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수정 국문)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진주청곡사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jpg
 
|사진=진주청곡사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jpg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제석․대범상(帝釋․大梵像)은 원래 브라만 또는 힌두교의 신상이었으나 대승불교 이후 불교의 호법신상으로 사천왕상 등과 더불어 불교에 수용되어 불교 미술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왔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조각상이 아닌 그림으로 그려졌다고 하는데 현재 전하는 제석․대범상은 사천왕상과 더불어 불교에서는 대표적인 호법선신으로 많은 조상 예를 남기고 있는데 사천왕상이 위엄을 나타낸 험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반하여 이 상의 얼굴 부분은 보살상에 가까운 자비상을 나타내고 있다. 호분으로 흰색을 나타내어 보살상과 구분하고 있으며, 보관은 봉황․화염패 등으로 장식하여 입체감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려고 한 양식적 특징을 살필 수 있다. 양손도 합장이 아닌 수인(手印)을 하고 있어 이것 또한 입체감을 나타내려 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의문(衣文)도 불화에서 제석․대범상과는 다른 양식을 살필 수 있어 주목된다.
+
진주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은 각각 제석천과 대범천을 나타낸 조각상이다. 제석천과 대범천은 인도 고대 신화에 나오는 신으로, 제석천은 신들의 왕인 인드라에서 유래하였고 대범천은 창조의 신인 브라흐마에서 유래하였다. 이 신들은 인도 고대 신화가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님을 수호하는 수호신이 되었다.
  
조각의 기법은 조선후기이 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그 양식적 특징이 중국이나 일본에서 조성된 예와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서 우리나라 제석․대번상의 조각상으로서의 양식적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작품이다.
+
제석천상과 대범천상은 원래 업경전에 있었는데 현재는 대웅전에 모셔져 있다. 두 조각상 모두 나무 의자에 등을 기대고 앉아서 다리를 내려뜨린 자세를 취하고 있다. 화려한 색상의 옷을 입었고, 머리에는 불꽃무늬와 봉황으로 장식된 보관을 쓰고 있다. 두 조각상의 손 모양은 조금 다른데, 대범천상은 왼손을 어깨 높이까지 올린 상태로 양손에 연꽃 줄기를 잡고 있고, 반대로 제석천상은 오른손을 어깨 높이까지 올리고 있다. 대범천상과 마찬가지로 손에 연꽃 줄기를 들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수정 국문===
+
우리나라의 제석천과 대범천이 대부분 그림이나 돋을새김 조각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과 달리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은 입체적인 조각상이다. 조각상에는 조선 후기의 양식과 기법이 나타나 있는데, 이는 중국이나 일본의 양식, 기법과 현저한 차이가 있어 우리나라 제석천상, 대범천상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초고====
 
''대범천과 제석천은 인도 고대 신화에 나오는 신으로, 불교에서는 불법을 수호하는 역할을 하는 호법신상으로 자리잡았다. / 대법천은 불법을 수호하는 역할을 하며, 제석천 역시 불법을 수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수행자들에게 음식과 재물을 보시한다.''
 
  
이 한 쌍의 불상은 대범천과 제석천을 형상화한 것으로, 오른편에 있는 것이 대범천상이다. 본래 대웅전 왼편에 있는 업경전(業鏡殿)에 봉안되었던 것이다. 업경전에 함께 봉안되어 있었던 다른 불상들이 만들어진 시기와 비슷한 17세기 중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은 청곡사 경내에 있는 문화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영문===
 
+
'''Wooden Seated Indra and Brahma of Cheonggoksa Temple, Jinju'''
두 불상은 나무 의자에 등을 기대고 앉아서 다리를 내려뜨린 자세를 취하고 있다. 입체감이 있는 보관을 쓰고 있으며, 흰색의 분을 칠한 모습을 표현해 보살상과 구분되도록 했다.
 
 
 
불화에서의 대범천과 제석천은 주로 합장을 하는 모습을 취하지만, 청곡사에 있는 이 불상들은 수인을 취하는 듯한 입체적인 손모양을 보여준다. 대범천상은 왼손을 어깨까지, 오른손을 가슴까지 들어 올려 연꽃 가지를 잡고 있다. 제석천상은 손의 방향이 대범천상과 반대이다.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신상임에도 자비로운 인상을 가진 두 불상은 옷의 문양 등이 불화에서 그려지는 모습과는 다른 양식을 취하고 있다. 
 
