의 서원 중 한 곳인 무성서원의 교육 공간으로 쓰인 강당이다.

건물은 중앙에 문 없이 앞뒤가 트인 대청을 두고, 양쪽 끝에 온돌방을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건물은 1475년 정극인이 우리나라 최초의 향약인 고현동 향약을 시행하면서 세운 향학당에서 유래하였다. 1615년 무성서원의 전신인 태산서원 창건 당시 강당 역할을 했던 건물은 1825년에 화재로 소실되었고, 지금의 건물은 1828년 태인 현감 서호순의 도움을 받아 다시 세운 후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친 것이다.

강당인 명륜당은 서원 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화합 및 학문 강론 장소로 사용되었다. 서원의 강당은 유생들이 머무는 동서재와 모여 있는 경우가 많은데, 무성서원은 강당과 사당만 중앙에 두고 담을 쌓아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건물간의 위계질서를 두었다.

무성서원은 이 지역에 태수로 부임했던 통일신라 후기의 학자 최치원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886년에 세운 사당에서 유래하였다. 1484년에 지금의 자리로 이전해 1615년 태산서원이라는 이름으로 서원이 세워져 1696년 ‘무성’이라는 사액을 받았다. 이곳은 19세기 말 정부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전라북도 내 유일한 서원이며, 이 지역에서 성리학을 보급하고 학문을 장려한 7분을 배향하고 있다.

  • 수리 이력 확인 한 번 더 필요(이슬)
  • 서원 구조상 ‘명륜당’으로 불린다. / 건물의 문이 갖추어져 있지 않고 앞뒤가 훤히 뚫려있는 것은 뒷편에 위치한 사당을 가리지 않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 향약은 조선시대 향촌사회의 자치규약이다.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좋은 행실은 서로 권하고, 서로 예의를 지키며 사귀고,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서로 돕고, 잘못된 일은 서로 깨우쳐 주자는 유교적 덕목을 담고 있다.(기존 설명-순천 향약재)
  • 무성서원은 다른 일반 서원과는 다른 매우 독특한 배열 방식을 취하고 있다. 서원의 중앙에는 사당과 선생들이 기거하는 명륜당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 두 건물 주변으로 담이 둘러쳐져 있다. <중략> 오른편에는 유생들이 기거하는 강수재와 서원을 관리하는 고직사가 놓여 있다. 여기서 특기할만한 점은 이들 시설이 사당, 명륜당 등 주요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서 밖에 나와 있다는 것이다. 보통의 경우 강당인 명륜당은 동재, 서재와 가까이에 모여 있으나 무성서원은 이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다. 이런 모든 점은 무성서원이 처음에 제사를 지내는 사당으로 출발하여 서원으로 변했다는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전체적으로 제향 공간으로서의 큰 성격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무성서원 설명 추가할 것인지...? / 추가할 경우

=>서원은 조선시대에 설립된 사립 교육기관으로, 선현 제향과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무성서원은 이 지역에 태수로 부임했던 통일신라 후기의 학자 최치원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886년에 세운 사당에서 유래하였다. 사당은 정극인이 1475년에 세운 향학당(鄕學堂)이 있었던 지금의 자리로 1484년에 이전되었고, 1615년 태산서원이라는 이름으로 서원이 세워졌다. 1696년 사액을 받은 이곳은 19세기 말 정부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전라북도 내 유일한 서원이며, 이 지역에서 성리학을 보급하고 학문을 장려한 7분을 배향하고 있다. 무성서원은 마을 중앙에 위치하여 주민들이 민주적으로 서원의 보존과 운영에 참여해 왔다. 우리나라 최초의 향약인 고현동 향약을 시행하였으며, 을사늑약이 체결된 후 1906년 최익현을 중심으로 호남 최초의 의병을 창설한 곳이기도 하다. 무성서원은 한국 성리학의 지역적 특징을 상징하고 성리학이 전국적으로 널리 퍼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서원’ 9곳 중 하나에 선정되었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