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고초골 공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Nodes)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용인고초골공소.jpg
 
|사진=용인고초골공소.jpg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용인 고초골 공소’의 뿌리는 ‘고초골 교우촌’이다. 교우촌이란 천주교인들이 박해를 피해 산중에 모여들어 형성된 마을을 가리킨다. 한국천주교는 1784년에 선교사 없이 책을 통하여 평신도들에 의해 이 땅에 태어났다. 당시 유교사회이던 조선은 천주교를 사악한 종교로 여겨 약 100년 동안 박해를 하여 1만 여 명의 순교자를 내었다. 살아남은 천주교인들은 박해를 피해 산속 또는 외딴 곳으로 가 교우촌을 형성하여 숨어 살았는데, ‘고초골 교우촌’은 그 하나로서 용인 문수산 기슭에 1820년대 경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고종 3년(1866) 병인박해가 일어나 고초골 교우촌 천주교인들은 한양에서 파견된 포졸들에게 붙잡혀가 순교하였고 그들이 살던 고초골 마을은 불타 폐허가 되었다.  
+
공소란 주임 신부 없이 신자들이 운영하는 작은 규모의 천주교 예배소를 말한다. 고초골 공소는 천주교 수원 교구 내 한옥 공소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그 후 고종 23년(1886) 조선과 프랑스의 ‘조불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어 조선에 선교의 자유가 허락되자 고초골에 다시 천주교인들이 하나 둘 모여들었다. 그들은 ‘지하교회 시대’가 지나고 ‘지상교회 시대’가 왔음을 깨닫고 앞을 내다보며 발 빠르게 공소 건물을 지었으니 이 건물이 ‘용인 고초골 공소’이다. 이 건물에서 종교의식과 공동체적 기도생활 그리고 자라나는 자녀들에 대한 종교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그로 인하여 고초골 공소 공동체는 그 후 번성하였다.
+
고초골은 1820년경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산중에 모여들면서 생긴 교우촌이다. 그런데 고종 3년(1866) 병인박해로 이곳에 숨어 살던 천주교인들은 붙잡혀 순교하였고 마을은 불타 없어졌다. 고종 23년(1886) 조선과 프랑스의 ‘조불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어 조선에 선교의 자유가 허락되자 이곳에 다시 천주교인들이 모여들기 시작하였다. 이후 교우촌의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신도가 증가하면서 예배 및 집회 장소로 사용할 공소를 마련하였다.
  
건물은 현존 수원교구 한옥 공소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상량묵서를 통해 볼 때, 이 공소는 1891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건물은 인근 마을 문촌리의 이주국 장군 고택[경기도 문화재자료 제96호]의 부속 건물인 잠실(누에 기르던 집)을 옮겨다 지은 것으로서 민가 건물을 옮겨 종교 건물로 변화시켰다는 특징이 있다. 지금도 교인들은 이 건물을 애용하고 있다.
+
현재 공소 건물은 1891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며, 인근 문촌리의 안기선 전 천안군수 댁에서 누에를 치는 데 쓰던 건물을 옮겨서 지었다고 한다. 신자 수가 증가한 1910년대에 현재와 같은 규모로 증축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도 예배당으로서의 기능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근대 천주교가 정착하면서 한옥 건물의 기능과 형태가 변해 가는 과정을 잘 보여 준다.
  
===수정 국문===
+
===영문===
====초고====
+
'''Gochogol Chapel, Yongin'''
이 건물은 천주교 수원교구의 공소로 1891년 이후에 지어졌다. 공소란 주임신부가 상주하지 않는 본당보다 작은 교회를 말한다.
 
  
이곳은 1820년경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산중에 모여들어 마을을 형성한 교우촌으로 “고초골 교우촌”으로 불렸다. 이후 1866년 병인박해가 발생하여 천주교 신자들에 대한 박해가 있었는데, 이곳에 숨어살던 천주교인들은 붙잡혀가 순교하였고 이 마을은 불타 없어졌다.
+
This small chapel was a chapel-of-ease, called ''gongso'' in Korean, for Catholic followers who lived far away from the local parish. A priest does not usually reside in a chapel-of-ease, but visits regularly to hold mass.
  
그 후 1886년 조선과 프랑스의 ‘조불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어 조선에 선교의 자유가 허락되자 이곳에 다시 천주교인들이 모여들기 시작하였다. 당시 교우촌의 규모가 확대되고 신도가 증가하면서 예배 및 집회장소가 필요하게 되자 근처에 있는 이주국장군 고택의 부속건물을 옮겨 공소 를 지었다.
+
This chapel is presumed to have been established in 1891. It is the oldest chapel-of-ease built in a traditional Korean style in the Diocese of Suwon, Korea.  
  
이 건물은 현존하는 수원교구의 한옥으로 된 공소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또한 민가의 건물을 옮겨 종교 관련 건물로 변화시켰다는 특징이 있다.
+
This village, called Gochogol, was formed around 1820 when Catholic followers took refuge in the surrounding mountainous areas. During the Catholic persecution in 1866, the Catholic believers living in this area were captured and executed, and the village was burned down. In 1886, however, the Treaty of Commerce between Korea and France was concluded, and the propagation of Catholicism was allowed in Korea. The Korean Catholic followers living in seclusion then gathered around this village, and as the population grew, this chapel-of-ease was established.
  
====1차 수정====
+
The chapel is said to have originally been a building for raising silkworms that was relocated from a nearby house. It is presumed to have been expanded in 1910, and the interior was partially remodeled in the late 1970s. It is still used as a place of worship.
  