 
 
국내에 있는 대범천,제석천상 중 유일하게 전신의 모습을 입체적으로 조각하였으며,/ 현존하는 대범천ㆍ제석천상 가운데 국내 유일의 환조상으로, 18세기 불교미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현재 소재지 -> 2017년 기준임.
 
*청곡사 연혁 정보 넣을 것인지.? -> 대안(해당내용 요약) : 청곡사는 879년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1379년 신덕왕후의 원당사찰이 되어 중창되었고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던 가람을 1612년 새롭게 조성하였다. 조선 말기에 대대적인 중수를 했지만 6·25 전쟁 때 대부분 소실되었고, 수차례 걸쳐 중수와 보수 등을 거쳐 지금에 이르고 있다.
 
 
 
====1차 수정====
 
이 한 쌍의 조각상은 제석천과 대범천을 나타낸 것이다. 제석천과 대범천은 인도 고대 신화에 나오는 신으로, 불교에서는 부처님을 수호하는 최고의 수호신이 되었다.
 
 
 
17세기 중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원래 청곡사 업경전에 모셔져 있었다. 업경전은 저승세계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모두 구원하기 전에는 성불하지 않겠다고 맹세한 지장보살과 죽은 자의 죄를 심판하는 시왕을 모시는 전각으로, 사찰에서는 저승세계를 상징하는 곳이다.
 
 
 
우리나라에서 제석천과 대범천은 주로 그림으로 그리거나 부조(浮彫)로 조각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렇게 입체적인 조각상으로 만든 것은 매우 드물다. 두 불상은 나무 의자에 등을 기대고 앉아서 다리를 내려뜨린 자세를 취하고 있다. 화려한 색상의 옷을 입고 화염무늬와 봉황으로 장식된 보관을 쓰고 있으며, 얼굴에는 흰색의 분을 칠했다.
 
  
===영문===
+
This pair of sculptures,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early 17th century, depicts Indra and Brahma. Indra and Brahma are gods from the ancient Indian myths, who in Buddhism have become the most prominent guardian spirits who protect the Buddha. In Korea, Indra and Brahma are typically only depicted in paintings or as carvings-in-relief, and three-dimensional sculptures like these are rare.
  
 +
Indra and Brahma are each depicted seated in a chair with their feet on the ground. They wear clothes in splendid colors and crowns decorated with flame and phoenix designs. Their hand gestures are reflected, with Brahma’s left hand and Indra’s right hand raised to shoulder level facing outwards, and the other hands on their laps. Brahma’s raised hand is vertical, while Indra’s is horizontal. Brahma is depicted holding a lotus stem in his hands, and it is presumed that Indra was also holding a lotus stem, but the flower no longer remains.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이 한 쌍의 조각상은 제석천과 대범천을 나타낸 것으로, 17세기 중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제석천과 대범천은 인도 고대 신화에 나오는 신으로,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님을 수호하는 최고의 수호신이 되었다. 한국의 제석천과 대범천이 대부분 그림이나 돋을새김으로 조각하는 데 비해, 이 두 상처럼 입체적인 조각상으로 만드는 것은 드문 경우이다.
  
 +
두 상 모두 나무 의자에 등을 기대고 앉아서 다리를 내려뜨린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화려한 색상의 옷을 입고 불꽃무늬와 봉황으로 장식된 보관을 쓰고 있다. 손 모양은 서로 약간 다른데, 대범천은 왼손을 어깨 높이까지 올린 상태로 양손에 연꽃가지를 잡고 있고, 제석천은 오른손을 어깨 높이까지 올리고 있다. 대범천상과 마찬가지로 손에 연꽃 줄기를 들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참고 자료==
+
=='''참고자료'''==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12320000,38&pageNo=5_1_1_0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12320000,38&pageNo=5_1_1_0
 
*문화재대관 보물 - 불교조각 2, 문화재청, 2017.
 
*문화재대관 보물 - 불교조각 2, 문화재청, 2017.
68번째 줄: 51번째 줄: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진주시 문화유산]]
 
[[분류:진주시 문화유산]]
 +
[[분류:보물]]
 
[[분류:진주 청곡사]]
 
[[분류:진주 청곡사]]
[[분류:보물]]
 
 
[[분류:불상]]
 
[[분류:불상]]
 +
[[분류:제석천]]
 +
[[분류:대범천]]
 +
[[분류:2020 국문집필]]
 +
[[분류:2020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0 영문집필]]
 +
[[분류:불교문화유산]]

2022년 9월 1일 (목) 13:49 기준 최신판

진주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
Wooden Seated Indra and Brahma of Cheonggoksa Temple, Jinju
진주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진주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
영문명칭 Wooden Seated Indra and Brahma of Cheonggoksa Temple, Jinju
한자 晋州 靑谷寺 木造帝釋天·大梵天倚像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18
지정번호 보물 제1232호
지정일 1995년 12월 4일
분류 유물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구 (의자포함)
웹사이트 진주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진주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은 각각 제석천과 대범천을 나타낸 조각상이다. 제석천과 대범천은 인도 고대 신화에 나오는 신으로, 제석천은 신들의 왕인 인드라에서 유래하였고 대범천은 창조의 신인 브라흐마에서 유래하였다. 이 신들은 인도 고대 신화가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님을 수호하는 수호신이 되었다.

제석천상과 대범천상은 원래 업경전에 있었는데 현재는 대웅전에 모셔져 있다. 두 조각상 모두 나무 의자에 등을 기대고 앉아서 다리를 내려뜨린 자세를 취하고 있다. 화려한 색상의 옷을 입었고, 머리에는 불꽃무늬와 봉황으로 장식된 보관을 쓰고 있다. 두 조각상의 손 모양은 조금 다른데, 대범천상은 왼손을 어깨 높이까지 올린 상태로 양손에 연꽃 줄기를 잡고 있고, 반대로 제석천상은 오른손을 어깨 높이까지 올리고 있다. 대범천상과 마찬가지로 손에 연꽃 줄기를 들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우리나라의 제석천과 대범천이 대부분 그림이나 돋을새김 조각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과 달리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은 입체적인 조각상이다. 조각상에는 조선 후기의 양식과 기법이 나타나 있는데, 이는 중국이나 일본의 양식, 기법과 현저한 차이가 있어 우리나라 제석천상, 대범천상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영문

Wooden Seated Indra and Brahma of Cheonggoksa Temple, Jinju

This pair of sculptures,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early 17th century, depicts Indra and Brahma. Indra and Brahma are gods from the ancient Indian myths, who in Buddhism have become the most prominent guardian spirits who protect the Buddha. In Korea, Indra and Brahma are typically only depicted in paintings or as carvings-in-relief, and three-dimensional sculptures like these are rare.

Indra and Brahma are each depicted seated in a chair with their feet on the ground. They wear clothes in splendid colors and crowns decorated with flame and phoenix designs. Their hand gestures are reflected, with Brahma’s left hand and Indra’s right hand raised to shoulder level facing outwards, and the other hands on their laps. Brahma’s raised hand is vertical, while Indra’s is horizontal. Brahma is depicted holding a lotus stem in his hands, and it is presumed that Indra was also holding a lotus stem, but the flower no longer remains.

영문 해설 내용

이 한 쌍의 조각상은 제석천과 대범천을 나타낸 것으로, 17세기 중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제석천과 대범천은 인도 고대 신화에 나오는 신으로,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님을 수호하는 최고의 수호신이 되었다. 한국의 제석천과 대범천이 대부분 그림이나 돋을새김으로 조각하는 데 비해, 이 두 상처럼 입체적인 조각상으로 만드는 것은 드문 경우이다.

두 상 모두 나무 의자에 등을 기대고 앉아서 다리를 내려뜨린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화려한 색상의 옷을 입고 불꽃무늬와 봉황으로 장식된 보관을 쓰고 있다. 손 모양은 서로 약간 다른데, 대범천은 왼손을 어깨 높이까지 올린 상태로 양손에 연꽃가지를 잡고 있고, 제석천은 오른손을 어깨 높이까지 올리고 있다. 대범천상과 마찬가지로 손에 연꽃 줄기를 들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