 +
===영문 해설 내용===
 +
공소란 천주교 신자들을 위한 작은 예배소이다. 평상시에는 신부가 상주하지 않고, 정기적으로 신부가 방문했을 때 미사를 집전한다.
 +
 +
고초골 공소는 1891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며, 천주교 수원 교구 내 한옥 공소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
 +
고초골은 1820년경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산중에 모여들면서 생긴 마을이다. 1866년 병인박해로 이곳에 숨어 살던 천주교인들은 붙잡혀 순교하였고 마을은 불타 없어졌다. 그 후 1886년 조선과 프랑스 사이에 통상조약이 체결되어 조선에 선교의 자유가 허락되자 이곳에 다시 천주교인들이 모여들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교우촌의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신도가 증가하면서 예배 및 집회장소로 사용할 공소를 마련하였다.
 +
 +
현재 공소 건물은 인근에 있는 고택에서 누에를 치는 데 쓰던 건물을 옮겨서 지었다고 한다. 1910년대에 증축한 것으로 추정되며, 1970년대 후반 내부 구조를 약간 변경하였다. 현재도 예배당으로서의 기능을 이어가고 있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85번째 줄: 91번째 줄:
 
[[분류:국가등록문화재]]
 
[[분류:국가등록문화재]]
 
[[분류:성당]]
 
[[분류:성당]]
 +
[[분류: 2020 국문집필]] [[분류: 2020 국문초안지원사업]]

2021년 2월 5일 (금) 16:34 기준 최신판

용인 고초골 공소
Gochogol Chapel, Yongin
용인 고초골 공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용인 고초골 공소
영문명칭 Gochogol Chapel, Yongin
한자 龍仁 枯草골 公所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고초골로 15 (원삼면, 고초골피정의집 원삼성당)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제708호
지정일 2018년 3월 9일
분류 등록문화재/기타/종교시설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124㎡/지상 1층)
웹사이트 용인 고초골 공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공소란 주임 신부 없이 신자들이 운영하는 작은 규모의 천주교 예배소를 말한다. 고초골 공소는 천주교 수원 교구 내 한옥 공소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고초골은 1820년경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산중에 모여들면서 생긴 교우촌이다. 그런데 고종 3년(1866) 병인박해로 이곳에 숨어 살던 천주교인들은 붙잡혀 순교하였고 마을은 불타 없어졌다. 고종 23년(1886) 조선과 프랑스의 ‘조불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어 조선에 선교의 자유가 허락되자 이곳에 다시 천주교인들이 모여들기 시작하였다. 이후 교우촌의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신도가 증가하면서 예배 및 집회 장소로 사용할 공소를 마련하였다.

현재 공소 건물은 1891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며, 인근 문촌리의 안기선 전 천안군수 댁에서 누에를 치는 데 쓰던 건물을 옮겨서 지었다고 한다. 신자 수가 증가한 1910년대에 현재와 같은 규모로 증축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도 예배당으로서의 기능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근대 천주교가 정착하면서 한옥 건물의 기능과 형태가 변해 가는 과정을 잘 보여 준다.

영문

Gochogol Chapel, Yongin

This small chapel was a chapel-of-ease, called gongso in Korean, for Catholic followers who lived far away from the local parish. A priest does not usually reside in a chapel-of-ease, but visits regularly to hold mass.

This chapel is presumed to have been established in 1891. It is the oldest chapel-of-ease built in a traditional Korean style in the Diocese of Suwon, Korea.

This village, called Gochogol, was formed around 1820 when Catholic followers took refuge in the surrounding mountainous areas. During the Catholic persecution in 1866, the Catholic believers living in this area were captured and executed, and the village was burned down. In 1886, however, the Treaty of Commerce between Korea and France was concluded, and the propagation of Catholicism was allowed in Korea. The Korean Catholic followers living in seclusion then gathered around this village, and as the population grew, this chapel-of-ease was established.

The chapel is said to have originally been a building for raising silkworms that was relocated from a nearby house. It is presumed to have been expanded in 1910, and the interior was partially remodeled in the late 1970s. It is still used as a place of worship.

영문 해설 내용

공소란 천주교 신자들을 위한 작은 예배소이다. 평상시에는 신부가 상주하지 않고, 정기적으로 신부가 방문했을 때 미사를 집전한다.

고초골 공소는 1891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며, 천주교 수원 교구 내 한옥 공소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고초골은 1820년경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산중에 모여들면서 생긴 마을이다. 1866년 병인박해로 이곳에 숨어 살던 천주교인들은 붙잡혀 순교하였고 마을은 불타 없어졌다. 그 후 1886년 조선과 프랑스 사이에 통상조약이 체결되어 조선에 선교의 자유가 허락되자 이곳에 다시 천주교인들이 모여들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교우촌의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신도가 증가하면서 예배 및 집회장소로 사용할 공소를 마련하였다.

현재 공소 건물은 인근에 있는 고택에서 누에를 치는 데 쓰던 건물을 옮겨서 지었다고 한다. 1910년대에 증축한 것으로 추정되며, 1970년대 후반 내부 구조를 약간 변경하였다. 현재도 예배당으로서의 기능을 이어가고 있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용인 고초골 공소(龍仁 枯草골 公所) 문화유산 용인 고초골 공소(龍仁 枯草골 公所)
고초골 교우촌 개념 고초골 교우촌
병인박해 사건 병인박해 1866년
조불수호통상조약 사건 조불수호통상조약 1886년
이주국장군 고택 문화유산 이주국장군 고택
수원교구 개념 수원교구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용인 고초골 공소 고초골 교우촌 ~와 관계가 있다.
용인 고초골 공소 병인박해 ~와 관계가 있다.
용인 고초골 공소 조불수호통상조약 ~와 관계가 있다.
용인 고초골 공소 이주국장군 고택 ~와 관계가 있다.
용인 고초골 공소 수원교구 ~와 관계가 있다.

참고자료